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2. 26 - 2017. 4. 25)
1. 學會活動
(1) 中國史學會 第92回 學術發表會 主題: 동아시아 지역교류와 민족정책 일시: 2017. 4. 8(토) 14:00 – 18:00 장소 : 동의대 2인문대 602세미나실 주최 : 중국사학회
주관 : 동의대학교 사학과, 동의대학 교 인문사회연구소
후원 : 동의대학교
<大會登錄> (13:40-14:00)
<開會式> (14:00-14:15)
司會 : 金鍾健(韓東大) 開會辭 : 中國史學會 林炳德 會長(忠
北大)
祝 辭 : 동의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 학 학장 오인용
<第1部 發表會> (14:15-15:45) 사회 : 김정식(신라대) 1. 권민균(부경대), 「漢初 博士官의 실
제와 박사관제의 확립과정」
討論: 홍승현(창원대) 2. 김문기(부경대), 「근세 동아시아의
‘魚圖’와 어류박물학 –시경에서 백 과전서까지-」
討論: 홍성화(부산대)
紀念撮影, 休 息 (15:45-16:00)
<第2部 發表會> (16:00-17:30) 사회 : 조세현(부경대) 3. 윤욱(부산대), 「중화민족과 만주족 사이 – 훈춘 만주족의 이중적 민족 정체성, 1911~1931」
討論: 홍성구(경북대) 4. 전경선(부산대), 「전시체제 하 만주
국의 모병선전」
討論: 김형열(동의대)
<中國史學會 優秀論文賞 施賞式: 第7 回> (17:30-17:50)
受賞者: 梁鎭誠(延世大)
<晩餐> (18:00-19:30) 散會
2. 學會動靜
(1) 中國史學會 第107輯 第1次 編輯會 議
日時: 2017年 3月 11日(토) 12:30-13:30 場所: 學會事務室
1) 中國史硏究 第107輯에 投稿된 論文原稿에 對한 審査委員을 選定 2) 中國史硏究 第107輯에 投稿된
其他 原稿에 對한 揭載與否 審議
(2) 中國史硏究 第107輯 第2次 編輯 會議
日時: 2017年 4月 8(토) 13:30-13:50 場所: 學會事務室
1) 中國史硏究 第107輯에 投稿된 特輯原稿 揭載與否를 審議하여 論 文 5篇, 譯註 2篇, 書評 2篇, 計 9 篇 揭載 確定
2) 其他原稿는 次號로 延期하기로 함
3. 硏究分會 活動 現況
(1) 明淸史硏究會 讀會 (隔週 土曜日) 敎材: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 Vol.9 場所: 學會事務室(2) 中國史學史硏究會 讀會 (每週 木曜 日)
敎材: 王夫之, 讀通鑑論
場所: 安東大學校 人文大學 李潤和 敎授硏究室
(3) 東西文化交流史硏究會 讀會 (隔週 土曜日)
敎材: 明淸之際中西文化交流史
場所: 學會事務室
4. 신입회원 (1) 일반회원
644 洪松勳 (Ph.D., 香港敎育大學 社 會敎育系 助理敎授)
645 權珉均(文學博士, 釜慶大 史學科
講師)
646 金聖熙 (文學博士, 漢陽大 史學 科 講師)
5. 會費 및 贊助金 納付
학회비 및 찬조금 입금 내역을 휘 보에 공지하는 것으로 영수증 발급 을 대신합니다. 심사료를 회비로 전 환한 내역도 포함하여 정리하였습니 다. 납부 금액은 숫자(단위: 만원)로 표기합니다.
<一般會費> 양진성(2)
<機關會費> 교원대 도서관(6)
<原稿揭載料> 김수영(30), 유원준(10), 우성민(15), 이은상(30)
<投稿審査料> 김수영(6), 유원준(6), 우성민(6), 이은상(6), 유연실(6)
<贊助> 유원준(14), 임병덕(100)
<學術會議支援> 동의대(30), 임병덕 (12)
6. 受贈圖書目錄 (接收順)
1731 龍谷史壇 第143号 (京都: 龍谷 史學會, 2016.7)
1732 東洋史硏究 第75卷 第2號 (京 都: 東洋史硏究會, 2016.9) 1733 漢學硏究 第34卷 第3期(總號
第86號, 臺北: 漢學硏究中心, 2016.9)
1734 考古 2016-11 (總590期, 北 京: 中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 2016.11)
1735 考古 2016-12 (總591期, 北 京: 中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
2016.12)
1736 漢學硏究 第34卷 第4期(總號 第87號, 臺北: 漢學硏究中心, 2016.12)
1737 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集刊
第87本 第4分(臺北: 漢學硏究中心, 2016.12)
1738 考古學報 2017-1 (總第204期, 北京: 中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 2017.1)
1739 中國女性史硏究 第26号 (東京:
中國女性史硏究會, 2017. 2)
<공지>
1. 中國史學會 2016年 學術發表會 日 程을 아래와 같이 豫告합니다. 發 表 參與를 원하시는 분은 硏究分科 로 申請해 주십시오. 개최 학교 사 정이 부득이한 경우 하루 앞당겨질 수도 있습니다.
<第93回 學術發表會>
日時: 2017年 6月 10일(土) 場所: 韓國外大(龍仁) 主題: (자유접수)
<第94回 學術發表會>
日時: 2017年 9月 9일(土) 場所: 忠南大(大田) 主題: (자유접수)
<第95回 學術發表會>
日時: 2017年 12月 9일(土) 場所: 미정
主題: (자유접수)
2. 제 규정 및 공지사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기존에 사용하던 홈페이지 (http://www-2.knu.ac.kr/~china 또는 http://chinahistory.jams.or.
kr/)를 참조하시고, 온라인논문투고 및 심사를 위해서는 새 홈페이지 (http://china.knu.ac.kr/)를 이용해 주세요. 회무 관련 문의 사항은 [email protected]으로 보 내 주세요.
-끝-
<중국사학회 회칙>
(2016.12.10 수정)
제 1 장 총 칙 제 2 장 회 원 제 3 장 기구 및 의결 제 4 장 임원 선거 및 임기 제 5 장 재 정 제 6 장 부 칙
<부록> 회칙수정일자 및 내용
제1장 총 칙
제1조 (명칭) 본회는 중국사학회라 칭 한다
제2조 (목적) 본회의 목적은 회원의 공동 연구를 통해 중국 및 중국 유 관 지역 역사의 과학적 인식을 도모 하고 중국 및 세계사의 이해를 심화 하여 역사적 인식을 재고하고자 함 에 있다.
제3조 (구성) 본회는 본회의 목적에 찬성하는 회원으로 구성한다.
제2장 회 원
제4조 (회원) 본회의 회원은 정회원, 준회원, 명예회원으로 구성한다.
1) 정회원은 본회의 각 연구분회에 소속되며, 공동 연구, 회무 심의 등 본회의 사업 전반에 참여한다. 정회 원의 자격요건은 대학 전임교원, 강 사, 연구원, 각급학교 교사, 대학원 석사과정 수료이상자 및 이에 준하
는 자로 한다.
2) 준회원은 본회의 각종 학술활동 에 참여할 수 있다. 준회원은 대학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생 및 이에 준하는 자로 한다.
3) 명예회원은 본회의 활동과 사업 을 지원하는 개인 및 단체로서 이사 회에서 위촉한다.
제 5 조 (가입) 정회원은 정회원 5인 이상의 추천으로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가입한다. 준회원은 정회원의 추천을 받아 가입한다.
제 6 조 (권리) 본회의 회원은 회칙에 따라 본회에서 주관하는 각종 사업 에 참여할 수 있다.
제 7 조 (의무) 본회의 회원은 본회 의 회칙과 본회 소정의 제반 결정시 항을 준수할 의무를 진다.
제 8 조 (탈퇴) 본회 회원으로서 본회 소정의 의무를 불이행하거나 이사회 의 징계를 받은 경우 및 본인이 원 하는 경우 탈퇴 처리된다.
제3장 기구 및 의결
제9조 (기구) 본회는 총회, 이사회, 편 집위원회, 연구분회의 기구를 관장 한다.
제10조 (총회)
1) 구성 : 총회는 정회원과 명예회 원으로 구성된다.
2) 기능 : 회칙 개정, 임원 개선 및 기타 본회의 제반 사항을 심의 의결 한다.
3) 회의 :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를
가진다. 정기총회는 매년 회기말에 정기적으로 소집되며, 임시총회는 회장, 이사회 또는 정회원 1/3이상 의 요구로 소집된다. 총회는 회장이 의장이 되어 다수결로 의결한다.
제11조 (이사회)
1) 구성 : 이사회는 회장, 부회장, 운영위원회 및 각 분과위원회 이사 로 구성된다.
2) 운영위원회 : 본회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기획 및 운영 전반에 대한 자문을 담당한다.
3) 분과위원회 : 연구, 총무, 편집, 섭외분과 위원회를 두며, 필요시 총 회의 결의로 임시 위원회를 둔다.
(1) 연구분과 : 본회의 연구 활동 전반을 관장한다.
(2) 총무분과 : 본회의 회원관리, 재정 및 제반 사무를 관장한다.
(3) 편집분과 : 본회의 학술지, 회 지, 연구홍보물 및 기타 출판물의 편집, 출판관련 제반 업무를 관장한 다.
(4) 섭외분과 : 본회의 대외활동 및 각종 교섭 관련 업무를 관장한 다.
4) 회의 : 회장 및 이사 2인 이상의 요구로 수시로 소집된다. 통상업무 를 제외한 이사회 의결 집행 사항은 총회의 事前 事後 승인을 얻어야 한 다.
제12조 (편집위원회)
1) 구성 : 회장의 제청으로 이사회 에서 선임한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임무 : 본 학회 학술지 『中國史 硏究』에 수록할 원고를 심사하는 제반 절차를 관장하며, 구체적인 내 용은 별도의 <논문 심사 및 편집규 정>에 따른다.
제13조 (연구분회)
1) 구성 : 필요시 정회원 3인 이상 의 발기로 구성되어 공동 연구를 수 행하며, 연구분과의 관장을 받는다.
제4장 임원 선거 및 임기
제14조 (임원) : 본회는 회장, 부회장, 이사 및 연구분회 간사를 둔다.
1) 회장 : 본회의 회무를 총괄하며, 총회 및 이사회의 의장이 된다.
2) 부회장 : 회장을 보좌하며 회장 유고시 그 직을 대행하고, 1명 이상 을 둘 수 있다.
3) 이사 : 운영위원회와 각 분과위 원회의 사무를 관장하며 1명 이상 을 둘 수 있다.
4) 감사 : 본회의 제반 사무를 감사 하며 2인을 둔다.
제15조 (임원 선출 및 임기)
1) 회장, 부회장 : 총회 출석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선출하고 임기는 1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2) 이사 : 회장의 제청으로 총회의 인준을 받으며, 임기는 2년으로 한 다.
3) 감사 : 총회에서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선출하고 임기는 2년으로 한다.
제5장 재 정
제16조 (재정) 본회의 재정은 회비, 후 원금 및 기타 사업수익금으로 충당 한다.
제17조 (회비) 본회의 정회원은 년회 비를 납부해야 하며, 종신회비로 대 신할 수도 있다. 회비 금액은 매년 정기총회에서 결정한다.
제18조 (집행) 본회의 재정은 회장의 결재로 총무분과에서 집행하고 총회 에서 승인을 받는다.
제6장 부 칙
제19조 (회칙개정) : 본 회칙은 회원 1/3이상 또는 이사회 1/3이상의 발 의로 총회에서 출석 과반수의 동의 를 얻어 개정할 수 있다.
제20조 (발효) : 본 회칙은 1996년 10월 개정 발효한다.
제21조 (보칙) : 본 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통상관례에 따른다.
<부록> 회칙수정일자 및 내용 (1) 1998년 12월 12일 총회 : 제12조
(편집위원회) 신설하고 제13조의 2 항(연구분회 내용) 삭제, 제14조, 15조의 3항 감사관련 조항을 신설 하고 연구분회 간사 조항을 삭제함.
(2) 1999년 12월 11일 총회 : 제4조 1항과 2항의 회원자격 관련 내용을 추가하고 제11조 2항(운영위원회) 을 신설하고 제 14 조 3항 감사를 2인으로 증원함.
(3) 2000년 12월 9일 총회 : 부회장 신설 관련 제14조 2항 전문을 추가 하고 제11조와 제15조의 부회장 관 련내용을 추가함.
(4) 2016년 12월 10일 총회 : 제4장 제14조 2)항: 부회장 “1명 이상 둘 수 있다.” 내용 추가
(개정안2) 제4장 제15조 1)항: 회 장, 부회장 임기 “2년”을 “1년”으 로 개정
끝.
<중국사연구 논문심사 및 편집규정>
(2017.1.14.수정)
1. 논문의 게재 신청
1) 현재 『중국사연구』(격월간)의 간 행 예정일은 매년 2월 28일, 4월 30일, 6월 30일, 8월 31일, 10월 31일, 12월 31일이다. 따라서 논문 을 게재하려는 회원은 간행일 2개 월 전(12월 31일, 2월 28일, 4월 30일, 6월 30일, 10월 31일, 8월 31일)까지 논문을 편집위원회에 제 출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논문은 학회에서 별도로 규정한 원고 작성요령에 따라 작성하며, 논 문이 수록된 파일 및 <연구윤리 확 약 및 저작권이양동의서>를 제출하 고 심사료(실비6만원)를 납부한다.
2. 게재 희망 논문의 신청 우선 순위 1) 본 학회 주최 각종 학술 발표회에
서 발표한 논문.
2) 타 학회 주최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
3) 타 학회 주최 국내학술발표회에서 발표한 논문.
4) 기타 회원의 게재 희망 논문.
3. 편집위원 위촉과 편집위원회 구성 1) 학회 회칙에 의거하여 회장은 다
년간 중국사연구를 진행해 온 10명 내외의 중진학자를 편집위원으로 위 촉한다.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 며 연임할 수 있다.
2) 학회 회장과 편집위원으로 편집위 원회를 구성한다.
4. 논문심사 소위원회의 구성과 논문 의 심사
1) 편집위원회는 위원장(학회장이 임 명)의 책임하에 제출된 논문에 대해 서 심사한다.
2) 논문 한 편당 3-5인의 심사위원 을 선정하여 논문심사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가부를 엄정 심사한다.
3) 공정한 심사를 위하여 논문심사 소위원회에는 투고자와 같은 대학 재직자나 투고자의 지도교수를 제외 한다.
4) 편집위원회는 각각의 논문에 대한 논문심사 소위원회의 명단을 공개하 지 않으며 심사용 논문도 익명으로 위촉한다.
5. 논문의 심사기준
1) 중국사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 논 문을 그 심사 대상으로 하며 직접적 으로 중국사와 관련된 논문이 아니 더라도 중국사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논문으로 판단될 경우 편집 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게재할 수 있 다.
2) 심사는 개별적 평가와 심사결과 판정으로 구분하며 심사자의 심사요 지를 첨부한다.
3) 개별적 평가는 ① 연구내용의 창 의성 ② 연구 방법의 참신성 ③ 논 지 전개의 타당성 ④ 자료 인용의 적절성 ⑤ 연구 목표의 성취도 ⑥ 학문발전에의 기여도 및 ⑦ 종합 평 가의 7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평가 를 실시한다.
4) 개별적 평가에 대한 평점은 A(국 내외 20%이상 수준에 해당하는 논 문), B(20-50%에 해당하는 논문), C(50%이하에 해당하는 논문)로 판 정한다.
5) 심사 결과는 ① 게재(투고된 상태 로 게재) ② 조건부 게재(부분적인 수정·보완 후 게재할 수 있는 논문)
③ 수정후 재심(대폭적인 수정·보완 이 필요한 논문) ④ 게재불가로 판 정한다.
6) 논문 심사 결과는 기록으로 남긴 다.
7) 연구윤리와 관계되는 사항은 별도
의 중국사연구』연구윤리 규정에
따른다.
6. 논문 게재 여부의 결정
1) 편집위원회는 논문심사 소위원회 3분의 2이상의 적합 판정을 얻은 논문에 대해 게재를 허가하고 간기 별 게재 논문 수를 조정한다.
2) 편집위원회는 논문심사 소위원회 에서 조건부 게재 또는 게재 유보로 확정된 원고는 투고자에게 심사 결 과를 첨부하여 논문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3) 게재 유보 판정을 받은 논문은 지 적 사항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진 이 후 재심사를 의뢰하여 게재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7. 기타
1) 논문심사 소위원회 위원에게는 소 정의 논문 심사료를 지급할 수 있 다.
2) 규정(인쇄된 본문 기준 30쪽) 이 상으로 긴 원고에 대해서는 일정의 투고료를 징수하며(쪽당 10,000원), 연구비 수령논문에 대해서는 원고료 (교내연구비 20만원, 교외연구비 30만원)를 징수하며, 일반원고도 원 고료(전임교수 10만원, 비전임교수 는 징수 유예 허용) 징수한다.
3) 워드작업이 안된 원고의 투고자에 게는 워드편집비를 청구할 수 있다.
4) 위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 적인 관례에 따른다.
5) 이상의 규정은 편집위원회의 결의
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부록> 규정 수정일자 및 내용 1. 1997.12.20 1997년도 정기총회에
서 1의 1) 간기를 2회로 증회하고 간행일 조정(2월 28일, 8월 31일).
2. 1998.12.11 정기총회에서 편집위 발의의 본 안건을 위임받아 1999.4.10. 이사회에서 1999년도부 터 간기를 연 3회로 증회하고 간행 일 조정(2월 28일, 6월 30일, 10월 31일).
3. 1999.12.11 정기총회에서 편집위 발의의 본 안건을 위임받아 2000.1.27 이사회에서 2000년도부 터 간기를 연 4회로 증회하고 간행 일 조정(2월 28일, 5월 31일, 8월 31일, 11월 30일)
4. 2000년 1월 12일 편집위원회에서 7. 기타 2)항의 원고료 금액을 명시 함.
5. 2002년 2월 15일 편집위원회에서 7. 기타 2)항의 원고초과게재료 금 액을 5,000원으로 인상함.
6. 2002.12.14 정기총회에서 편집위 발의의 본 안건을 위임받아 2003년 1월 16일 이사회에서 1조 1)항 간 기관련, 2003년도부터 간기를 연6 회(격월간)로 증회하고 간행일을 조 정(2월 28일, 4월 30일, 6월 30일, 8월 31일, 10월 31일, 12월 31일) 하였으며, 7조 2)항의 초과게재료 금액을 쪽당 10,000원으로 인상하 고, 원고료 관련 금액을 명시함
6. 2007.12.9 정기총회의 결의에 따라 제5조 제7항 연구윤리관련 내용을 추가함.
7. 2014.12.13. 정기총회에서 편집위 원회 발의로 1조 2항에 <연구윤리 확약 및 저작권이양동의서> 제출 및 심사료 납부 내용 추가, 4조 1) 항의 편집위원장을 학회장 임명으로 수정함을 추인함
8. 2017.1.14. 편집위원회에서 5조 3) 항의 심사결과에 [수정후재심] 항목 추가 외 위원 임기 명시, 일반원고 원고료 통일 등 문구 수정함 끝.
<중국사연구 연구윤리 규정 >
(2007년 12월 9일 제정)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중국사학회에서 발간하는
학회지 중국사연구의 논문 게재와
관련된 연구윤리를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2조(연구자의 윤리 의무)
① 연구자는 각자가 수행하는 연구에 서 학문 윤리 차원의 정직성을 유 지해야 한다. 연구 주제의 도출, 연 구비 지원, 연구결과의 출판,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공정한 보상 등 연구 과정 전반에 관한 정직한 윤
리 의식을 지켜야 한다.
② 연구자는 학술적 저작물의 인용시 반드시 인용 근거를 밝히는 것을 비롯한 일반 원칙을 준수해야 한 다.
③ 연구자는 다른 학술지나 단행본 등 에 게재한 논문을 중복 게재하지 않아야 한다. 부득이하게 부분적 중복 게재를 할 경우 이 이유와 근 거를 명시하여야 한다.
④ 연구자는 타인의 저작물의 내용을 표절하지 않아야 한다.
⑤ 연구자는 연구 윤리와 관련된 기타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⑥ 연구자는 본조 제2항-5항에 위배 되는 사례가 발생할 경우 즉시 학 회에 보고해야 한다.
⑦ 연구자는 자신의 이익과 타인 또는 타 기관의 이익이 상충하거나, 상 충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이를 공 표하고 상응하는 의무를 지켜야 한 다.
제3조(연구윤리위원회)
① 연구윤리에 관한 심의를 위해 연구 윤리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 를 둔다.
② 위원회는 회장, 부회장, 편집이사, 연구이사, 편집위원 가운데서 15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③ 위원장은 회장이 겸하며, 부위원장 및 간사는 위원회에서 호선한다.
④ 위원은 회장이 임명하며,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
다.
제4조(위원회의 운영)
① 위원회는 회장의 요청이 있을 경우 또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 위원장이 소집한다.
② 위원회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 으로 성립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단, 위임장은 위원회의 성립에서 출석으로 인정 하되 의결권은 부여하지 않는다.
③ 위원회의 심의 대상인 연구에 관여 하고 있는 위원은 그 연구와 관련 된 심의에 참여할 수 없다.
④ 위원장은 심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 우 연구책임자 혹은 관리책임자에 게 자료의 제출 또는 보고를 요구 할 수 있다.
⑤ 위원은 심의와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하여 비밀을 준수한다.
제5조(위원회의 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 다.
① 학회와 관련된 제반 연구발표물에 대하여 제기된 연구윤리에 관한 사 항
② 연구윤리 및 교육에 관한 사항 ③ 학회와 관련된 연구과제의 연구책
임자나 관리책임자가 부여하는 연 구윤리에 관한 사항
④ 기타 위원장이 부여하는 연구윤리 에 관한 사항
제6조(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처리) ① 학회와 관련된 연구윤리 위반 사례
가 발생한 경우, 위원회는 그 혐의 에 대한 적절한 조사와 처리를 해 야 한다.
② 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조사는 기밀 을 유지한다.
③ 연구윤리 위반 혐의를 받는 자는 위원회의 조사결과에 대하여 반론 을 제기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④ 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조사의 결과 는 학회에 보고하며, 그 기록은 처 리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3년간 학 회에 보관한다.
⑤ 조사 결과 연구윤리 위반이 확정될 경우, 이를 공표하고 다음과 같이 조치한다.
㉠ 연구윤리를 위반한 논문은 학회 지 게재를 불허한다. 게재 논문의 경우 에는 학회지의 논문목록에서 삭제하고, 학회는 이 사실을 회원 및 관련 학술기 관에 공지한다.
㉡ 연구윤리를 위반한 논문의 저자 에게는 이후 5년간 학회지 논문 투고 를 금지한다.
제7조(연구윤리 확약서)
투고자의 연구윤리 규정 준수를 확 인하기 위해 연구윤리 확약서 제출을 의무화한다.
① 투고자는 학회지에 논문게재를 신 청할 때 연구윤리 확약서 및 저작 권 이양동의서를 연구윤리위원회에 제출한다.
제8조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 례에 따른다.
부칙 끝.
<中國史硏究原稿作成方法>
1. 본문 작성 방법
(1) 원고는 "아래아한글 2002“ 이상 으로 작성한다.
(2) 제목은 글자크기 18, 「바탕」체로 하고, 필자명은 크기 12로 한다. 제 목과 필자명은 검색시의 편의를 위 해 한자(정자) 표기를 원칙으로 한 다. 필자의 소속을 괄호 속에 표기 하고, 공동집필한 원고인 경우 집필 자의 이름을 병기한다. 다만 공동집 필의 경우라도 책임연구자와 보조연 구자로 구분될 경우 후자는 각주로 내려서 표기한다.
(3) 표제는 「바탕」체 크기 18로 하 며, 장절 제목은 각각 「바탕」체로 하고, 표기는 Ⅰ, 1, 1), (1)의 순으 로 한다. Ⅰ의 크기는 15, 1은 13, 1)은 11, (1)은 10으로 한다.
(4) 본문은 「바탕」체로 하며, A4용지 에서 폭 150, 길이 212.4, 위쪽 20, 아래쪽 10, 머리말 10, 꼬릿말 10 으로 설정하여 작성한다. 글자모양 은 글자크기 10, 장평 97, 자간 -3 으로 하며, 문단모양은 들여쓰기 2,
줄간격 160%으로 한다.
(5) 도표는 반드시 "표" 기능을 사용 하여 작성한다. 표 내용은 글자크기 8, 줄간격 110을 원칙으로 하며 부 득이한 경우 가감을 허용한다. 도표 의 캡션은 일련번호를 취하도록 하 고 캡션글자는 중고딕 글자크기 9, 가운데 정렬을 원칙으로 한다. 도표 의 캡션번호는 ‘<도1>’ ‘<표1>’의 형식으로 부각시킨다.
(6) 작성된 원고가 국문일 경우 외국 어로, 외국어일 경우 국문으로 요약 문(Abstract)을 첨부한다. 요약문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2-5매(영문의 경우 관사 포함 200-250단어)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그리고 본문 말미에 주제어(국문, 중국어, 영어) 를 엄선 수록한다.
(7) 괄호 표기는 ( ), 「 」순으로 하고, 원문에 있는 주석은 ( )로 처리한다.
(8) 연대의 표시는 서기를 원칙으로 하며 불가피한 경우 ( )를 이용하 여 병기한다.
(9) 숫자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경우 를 제외하고 아라비아 숫자의 사용 을 원칙으로 한다.
2. 인용문의 작성 방법
(1) 인용문은 번역을 원칙으로 한다.
(2) 인용문이 2행 이상인 경우 별행 으로 처리하되, 「바탕」체 글자크기 9, 장평 97, 자간 -3, 줄간격 130%으로 한다. 문단모양은 좌우여
백을 각각 2로 한다.
(3) 필자가 덧붙인 설명은 [ ]안에 넣어 원문과 구분하고, 강조하는 부 분은 밑줄을 긋고 ( )안에 '원문'이 라고 표시한다.
3. 각주의 작성 방법
(1) 각주에 인용된 자료 소개는 다음 과 같은 순서로 한다.
1) 한적의 경우
저자(편저자), 「편명」,『책이름』
권수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판 수; 『총서명』, 판수), 쪽수.
2) 단행본의 경우
동양어 : 저자, 『책이름』 권수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판수; 총서명 권수, 판수), 쪽수.
서양어 : 책이름만 이탤릭체로 하 며 나머지는 위와 같이 한다.
3) 정기간행물의 경우
동양어 : 저자, 「논문제목」(잡 지명 권-호, 출판지: 발행처, 년 도), 쪽수.
서양어: 논문은 "논문제목"으로, 잡 지명은 이탤릭체로 하며 나머지는 위와 같이 한다.
(2) 면수를 표시할 경우 'p', 'pp', 를 원칙으로 한다. 2면 또는 4면의 원 문이 한 페이지에 수록된 영인본 등 은 각 면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일관성 있게 표시한다.
(3) 여러 인용 자료를 연속해서 소개 할 때는 ‘; ’으로 구분하여 표기한 다.
(4) 동일한 자료를 여러 번 인용할 경우 최초 이외에는 ( )로 묶은 출 판정보를 생략한다. 약칭을 사용할 때에는 최초 인용시 이를 ‘; ’ 표시 후 명기한다.
(5) 각주의 글자모양은 「바탕」체 글 자크기 8.7, 장평 97, 자간 -3으로 한다. 각주의 문단모양은 왼쪽여백 2, 내어쓰기 2, 줄간격 130%로 한 다.
(6) 역자 혹은 편자일 경우는 반드시 이름 뒤에 '역' 혹은 '편'을 덧붙인 다. 공동 저작일 경우 이름 사이에 '·'를 넣어 표기한다. 저자가 많을 경우 ‘대표저자 외’의 형식으로 표 기한다.
(7) 년월 표시는 가급적 ‘년도.월.일’
의 형식으로 축약한다.
(8) 호마다 페이지가 있으면서 전체 권의 일련 페이지도 있는 잡지의 경 우 그 호의 페이지를 적는다.
4. 원고 제출 시 학술연구재단 데이터 베이스 등록을 위해 아래 자료를 추 가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1) 국문초록
(2) 외국문초록(중문은 번체로) (3) 참고문헌목록
(4) 필자의 신상정보(영문제목, 영문 성명, 주근무지 및 직위, 생년월일, 성별)
(5) 재직증명서 또는 소속기관신분증 사본(외국학자의 경우)
끝.
<중국사학회 우수논문상 정관>
1. 제정 경위
중국사학회 우수논문상은 2010년 4 월 10일 중국사학회 명예회장 芸卿 李 陽子 선생(중국사학회 제3대 회장 역 임)께서 기탁한 1,000만원을 기금으로 운영한다. 기금은 추후 확충해 나간다.
2. 목적
이 상은 중국사학회에서 간행하는 학술지 중국사연구에 우수한 논문을 유치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신진 소장학자들의 연구 의욕을 증진함 을 목적으로 한다.
3. 운영
이 상은 중국사학회장이 위원을 위 촉하여 <중국사학회 우수논문상 운영 위원회>를 구성하고, 여기에서 수상대 상의 선정과 시상 등 전반적인 사무를 관장한다. 위원장은 중국사학회장이 겸 하며 위원은 매년 5인 내외로 위촉한 다.
4. 시상 대상
이 상은 중국사학회에서 간행하는
학술지 중국사연구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서 아래와 같은 기준에 의거하여 심사위원이 선정한 우수논문에 대하여 시상한다.
(1) 중국사연구 투고하여 소정의
심사절차를 거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 로 심사한다.
(2) 심사 대상은 전년도 중국사연 구(2월간호-12월간호) 수록 논문으로 한다.
(3) 투고 심사 과정에서 평균 B 이 상의 우수한 평점을 받은 논문을 대상 으로 아래의 기준에 따라 심사한다.
1) 연구 내용의 창의성 2) 연구 방법의 참신성 3) 논지 전개의 타당성 4) 자료 인용의 적절성 5) 연구 목표의 성취도 6) 학문발전에의 기여도
(4) 평점이 같을 경우 아래와 같은 순으로 우선 선발한다.
1) 대학이나 연구소에 전임하지 않는 비전임 연구자
2) 연구비를 수혜받지 않은 논문 3) 연소자
5. 시상
시상은 중국사학회 4월 정례학술발 표회시에 한다.
6. 부칙
(1) 이 정관의 미비사항은 <중국사 학회 우수논문상 운영위원회>에서 결 정한다.
(2) 이 정관의 수정은 <중국사학회 우수논문상 운영위원회>의 만장일치로 결정한다.
(3) 이 정관은 2011년 1월 21일 제 정하여 공포한다.
今 號 執 筆 者
曺 福 鉉 慶熙大學校 후마니타스칼리지 客員敎授 羅 永 男 韓國外國語大學校 미네르바敎養大學 敎授 金 昌 圭 全南大學校 湖南學硏究院 HK敎授 閔 耕 俊 釜山大學校 師範大學 歷史敎育科 講師 金 東 哲 釜山大學校 人文大學 史學科 敎授 洪 松 勳 香港教育大學 社會敎育系 助理敎授 金 聖 熙 漢陽大學校 史學科 講師
李 槿 明 韓國外國語大學校 史學科 敎授 侯 傑 中國 南開大學 歷史學院 教授 任 啟 慧 中國 南開大學 歷史學院 硏究助理 李 净 昉 中國 天津师范大学 新闻传播学院 讲师
中國史學會 任員名單
顧 問 : 金 燁(世明大) 李炳柱(嶺南大) 李陽子(東義大) 全淳東(忠北大) 柳元迪(木浦大) 李潤和(安東大) 名譽會長 : 辛太甲(東亞大)
會 長 : 林炳德(忠北大) 副 會 長 : 尹貞粉(德成女大)
運營理事 : 金斗鉉(蔚山大) 宋正洙(全北大) 梁鍾國(公州大) 兪垣濬(慶熙大) 張義植(大邱大) 張寅成(忠南大) 鄭哲雄(明知大) 崔德卿(釜山大)
總務理事 : 金鍾健(韓東大) 金亨洌(東義大) 鄭誠一(大邱大) 硏究理事 : 孫承會(嶺南大) 尹在碩(慶北大) 李瑾明(韓國外大) 鄭淳模(忠南大) 曺世鉉(釜慶大)
編輯理事 : 姜判權(啓明大) 朴宣泠(慶北大) 李學魯(全南大) 涉外理事 : 金成奎(全北大) 都重萬(牧園大) 朴 橿(釜山外大) 宋漢鏞(全南大) 元廷植(江原大) 李俊甲(仁荷大) 鄭炳俊(東國大) 丁載勳(慶尙大) 鄭惠仲(梨花女大) 車惠媛(延世大) 洪性鳩(慶北大) 侯 傑(中國 南開大) 監 事 : 李京圭(大邱가톨릭大) 崔允精(慶北大)
林炳德 (忠北大) 崔德卿 (釜山大) 姜嬉靜 (西江大) 鄭淳模 (忠南大) 金榮濟 (檀國大) 李瑾明 (韓國外大) 辛太甲 (東亞大) 侯 傑 (中國 南開大) 金昌圭 (全南大) 朴宣泠 (世宗大)
이 학술지는 2014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 기술부 학술연구조성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 단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
中國史硏究 (隔月刊) 第 107 輯
2017年 4月 25日 印刷 2017年 4月 30日 發行
發 行 : 中 國 史 學 會 會 長 林 炳 德 印 刷 : 에 스 엠 인 쇄 사 ☎ (053) 255-4683
中國史學會 連絡處
大韓民國 41566 大邱廣域市 北區 大學路 80
(山格3洞1370) 慶北大學校 歷史敎育科(轉交) 大韓民國 41522 大邱廣域市 北區 伏賢路 88
(伏賢2洞 183-3) 301號
☎(053) 384-8696, Fax(053) 953-8509 Homepage: http://china.knu.ac.kr/
http://www-2.knu.ac.kr/~china http://chinahistory.jams.or.kr/
E-Mail: [email protected]
會 費: 一般會員(國內: 年40,000원, 國外: 年US$40) 終身會員(國內: 500,000원, 國外: US$500) 機關會員(年60,000원, 長期(10年): 600,000원) 納付口座: 郵遞局 703108-01-000903 中國史學會(정성일) 友利銀行(Wooribank) 1005-001-909723 中國史學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