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A의 ‘세계 에너지전망 2014 ’ - 액체연료 시장 전망
1)
에너지국제협력본부 한지은([email protected])
▶ 세계 석유 및 기타액체연료 시장은 수요 및 공급 측면에서 모두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 으며, 새로운 액체연료 공급 가능성이 최근 주요 이슈로 부상함.
▶ EIA는 세계 액체연료 시장에 대한 기준 시나리오(Reference case), 저유가 시나리오 (Low Oil Price case), 고유가 시나리오(High Oil Price case) 등 3가지 유가 시나리오 를 발표함. 기준 시나리오에서 국제 유가는 2011년 113달러/배럴에서 2017년 92달러/배 럴까지 하락한 후, 2040년 141달러/배럴로 다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 기준 시나리오에서 세계 액체연료 소비는 2010년 87백만b/d에서 2040년 119백만b/d으 로 약 38% 이상(33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비OECD 국가가 석유 및 기타 액체 연료에 대한 수요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며, 반면, OECD 국가는 지속적인 고 유가로 인해 매년 0.1% 감소할 것으로 각각 전망됨.
▶ OECD 국가의 총 액체연료 소비는 2010년 46.0백만b/d에서 2040년 44.7백만b/d로 1.4 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세계 액체연료 소비에서 비OECD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약 47%에서 2040년 63%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비OECD 아시아가 세계 액체연료 소비의 가장 큰 증가를 보여 2010~2040년 동안 약 23.4백만b/d 증가하며, 중국은 2035년 미국을 제 치고 세계 최대 액체연료 소비국으로 부상할 전망임.
1. 세계 액체연료 시장 현황
□ 주요 시장 이슈
ㅇ EIA의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14 (이하 ‘IEO 2014’)에 의하면, 세계 석유 및 기타액체연료1) 시장은 수요 및 공급 측면에서 모두 커다란 변화를 겪 고 있음.
- 공급 측면에서는 타이트오일이 새로운 액체연료 공급원으로 부상함.
- 수요 측면으로는 중국, 인도, 중동 등의 신흥국에서 액체연료에 대한 수요 증
* 본 고는 EIA에서 2014년 9월 발간된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14 (이하 ‘IEO 2014’) 의 주요 내용을 번역 및 요약한 것임.
**IEO 2014는 EIA의 장기 세계 에너지시장에 대한 2014년 연간 평가보고서의 요약본으로, 석유 및 기타액체연료 시장만을 대상으로 3가지 국제 유가 시나리오에 따른 장기 전망을 발표함. 다 른 에너지원에 대한 수급 전망이 모두 포함된 장기 에너지시장 평가보고서는 격년으로 제공되 므로, 2013년에 이어 2015년에 발표될 예정임.
1) IEO 2014에서는 액체연료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함. 첫째, 원유(crude) 및 리스 콘덴세이트(lease condensate): 타이트오일, 셰일오일, 초중질유(extra-heavy oil), 역청 (bitumen) 등을 포함함. 둘째, 기타액체연료(other liquid fuels): 천연가스 플랜트 액상가스 (NGPL), 바이오연료(BTL 포함), GTL(gas-to-liquid), CTL(coal-to-liquid), 케로젠(kerogen), 정유공장 부산물(refinery gains) 등을 포함함.
“석유 및 기타 액체연료 시장은 수요/공급 측면 모두에서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음”
가가 전망됨. 반면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액체연료에 대한 수요 증가 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됨.
ㅇ 세계 원유시장에 대한 주요 이슈는 과거 석유 위기에 따른 공급 제약에서 최근 에는 새로운 액체연료 공급 가능성으로 바뀌었음.
- 1970~80년대 석유 위기 이후, 세계 원유시장에 대한 우려사항은 주로 공급
제약에 대한 것이었으며, 이에 따른 에너지안보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됨.
- 2000년대 중반에는 급격한 원유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격 상승에 대한
공급 대응이 제한적이어서 자원 고갈에 대한 우려가 증대됨.
- 최근에는 지속적 국제 유가의 상승과 채굴 기술의 발전 등으로 미국에서의 타이트오일 및 셰일오일 공급이 증가하였음. 또한 최근 멕시코 에너지개혁 추진에 따라 멕시코 원유 생산 증대의 가능성이 커졌으며, 브라질, 아르헨티 나 등에서의 대규모 액체연료 공급 가능성도 전망됨.
□ 유가
ㅇ 북해산 브렌트유 가격2)은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과 격차(WTI-Brent discount)를 보였으나 향후 가격 격차가 점차 감소할 것으로 기대됨.
- 북해산 브렌트유 현물가격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현물가격은 2011년 에 격차를 보였으며, 브렌트유 가격이 WTI 가격보다 약 30달러/배럴 높은 수준을 보였음.
- 그러나 이러한 가격 격차는 미국 내 신규 원유 파이프라인 건설 등으로 2013~2014년에 점차 감소하였으며, EIA는 브렌트유와 WTI 간의 가격 격차 가 향후 계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
- 특히 미국 상무부는 최근 수송을 위해 안정화 과정을 거친 리스 콘덴세이트 (lease condensates after processing) 일부에 대한 수출 허가 결정을 내렸음. 이 로 인해 향후 브렌트유와 다른 원유 간의 가격 격차가 더욱 감소할 가능성이 있 음.
- 2012년 7월 이후 브렌트유 가격은 100~115달러/배럴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
어 왔음.
□ 공급
ㅇ 미국 및 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서 액체연료 공급이 2008년 이후부터 약 4백만b/d 증가함. 그러나 이러한 공급 증가는 북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에서의 예상치 못한 원유 생산 중단으로 인해 대부분 상쇄됨.
- EIA 전망에 따르면, 예상치 못한 원유 생산 중단은 지난 2년간 평균 2.7백만
2) IEO 2014에서는 경질 원유의 국제 기준인 북해산 브렌트유의 현물가격을 기준 가격으로 삼고 있음.
“세계 원유시장에 대한 주요 이슈는 과거 석유 위기에 따른 공급 제약에서 최근에는 새로운 액체연료 공급 가능성으로 바뀌었음”
b/d이었으며, 2012년 5월 약 1.8백만b/d에서 2014년 5월 약 3.5백만b/d로 점 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음.
- 이러한 공급 차질은 대부분 OPEC 국가인 리비아와 이란, 비OPEC 국가인 남수단과 시리아 등에서 발생했음. 이들 국가의 지정학적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 할 때, 공급 정상화 시기를 예측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중장기 전망에 상당한 불확실성이 초래됨.
□ 수요
ㅇ OECD 및 비OECD 국가에서의 수요 증가세 완화도 국제 유가가 지난 수년간
안정세를 보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
- 비OECD 국가 중 중국, 인도, 브라질 등에서의 경제성장 둔화로 인해 액체연 료에 대한 수요 증가세가 둔화됨.
- OECD 국가의 액체연료 소비는 2005년 약 50백만b/d로 최고 수준에 달했으나, 경제성장 둔화 및 수송 부문의 에너지 효율 증대 등으로 2005년 이후 점차 하향 세를 보이고 있음.
- 유가 변동 및 이에 대한 소비자와 생산자의 대응이 액체연료 소비 및 생산에 크 게 영향을 미치며, 미래 유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됨.
2. 유가 시나리오
□ 기준 시나리오
ㅇ EIA는 세계 액체연료 시장에서의 수요, 공급, 가격 간의 다양한 잠재적 상호작
용을 고려하여 기준 시나리오(Reference case), 저유가 시나리오(Low Oil Price case), 고유가 시나리오(High Oil Price case)의 3가지 유가 시나리오를 발 표함3).
- 3가지 유가 시나리오가 미래 시장의 다양한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기는 하지만,
EIA의 유가 전망은 수급에 따른 시장 균형에 기반하고 있으며 일간, 월간, 연간
발생하는 가격 변동성을 포함하지는 않음4).
- 높은 수준의 가격 변동성이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지만, ‘IEO 2014’의 저유가 및 고유가 시나리오에서는 이전에 발표한 IEO보다 단기적으로 더 낮은 수준의 유가 변동성을 가정함. 이는 높은 수준의 단기적 가격 변화로 인해 시장에서 수 급 변화가 일어나면 가격 변동성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임.
3) EIA는 각 유가 시나리오에 대한 발생 확률을 명시하지 않음.
4) 지난 20년간 유가 변동성은 연평균 약 30%였음.
“OECD 및 비OECD 국가에서의 수요 증가세 완화도 국제 유가가 지난 수년간 안정세를 보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
자료: EIA(2014),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14
< 3가지 유가 시나리오 >
(단위: 달러/배럴)
ㅇ IEO 2014의 기준 시나리오에서 국제 유가는 2011년 113달러/배럴에서 2017년 92달러/배럴까지 하락한 이후, 2040년까지 141달러/배럴로 다시 상승할 것으로 전 망됨.
- ‘IEO 2014’ 기준 시나리오의 2040년 유가 141달러/배럴 전망은 ‘IEO 2013’
전망치였던 165달러/배럴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임.
- 석유 및 기타액체연료의 전세계 소비는 2010년 87백만b/d에서 2020년 98백만 b/d, 2040년 119백만b/d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미국에서 타이트오일 신규 공급이 가장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캐나다 를 비롯하여 멕시코, 러시아, 아르헨티나, 중국 등에서도 상당한 규모의 타이 트오일 생산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됨. IEO 2013과 비교했을 때, IEO 2014는 특 히 미국 등 비OPEC 국가에서의 대규모 생산 증가를 포함하고 있음.
- 또한 세계 액체연료 생산에 있어 OPEC 국가가 생산용량 증설에 대한 투자 등을 통해 국가별 시장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그 결과, 세계 액체연료 시장 에서 OPEC 국가가 차지하는 비율이 2040년 약 39~44%가 될 것으로 보임.
- 기타액체연료의 생산은 연평균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원유 및 리 스 콘덴세이트 생산 증가보다 약 2배 빠른 속도의 증가세임.
- 기타액체연료의 공급 증가는 천연가스 생산의 부산물(Natural Gas Plant Liquids, NGPL) 및 수송부문에서 다른 액체연료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 정책 등에 의한 것임. 기타액체연료 공급은 2040년까지 총 액체연료 공급의 14~17%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IEO 2014의 기준 시나리오에서 국제 유가는 2011년 113달러/배럴에서 2017년
92달러/배럴까지 하락한 이후, 2040년까지 141달러/배럴로 다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 EIA(2014)
< 기준 시나리오에 따른 타이트오일 생산 전망 >
(단위: 백만b/d)
□ 저유가 시나리오
ㅇ IEO 2014의 저유가 및 고유가 시나리오에는 에너지 수요 증가(특히 비OECD
국가에서의 에너지 수요 증가는 미래 수요 증가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가시킴), OPEC 국가의 투자 및 생산 결정, 비OPEC 국가의 원유 및 리스 콘덴세이트 공급, 기타액체연료 공급 등의 요인이 반영됨.
- 2040년에 저유가 및 고유가 시나리오는 모두 액체연료에 대한 수요가 기준
시나리오보다 크다고 가정함. 저유가 시나리오는 123백만b/d, 고유가 시나리 오는 122백만b/d, 기준 시나리오는 119백만b/d를 가정함.
ㅇ 저유가 시나리오에서 유가는 2016년에 70달러/배럴로 하락한 후에 2023년까 지 70달러/배럴 이하, 2040년까지 75달러/배럴 이하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
- 비OECD 국가의 GDP 성장률은 2010~2040년에 연평균 4.2%로 전망되었으 며, 이는 기준 시나리오의 전망치인 4.6%보다 낮은 수준임. 경제활동 둔화와 저유가로 인해 비OECD 국가의 액체연료 소비는 2040년에 기준 시나리오의 74.7백만b/d와 비슷한 수준인 73.7백만b/d로 전망됨.
- 반면, 저유가 시나리오에서의 OECD 국가의 경제성장 전망은 기준 시나리오 에서의 전망치와 동일하며, 저유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액체연료 사용이 촉진 될 것으로 전망됨.
- 저유가 시나리오에서 OPEC 국가는 공급량을 기준 시나리오에서 보다 증가 시켜, 2040년에 세계 액체연료 생산의 약 5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 그러나 비OPEC 국가는 자국의 값비싼 자원을 경제적으로 시장에 공급할 수
“IEO 2014의 저유가 및 고유가 시나리오에는 에너지 수요 증가, OPEC 국가의 투자 및 생산 결정, 비OPEC 국가의 원유 및 리스 콘덴세이트 공급, 기타액체연료 공급 등의 요인이 반영됨”
없어지기 때문에, 비OPEC 국가의 액체연료 생산은 기준 시나리오 전망치보 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 EIA(2014)
< 시나리오별 2040년 액체연료 소비 및 생산 전망 >
(단위: 백만b/d)
□ 고유가 시나리오
ㅇ 고유가 시나리오에서 유가는 계속 상승해 2040년에 약 204달러/배럴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됨.
- 고유가 시나리오에서 비OECD 국가의 GDP성장률은 2010~2040년 연평균
5.0%로 전망되었음. 경제활동 증가로 비OECD 국가의 액체연료 소비는
2040년에 80.1백만b/d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기준 시나리오 전망
치 대비 5.4백만b/d 높은 수준임.
- 그러나 비OECD 국가에서의 액체연료 소비 증가는 OECD 국가에서의 액체 연료 소비 감소로 일부분 상쇄됨.
- 고유가 시나리오에서 OPEC 국가의 액체연료 생산은 기준 시나리오에서 보 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OPEC 국가의 시장 점유율은 34~37% 수준으로 감소하게 될 것으로 전망됨.
- 그러나 고유가로 인해 비OPEC 국가는 값비싼 자원으로부터의 생산을 증가 시키게 될 것이며, 원유 및 리스 콘덴세이트 생산은 고유가 시나리오에서 2040년 61.3백만b/d로 전망되어, 기준 시나리오보다 8.4백만b/d 증가함.
- 고유가로 인해 기타액체연료의 경제성도 향상되며, 기타액체연료 생산은 2040년 22.9백만b/d으로 기준 시나리오보다 2.7백만b/d 증가함.
※ 3가지 시나리오에서, 저유가 시나리오에서 고유가 시나리오로 유가가 상승함에
“저유가 시나리오에서 유가는 2016년에 70달러/배럴로 하락한 후에 2023년까지 70달러/배럴 이하, 2040년까지 75달러/배럴 이하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OPEC 국가의 석유 및 기타액체연료 생산은 감소하는 반면, 비OPEC 국가의 석유 및 기타액체연료 생산은 증가하게 됨.
3. 기준 시나리오에서의 소비 전망
□ 세계 액체연료 소비
ㅇ IEO 2014 기준 시나리오에서 세계 액체연료 소비는 2010년 87백만b/d에서 2040 년 119백만b/d으로 약 38% 이상(33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액체연료 가격 상승으로 다른 연료의 비용/가격 경쟁력이 향상되어, 액체연료에 서 다른 에너지원으로 대체가 이루어질 것임.
- 수송 및 산업부문은 2040년에 세계 액체연료 수요의 약 92%를 차지하게 될 것 으로 전망되는 반면, 다른 부문에서의 세계 액체연료의 소비는 2040년까지 감소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됨.
자료: EIA(2014)
< 기준 시나리오에서의 액체연료 소비 전망 >
(단위: 백만b/d)
ㅇ 경제성장률은 세계 에너지 소비 전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 IEO 2014에서 지역별 경제성장률은 지역별 에너지 소비 전망의 근거로 사용됨.
- 세계 경제성장률은 2012년 및 2013년에 평균 3% 미만이었음. IEO 2014 기준 시나리오에서 세계 GDP는 2010~2040년 사이에 연평균 3.5%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비OECD 국가가 2010~2040년 동안 연평균 4.6%로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반면, OECD 국가는 동기간 동안 연평균 2.1%의 경제 성장률이 전망됨.
“IEO 2014 기준 시나리오에서, 세계 액체연료 소비는 2010년 87백만b/d에서 2040년
119백만b/d으로 약 38%
이상(33백만b/d)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 EIA(2014)
< 기준 시나리오에서의 지역별 액체연료 소비 전망 >
(단위: 백만b/d)
ㅇ 비OECD 국가가 석유 및 기타 액체연료에 대한 수요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
할 것으로 전망됨.
- 특히 비OECD 아시아 및 중동은 세계 액체연료 소비 증가의 약 85%를 차지 할 것임. 비OECD 지역의 높은 경제성장률 및 1인당 소득 증가율로 인해 개 인의 자동차 소유 및 항공 수송 수요가 증가하며 산업부문의 에너지 수요도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됨.
ㅇ 반면, OECD 국가의 액체연료 소비는 지속적인 고유가로 인해 매년 0.1% 감 소할 전망임.
- 특히 개인의 자동차 이용에서 에너지효율 향상 및 에너지절약 등의 효과로 OECD 국가의 액체연료에 대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이는 비OECD 국가에서도 발생하지만, 수송 네트워크가 상대적으로 덜 발전 되었기 때문에 수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날 것임.
□ OECD 국가
ㅇ OECD 국가에서의 석유 및 기타액체연료 소비는 기준 시나리오에서 상대적으로
일정하거나 감소함. OECD 국가의 총 액체연료 소비는 2010년 46.0백만b/d에서 2040년 44.7백만b/d로 1.4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OECD 국가는 대부분 경제성장률이 안정적이며 인구 수준은 일정하게 유지
되거나 감소하기 때문에 더 낮은 수준의 액체연료 소비가 전망됨.
- 또한 여러 OECD 국가 정부는 자동차의 효율성 개선을 의무화하는 정책을 도입 했고, 소비자들은 지속적인 고유가로 인해 보다 연료 효율성이 높은 수송수단을
“세계 GDP는 2010~2040년 사이에 연평균 3.5%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선택하고 있음.
ㅇ 미국은 현재 OECD 국가 중 최대 액체연료 소비국이며, 이는 2040년까지 유 지될 것으로 전망됨. 미국의 총 액체연료 소비는 2010년 약 18.9백만b/d에서 2020년 19.2백만b/d로 증가하고, 이후 2040년 18.4백만b/d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미국 수송부문의 액체연료 사용은 에너지 효율적인 소형자동차(light-duty vehicles)로 인해 2040년까지 감소할 전망임. 그러나 이러한 감소는 대형자동차 (heavy-duty vehicles), 항공기, 선박 등의 에너지 사용 증가로 인해 일부 상쇄 될 전망임. 2040년까지 자동차 연비 개선이 수송부문의 에너지 수요 증가를 상 쇄할 전망임.
- 또한 미국 산업부문의 액체연료 소비가 2040년까지 증가할 것이며, 이는 대 부분 화학공업 산업에서 공급원료 목적의 에탄올 및 프로판 등 HGL(hydrocarbon gas liquids)의 수요가 증가하는 데 따른 것임.
ㅇ OECD 유럽에서는 에너지효율 개선의 결과 액체연료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2040년에 OECD 유럽의 액체연료 소비는 14.0백만b/d로, 2010년도 수준 인 약 14.8백만b/d 보다 약 0.8백만b/d 낮게 전망됨.
- OECD 유럽의 대부분은 자동차 연료에 높은 세금을 부과하고 있으며, 대중
교통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고, 인구가 감소하거나 증가율이 낮으므로, 수 송부문의 에너지 소비 증가율이 낮게 전망됨.
ㅇ OECD 아시아에서는 2010년 약 7.7백만b/d에서 2040년 7.2백만b/d로 장기적 으로 소비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됨.
-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소비가 증가하는데, 이는 대부분 2011년 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에서의 연료 사용 증가로 인한 것임. 중장기적으로 일본의 전반적 인 석유 및 기타액체연료 소비는 감소 추세로 되돌아 갈 것으로 전망됨.
- 일본 외 다른 OECD 아시아 국가인 한국, 호주, 뉴질랜드는 액체연료 소비의 완만한 증가세가 전망됨.
□ 비OECD 국가
ㅇ 세계 액체연료 소비에서 비OECD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약 47%에 서 2040년 63%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기준 시나리오에서 비OECD 아시아가 세계 액체연료 소비의 가장 큰 증가를 보여 2010~2040년 동안 약 23.4백만b/d 증가하며, 중국이 전체 증가분 중 10.7백만b/d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ㅇ 중국은 2035년까지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액체연료 소비국으로 부상할 전망임.
- 중국 경제의 주요 산업이 에너지 집약적 산업에서 서비스 산업으로 전환되 고, 수송부문에서의 액체연료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중국의 액체연료 소비는
“OECD 국가의 총 액체연료 소비는 2010년
46.0백만b/d에서 2040년
44.7백만b/d로 1.4백만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2010년 수준의 두 배 이상 증가될 전망임.
ㅇ 인도의 액체연료 소비는 2010년 약 3.3백만b/d에서 2040년 6.8백만b/d로 증가 하며, 이는 IEO 2013 전망 대비 약 1.4백만b/d 낮아진 수치임.
- IEO 2013 전망 대비 IEO 2014 전망에서 인도의 GDP 성장률이 더 낮은 수 준으로 전망됨.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2013년 4.1%로 최근 둔화추세를 보이 고 있음. 산업활동 저조 및 서비스부문 침체에도 구조개혁이 일어나지 않아 서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가 하락함.
- 또한 석유제품에 대한 보조금을 삭감하려는 인도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인해 액 체연료에 대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1980년 1990년 2000년 2010년 2020년 2030년 2040년 연평균 증가율(%) 1980~2010 2010~2040
OECD 41.6 41.6 48.3 46.0 46.4 45.3 44.7 0.3 -0.1
미주 20.3 20.4 24.0 23.5 24.3 23.6 23.5 0.5 0.0 유럽 15.2 13.9 15.6 14.8 14.1 14.0 14.0 -0.1 -0.2 아시아 6.2 7.2 8.7 7.7 8.0 7.7 7.2 0.7 -0.2 비OECD 21.5 24.9 28.5 40.7 51.2 62.1 74.7 2.2 2.0 유럽 10.1 9.3 4.3 4.8 5.5 5.6 5.6 -2.4 0.5 아시아 4.5 6.6 12.2 19.8 26.5 34.8 43.2 5.0 2.6 중동 1.9 3.3 4.5 6.7 8.4 9.6 11.1 4.3 1.7 아프리카 1.5 2.1 2.5 3.4 3.9 4.8 6.2 2.8 2.0 중남미 3.5 3.6 5.0 6.0 6.9 7.4 8.6 1.8 1.2
전세계 63.1 66.5 76.8 86.8 97.6 107.4 119.4 1.1 1.1
자료: EIA(2014)
< 기준 시나리오에 따른 지역별 액체연료 소비 전망 >
(단위: 백만b/d)
참고문헌
EIA,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14, 2014.9
“세계 액체연료 소비에서 비OECD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약 47%에서 2040년 63%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