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KISTI, 장애인 인력 활용 기계학습데이터 구축 사업 추진
- 약 60만 건의 연구보고서 내 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구축 - - 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디지털 포용 기여 기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디지털 포용 정 책 추진의 일환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협력하여 장애인 인력을 활용 한 과학기술 분야 기계학습데이터 구축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공공기관의 혁신에 관한 지침 제21조에 따라 공공기관은 다양한 근로 형 태 등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형평적 인력 활용이 활성화 되도록 해야 한다. 이에 KISTI는 9월 13일부터 10월 2일까지 장애인 제한 경쟁 채용 공고를 진행하여 9명의 장애인 인력을 채용하였다. 채용된 장애 인 인력은 10월 25일부터 약 5주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맞춤훈련센터 에서 기계학습데이터 구축 업무를 위한 직무 교육을 받고, 12월 1일부터 재택근무를 통해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장애인 인력을 활용하여 구축할 데이터는 약 60만 건의 국가 R&D 연구보 고서 내 참여연구원과 소속기관 정보이다. KISTI에서 자체 개발한 크라우 드 소싱 방식의 구축 시스템을 활용하여 비대면으로 진행하고, 데이터 품 질 검수와 필터링 단계를 두어 고품질 데이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보 도 자 료
배포 즉시 보도 가능합니다.
대전(본원): 대외협력실 이종성 042-869-0976 / 이해준 0676 / 손영주 0997
문의: 디지털큐레이션센터 이혜진 센터장(042-869-1673) /현미환 팀장(042-869-1719)
배포번호 : 2021-48
배포일자 : 2021.12.01.(수)
매수 : 보도자료 3매
(첨부자료 포함) 배포처 : 대외협력실
- 2 -
<데이터 구축 시스템 로그인 화면> <데이터 작업 할당 화면>
<데이터 구축 화면> <데이터 검토 화면>
이번 데이터 구축 사업은 KISTI에서 전담하고 있는 국가 R&D 연구보고서 유통과 성과 확산에 필수 요소인 고품질 DB 구축의 일환이며 이를 통해 과학연구 관련 장애인 일자리 개발을 통해 장애인 고용을 선도하는데 의 의가 있다. KISTI는 이번 사업을 통해 자체 개발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 여 사회적 약자의 사회활동 참여를 촉진시키고, 사회 계층 간의 장벽과 불
- 3 -
평등을 해소하는 디지털 포용의 실현을 기대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는 KISTI의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연계 융 합서비스 `ScienceON`을 통해 서비스 되고 AI 연구를 위한 기반 데이터로 다양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KISTI 디지털큐레이션센터 이혜진 센터장은 “이번 사업은 취업취약 계층 을 대상으로 AI 디지털 역량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기계학습 데이터 구축에 참여하여 국가과학기술 데이터 기반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는데 의의가 있다”라며, “자체 개발한 크라우드 소싱 방식의 기계학습 데이터 구축시스템을 활용하여 앞으로 다양한 계층의 고용 확대에 기여하 고, 구축된 기계학습데이터를 통해 AI 연구의 기반에 되는 데이터 산업 수 요에 부응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