•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Development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prediction system following the disastrous even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Development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prediction system following the disastrous event "

Copied!
273
0
0

Teks penuh

한국 주변 해역(동중국해 및 발트해)에 대한 해양 방사능 거동 모델 개발. 인공방사성물질이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 예측모델 개발 가. 한국 주변 해역(동중국해 및 발트해)에 대한 해양 방사능 거동 모델 개발.

그림 S-1 유출 방사능 물질의 해양 수층 내 및 해저 표층퇴적물 내 확산 과정(Johannessen 등, 2009).
그림 S-1 유출 방사능 물질의 해양 수층 내 및 해저 표층퇴적물 내 확산 과정(Johannessen 등, 2009).

해양 인공방사능의 해양생물 영향 예측모델 개발 가. 후쿠시마 기인 인공방사능의 영향 예측

후쿠시마에 기인한 인공 방사능의 영향을 예측합니다. 연안 상자에 서식하는 육식어류의 경우, 후쿠시마 사고 이전 비교 결과는 비교적 만족스럽지만 모델 예측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비교에서 관측된 값보다 낮다. 황동중국해 원전의 인공방사능 영향.

그림 S-9 수산물 섭취로 인한 한국, 중국, 일본의 집단선량 연 변화.
그림 S-9 수산물 섭취로 인한 한국, 중국, 일본의 집단선량 연 변화.

해양방사능 모니터링 및 전이 프로세스 실험 연구 가. 해양방사능 모니터링

바다로 유출된 인공 방사성핵종의 부유물질에 대한 흡착 정도와 퇴적물로의 이동 등 해양에서 인공 방사성핵종의 거동을 예측하는데 필수적인 분포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바다로 방출된 방사성 세슘이 생물체에 전이되는 안전성 평가와 음식물 섭취량을 예측하는데 필수적인 어류의 생물농축계수를 조사하였다. 국산 및 수입 수산물 중 일부 수종은 기존 문헌고찰에서 계산한 농도계수보다 약간 높은 생물농축계수를 보였다.

그림 S-12 상)2012 한국-알라스카 구간 정점, Cs 137 및 Cs 134 분석 결과, 하)2012 한국-축 구간 정점 및 Cs 137 및 Cs 134 분석 결과.
그림 S-12 상)2012 한국-알라스카 구간 정점, Cs 137 및 Cs 134 분석 결과, 하)2012 한국-축 구간 정점 및 Cs 137 및 Cs 134 분석 결과.

핵안전 기반기술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해양순환 및 방사능 거동 모델 개발

지구화학적 연구와 해양쓰레기의 이동에 사용된다. 동해는 물론 동중국해와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원전사고에 대비한 초동대응체계로 활용된다. 한빛원전사고에 대비한 초동대응체계로 보완활용

기상청의 실시간 일기예보 결과를 활용하여 방사능 사고에 대한 지속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합니다. IAEA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PICES WG30 워킹 그룹 활동을 활용한다. 한반도와 중국의 민감한 지역에 대한 피해 가능성을 평가하고 태평양 북서부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고 대규모 쓰나미가 전파될 경우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준선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SUMMARY

Title

Necessities and Objectives of the Study

  • Necessities of the Study
  • Objectives of the Study
    • Contents and Scopes of the Study
  • Research period
  • Contents and scopes of the study
    • Development of circulation and radioactivity transport models 1 Models related to Fukushima Dai-ichi accident
    • Development of a marine biota model
    • A study of monitoring and transfer processes of radioactivity materials
    • Development of basic technologies for nuclear safety
    • Results
    • Application plans of the study results
    • 기술적 측면의 필요성
    • 경제 산업적 측면의 필요성
    • 사회·문화적 측면
    • 연구개발의 목표
    • 해양방사능 거동 관련 모델 개발 동향 가. 기 개발된 해양방사능 모델
    • 해양방사능의 해양생물 영향 예측 모델 개발 동향
    • 해양방사능 모니터링 동향
    • 핵안전 기반 기술 개발 (지진해일 중심)
    • 해양 인공방사능의 해양생물 영향 예측 모델 개발 동향 가. 기 개발된 해양생물 영향 예측 모델
    • 해양 방사능 모니터링 및 전이 프로세스 실험 연구 동향 가. 해양방사능 모니터링
    • 핵안전 기반기술 (지진해일) 연구 동향
    • 후쿠시마 대응관련 해양순환 및 해양방사능 거동 모델 개발 가. 후쿠시마 주변 지역해 모델 개발

바다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은 해류를 따라 이동하며 부유 퇴적물에 분산, 흡착, 침전되거나 해저 퇴적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퇴적된 후 파도에 의해 재부유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그림 1.2.1 참조). MICOM(Miami Isopycnal Coordinate Ocean Model)을 이용한 핵심 테스트는 수평 격자 크기가 90~120km이고 상부 혼합층, 영국의 Sellafield 재처리 공장, Ob 및 Yenisey를 포함하는 총 24개의 수직 층으로 구성된 3차원 전역 모델입니다. 북극해에 위치한 하천 등에서 유래한 Cs137과 Sr90의 시공간적 분포를 조사하였다. Community Ocean Model)을 이용하여 해수 순환을 계산하였고, Cs137의 농도는 Lagrangian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해수면을 투과하는 방사능의 양은 Aoyama et al. (2006), 모델 실험 기간 동안 공간 분포는 일정하다고 가정하였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해양 방사능 거동 모델링 1) 지역 해양 방사능 모델링.

방사능 누출량의 불확실성을 감안해 도쿄전력 후쿠시마 원전 부근 관측치에 가까운 결과가 나오도록 배출량을 조정했다. (TEPCO). http://sirocco.omp.obs-mip.fr/outils/Symphonie/Products/Japan에서 추출). 실시간 해류예측모델 JCOPE2를 이용하여 표층류 자료를 얻었고, 이를 이용하여 Lagrangian 입자추적법을 이용하여 운동확산(감쇠효과 포함)을 모사하였다. http://www.jamstec.go.jp/frcgc/jcope/htdocs/e/fukushima.html). 모델을 사용한 결과 JCOPE2 모델 결과로 계산한 해저 방사능 농도 분포가 HYCOM보다 관측값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용존 방사능의 경우 JCOPE2 결과가 HYCOM 결과보다 관측값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으나 4월 중순에 최대값에 도달한 후 관측값 . 쿠로시오는 남쪽으로의 확장을 막는 장벽 역할을 하여 후쿠시마 부근보다 소용돌이가 형성되는 해역에 더 높은 농도가 나타납니다. 4월에는 연안에서 남북으로 이동하고, 5월 중순에는 쿠로시오 연장류를 따라 태평양으로 퍼지는 것이 확인된다.

후쿠시마에 인접한 나머지 해역은 희석된 방사능의 유입으로 약간 증가한 후 다시 완만하게 감소하여 모든 경우에 가장 높은 값이 2 미만으로 유지됩니다. MRI(2012)에 발표된 북태평양 관측자료와 비교한 결과 계산된 Cs134 농도가 관측치보다 낮은 경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유입 오차가 주된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확장된 Lepicard et al. (2004) 갑작스러운 사고(및 지속적인 방출이 발생할 때)에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해 이전에 개발된 포세이돈 모델은 동적 먹이 사슬 모듈과 순환 모델 정보를 추가했습니다. POSEIDON/RODOS 시스템은 3차원 격자 모델 THRETOX(Magvelashivili et al., 1997)의 결과를 사용하여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포세이돈에 대한 회람 정보는 모든 모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대상 해역 부근의 쿠로시오는 쿠로시오가 북쪽으로 이동하다가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해역이다. 북쪽으로의 이동 강도 및 동반 소용돌이가 재현되는지 여부. 해양으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은 해류를 따라 이동 및 확산되며 부유 퇴적물에 흡수되어 침전되거나 일부는 다시 탈착되어 해저 퇴적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퇴적된 후 파동 과정에 의해 재부유됩니다(그림 3.1.17 참조).

Fig. S-2 Summary of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SCJ model inter-comparison and part of results comparing with observations.
Fig. S-2 Summary of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SCJ model inter-comparison and part of results comparing with observations.

Gambar

Fig. S-2 Summary of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SCJ model inter-comparison and part of results comparing with observations.
Fig. S-6 Results of LAM-R showing time variation of particle movements.
Fig. S-11 Distribution maps of Cs 134 (left) and Cs 137 (right) in 2012.
Fig. S-12 Sampling points in 2012 and analyzed results of Cs 134 and Cs 137 : upper) Korea-Alaska section, lower) Korea-Chuk section .
+7

Referensi

Dokumen terkait

MATERIALS AND METHODS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uration and survival of egg, larval and pupal stages, adult female weight and fecundity, and reproductive potential w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