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09년도 하반기 국제유가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2009년도 하반기 국제유가 전망"

Copied!
5
0
0

Teks penuh

(1)

2009년도 하반기 국제유가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I . 석유시장 상반기 동향

□ 국제유가는 세계 각국의 경기회복을 위한 재정지출 확대에 따 른 유동성 증가 영향과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품시장 을 중심으로 투자자금이 유입되며 상승세로 마감

ㅇ 국제유가는 2분기 초까지 배럴당 $40 ~ $50에서 약보합세로 유지되었으나 5월 이후부터 금융장세의 영향으로 최고 $70 수준까지 상승함

< '09년 상반기 원유 현물가격 변동 추이 >

ㅇ 5월 이후 유가 강세 주요인은 다음과 같음

∙ 미국 등 경기지표 호전을 반영한 주식시장 상승세

∙ 3월 하순 이후 달러화 가치 하락 ∙ 미국의 휘발유 재고 감소

∙ 이란, 나이지리아 등에서의 지정학적 요인 악화

□ 글로벌 경기불황의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상반기 세계석유 수요는 여전히 취약하며 초과공급의 상황

ㅇ 상반기 세계 수요는 약 83.8백만 b/d로 전년 동기대비 3백 만 b/d 이상 감소되었으며, 이는 ‘05년도 이전의 소비 수준

ㅇ OPEC 감산 이행률은 최근 70% 미만을 기록하고 있고, 원유

육상재고는 여전히 높은 수준

(2)

II . 하반기 및 2010년 국제유가 전망

1. 석유시장 변화 전망과 고려 요인들

□ 특히 미국과 중국의 경기회복에 대한 시기와 회복 속도 등이 하반기 유가 흐름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임 ㅇ 최근 미국 경기 회복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 전망과 경제 관

련지표들이 예상보다 빠르게 호전되고 있음.

- FRB, 경제성장률 전망 상향조정(-2.0% → -1.5~-1.0%), 주택 경기 상승세, 주요기업 2분기 실적 호조 등

ㅇ 4월 이후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들이 호조를 보이고 있음

- 구매자관리지수 연속 상승세, 2분기 자동차 판매증가율 전

년대비 31.5% 증가, 주가지수 전년도 수준 회복 등

ㅇ 유동성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발생 우려와 높은 실업률 등이 경기회복 속도를 지연시킬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석유 소비는 효율과 수요탄력성 차이로 경기회복 시에 OECD 와 개도국의 큰 차이가 예상됨. 공급은 OPEC의 생산이 유지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후 및 지정학적 요인이 변수임 ㅇ 세계경제 조기회복의 경우에도 하반기 OECD의 석유소비는

전년대비 최소 약 1.1백만 b/d 감소하는 반면 개도국 소비 는 약 1.4백만 b/d 증가할 전망.

- 소비증가의 핵심은 중국,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개도권 국가

ㅇ OPEC은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증가에도 60% 수준에서 감산

합의를 이행할 전망이며, 비OPEC의 러시아, 브라질 등도 증 산에 가세할 전망임.

- 3분기에 허리케인 등 기후요인의 발생 가능성이 있고, 나이

지리아, 베네수엘라에서 지정학적 요인의 발생 가능성이 예 상되지만 가격전망에서는 고려할 수 없는 예외적 사항임

(3)

2. 시나리오별 유가전망(하반기 및 2010년 상반기) 가. 기준 시나리오 및 전망

□ 글로벌 경기침체 상황에서 미국경제가 4분기에 저점을 기록하 고 완만한 회복국면으로 진입하는 시나리오. 하반기에도 전년 대비 석유소비 감소 상황은 지속되지만 감소율 둔화를 가정 ㅇ 세계 석유수요는 전년대비 약 120만 b/d 감소, 상반기 대비

로는 약 60만 b/d 증가될 전망

- 상반기 대비 OECD 수요는 50만 b/d 감소되지만 중국 등 아시아 개도국과 중동지역 소비 증가로 비OECD 수요는 약 110만 b/d의 큰 폭 증가 전망

ㅇ 석유생산은 OPEC의 다소 느슨한 감산 정책으로 약 29백만 b/d 원유생산 수준 유지 전망. 비OPEC에서는 러시아와 브 라질 및 카스피 해 산유국들의 증산 전망

ㅇ 미국 경제가 4분기에 GDP 증가율 저점을 기록하고 연말부 터 경기 회복국면이 가시화될 것임. 상품시장을 중심으로 석 유에 대한 투자자금 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전망

ㅇ 기준 시나리오 하에서 하반기 평균유가는 배럴당 약 $69로 전망됨. 3분기 유가는 $60 중반과 $70 초반 사이에서 등락을 거 듭하고, 연말에 배럴당 $80 수준까지 오를 전망.

- 2009년 연평균 유가는 $60.28/B

- 2010년 상반기는 세계경제 회복과 수요증가 요인들이 복합적 으로 작용하여 유가는 평균 배럴당 $80 내외 수준 전망

나. 고유가 시나리오 및 전망

□ 미국경제가 3분기에 저점을 기록하고 회복국면으로 진입하는 시나리오. 세계 석유소비는 하반기에 전년대비 소폭 증가되고, 상반기 대비로는 큰 폭의 소비 증가를 가정

(4)

ㅇ 하반기 세계 수요는 전년대비 약 20만 b/d 증가, 상반기 대 비로는 약 2백만 b/d 증가될 전망

- 상반기 대비 OECD 수요는 50만 b/d 증가되고, 중국 등 아 시아 개도국과 중동지역을 포함한 비OECD 수요는 약 1.6 백만 b/d 증가 전망

ㅇ 석유생산은 OPEC이 강경파의 주장에 밀려 감산전략을 강화 하여 원유생산이 28백만 b/d 미만에 그침. 비OPEC에서의 석유생산도 기대에 그치지 못하는 것으로 전망

ㅇ 3분기 미국 경제가 불황의 저점을 기록하고 이후부터 경기

가 상승 국면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가정함. 상품시장으로 석 유에 대한 투자자금 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전망

ㅇ 고유가 시나리오 하에서 하반기 평균유가는 배럴당 약 $76 로 전망됨. 유가는 3분기에 $70 ~ $80 수준에서 변동하고, 연말 에 배럴당 $85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

- 2009년 연평균 유가는 $63.84/B

- 2010년 상반기는 세계경제 회복과 수요증가 요인들이 복합적 으로 작용하여 최고 유가는 배럴당 $90를 상회할 전망

다. 저유가 시나리오 및 전망

□ 글로벌 경기침체 상황이 하반기에도 지속되는 시나리오. 하반 기에도 전년대비 석유소비 감소 상황이 지속되지만 감소율은 다소 둔화되는 것으로 가정함

ㅇ 세계 석유수요는 전년대비 약 170만 b/d 감소, 상반기 대비 로는 약 10만 b/d의 증가에 그칠 전망

- 상반기 대비 OECD 수요는 60만 b/d 감소되며, 비OECD 수요는 약 70만 b/d 증가에 그칠 전망

ㅇ 석유생산은 OPEC의 감산 정책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수준의 원유생산 및 공급 유지 전망. 비OPEC 산유국은 기대보다 높은 생산증가 전망

(5)

ㅇ 세계경제의 회복시점을 2010년 이후로 가정함. 그러나 아시 아개도국들을 중심으로 수요는 상반기보다 증가. 상품시장으 로의 투자자금은 유입되지만 유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ㅇ 저유가 시나리오 하에서 하반기 평균유가는 배럴당 약 $65

로 전망됨. $60 ~ $70 사이에서 유가변동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 2009년 연평균 유가는 $58.49/B

- 2010년 상반기도 수요부진과 계절적 요인으로 $60 수준 전망

2009년 2010년

상반기 3/4분기 4/4분기 연평균 1/4분기 2/4분기

기준안

(실적)

51.67

65.82 71.97 60.28 75.19 71.26

고유가 69.70 82.32 63.84 78.68 74.53

저유가 62.74 67.89 58.49 66.69 60.43

<하반기 및 2010년 원유가격 전망(두바이 기준)>

(단위: $/배럴)

“끝”

내용상 문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시장분석실 :031-420-2280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