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6. 26 ~ 2013. 8. 25)
1. 學會 動靜
(1) 中國史硏究 第85輯 第1次 編輯會 議
日時: 2013年 7月 13日(土) 12:00-13:30 場所: 學會事務室
1) 中國史硏究 第85輯에 投稿된 論 文原稿에 對한 審査委員을 選定 2) 中國史硏究 第85輯에 投稿된 其
他 原稿에 對한 揭載與否 審議 3)宋漢鏞(全南大), 兪長根(慶南大)
編輯委員 辭任, 姜嬉靜(西江大), 侯杰(中國 南開大), 金昌圭(全南 大) 編輯委員 新規 選任
(2) 中國史硏究 第85輯 第2次 編輯會 議
日時: 2013年 8月 10(土) 13:00-13:40 場所: 學會事務室
1) 中國史硏究 第85輯에 投稿된 特 輯原稿 揭載與否를 審議하여 一般 論文 7篇, 說林 1篇, 書評 2篇, 計 10篇 揭載 確定
2. 硏究分會 活動 現況
(1) 明淸史硏究會 讀會 (隔週 土曜日) 敎材: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9 場所: 學會事務室
(2) 中國史學史硏究會 讀會 (每週 木曜 日)
敎材: 王夫之, 讀通鑑論
場所: 安東大學校 人文大學 李潤和 敎授硏究室
(3) 東西文化交流史硏究會 讀會 (隔週 土曜日)
敎材: 明淸之際中西文化交流史 場所: 學會事務室
3. 新入會費 (1) 一般會員
587 黃普基 (歷史學博士, 中國 浙江 工商大學 東亞文化硏究院 硏究員) (2) 一般會員에서 終身會員으로 轉換
559 鄭恩主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 閣 專任硏究員)
4. 會費 및 贊助金 納付
학회비 및 찬조금 입금 내역을 휘 보에 공지하는 것으로 영수증 발급 을 대신합니다. 임금액을 숫자(단위:
만원)로 표기합니다.
<一般會費> 김기효(4), 黃普基(4)
<終身會費> 정은주(50)
<原稿揭載料> 최덕경(30), 김선민(10), 윤정분(20), 이병인(10), 김승욱(32), 김승욱(30)
<DB사용료> 한국학술정보(162.4)
5. 受贈圖書目錄 (接收順)
1418 廣島東洋史學報 第17号 (廣島:
廣島東洋史學硏究會, 2012.12) 1419 中國史硏究 2013-1 (總137期,
北京: 中國社會科學院 歷史硏究所, 2013.2)
1420 中國史硏究動態 2013-1 (總397 期, 北京: 中國社會科學院 歷史硏究 所, 2013.2)
1421 考古學報 2013-2 (總189期, 北 京: 中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 2013.4)
1422考古 2013-1 (總544期, 北京: 中 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 2013.1) 1423考古 2013-2 (總545期, 北京: 中
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 2013.2) 1424考古 2013-3 (總546期, 北京: 中
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 2013.3) 1425考古 2013-4 (總547期, 北京: 中
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 2013.4) 1426 漢學硏究 第31卷 第1期 (總號第
72號, 臺北: 漢學硏究中心, 2013.3) 1427 東洋史硏究 第71卷 第4號 (京
都: 東洋史硏究會, 2013.3)
1428 中央硏究院 歷史語言硏究所 集 刊; 慶祝歷史語言硏究所成立八十五 周年 第84本 第1分 (臺北: 中央硏 究院 歷史語言硏究所, 2013.3)
1429 軍史 제87호 (6·25전쟁 정전60 주년 특집,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 연구소, 2013.6)
(이상 접수번호 오류로 다시 수록함) 1430中國歷史地理論叢 2003-2 (總第
207輯, 西安: 陝西師範大學西北歷史 環境與經濟社會發展硏究院, 2013.4) 1431 中國史硏究動態 2013-2 (總396
期, 北京: 中國社會科學院 歷史硏究 所, 2013.4)
1432 中國史硏究動態 2013-3 (總399 期, 北京: 中國社會科學院 歷史硏究 所, 2013.6)
1433 中國史硏究 2013-2 (總138期, 北京: 中國社會科學院 歷史硏究所, 2013.5)
1434考古 2013-5 (總548期, 北京: 中 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 5) 1435考古 2013-6 (總549期, 北京: 中
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 2013.6) 1436 臺大文史哲學報 第78期 (臺北:
國立臺灣大學文學院, 2013.5) 1437 中央硏究院 歷史語言硏究所 集
刊; 慶祝歷史語言硏究所成立八十五 周年 第84本 第2分 (臺北: 中央硏 究院 歷史語言硏究所, 2013.6) 1438 東洋史硏究 第72卷 第1號 (京
都: 東洋史硏究會, 2013.6)
1439明後期 戚繼光의 戰法 硏究 (洪 乙杓, 江原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文學博士學位論文, 2013.6); 저자 기 증
1440 國史紀史本末(1949-1999) 第1卷 國民經濟恢復時期 (魏宏運 主編, 王
金香 撰, 瀋陽: 遼寧人民出版社, 2003.1)
1441 國史紀史本末(1949-1999) 第2卷 社會主義過渡時期 (魏宏運 主編, 鄭 志廷·沙友林 撰, 瀋陽: 遼寧人民出 版社, 2003.1)
1442 國史紀史本末(1949-1999) 第3卷 社會主義探索時期(上) (魏宏運 主 編, 岳林 撰, 瀋陽: 遼寧人民出版社, 2003.1)
1443 國史紀史本末(1949-1999) 第4卷 社會主義探索時期(下) (魏宏運 主 編, 祁建民 撰, 瀋陽: 遼寧人民出版 社, 2003.1)
1444 國史紀史本末(1949-1999) 第5卷 文化大革命時期 (魏宏運 主編, 劉 景泉·裴莘·沈久泉·賈曉慧 撰, 瀋陽:
遼寧人民出版社, 2003.1)
1445 國史紀史本末(1949-1999) 第6卷 改革開放時期(上) (魏宏運 主編, 李 正華·謝双明 撰, 瀋陽: 遼寧人民出 版社, 2003.1)
1446 國史紀史本末(1949-1999) 第7卷 改革開放時期(下) (魏宏運 主編, 謝 双明·李正華 撰, 瀋陽: 遼寧人民出 版社, 2003.1); 이상國史紀史本末 7권 박근형님 기증
1447 현대중국의 진화와 지식네트워 크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 소 총서·3, 박영순·박철현·송인재·
은종학·이광수·이홍규·임대근·최은 진 지음, 서울: 도서출판 길, 2013.6)
1448 현대 중국의 학술운동사: 베이징
대학 연구소 국학문(國學門)을 중 심으로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 연구소 번역 총서·4, 천이아이(陳以 愛 지음 / 박영순 옮김, 서울: 도서 출판 길, 2013.6)
6. 特別寄贈圖書目錄
회원 특별기증도서는 1부만 보관 하고 나머지는 30% 할인 판매하여 학회 기금으로 편입합니다.
<공지>
1. 中國史學會 今年 學術發表會 日程을 아래와 같이 豫告합니다. 發表 參 與를 원하시는 분은 硏究分科로 申 請해 주십시오.
<第79回 學術發表會>
日時: 2013年 9月 13日(金)
場所: 安東大學校 國際交流館 2層 中 會議室
主題: 中國 文化와 社會에 대한 歷史 的 再照明
<第80回 學術發表會>
日時: 2013年 12月 13日(金), 또는 14 日(土)
場所: 東亞大學校 主題: 未定(自由主題)
<第81回 學術發表會>
日時: 2014年 4月 11日(金), 또는 12 日(土)
場所: 首都圈(未定)
主題: 未定(自由主題)
2. 기타 제 규정 및 공지사항은 학회 홈페이지(http://www-2.knu.ac.
kr/~china 또는 http://chinahistory.
jams.or.kr/) 참조하시고, 문의사항 은 [email protected]으로 보내 주세요.
-끝-
< 중국사학회 회칙 >
(2007.12.9수정)
제 1 장 총 칙 제 2 장 회 원 제 3 장 기구 및 의결 제 4 장 임원 선거 및 임기 제 5 장 재 정 제 6 장 부 칙
<부록>회칙수정일자 및 내용
제 1 장 총 칙
제 1 조 (명칭) 본회는 중국사학회라 칭한다
제 2 조 (목적) 본회의 목적은 회원의 공동 연구를 통해 중국 및 중국 유 관 지역 역사의 과학적 인식을 도모 하고 중국 및 세계사의 이해를 심화 하여 역사적 인식을 재고하고자 함 에 있다.
제 3 조 (구성) 본회는 본회의 목적에 찬성하는 회원으로 구성한다.
제 2 장 회 원
제 4 조 (회원) 본회의 회원은 정회원, 준회원, 명예회원으로 구성한다. 1) 정회원은 본회의 각 연구분회에
소속되며, 공동 연구, 회무 심의 등 본회의 사업 전반에 참여한다. 정회 원의 자격요건은 대학 전임교원, 강 사, 연구원, 각급학교 교사, 대학원 석사과정 수료이상자 및 이에 준하
는 자로 한다.
2) 준회원은 본회의 각종 학술활동 에 참여할 수 있다. 준회원은 대학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생 및 이에 준하는 자로 한다.
3) 명예회원은 본회의 활동과 사업 을 지원하는 개인 및 단체로서 이사 회에서 위촉한다.
제 5 조 (가입) 정회원은 정회원 5인 이상의 추천으로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가입한다. 준회원은 정회원의 추천을 받아 가입한다.
제 6 조 (권리) 본회의 회원은 회칙에 따라 본회에서 주관하는 각종 사업 에 참여할 수 있다.
제 7 조 (의무) 본회의 회원은 본회의 회칙과 본회 소정의 제반 결정시항 을 준수할 의무를 진다.
제 8 조 (탈퇴) 본회 회원으로서 본회 소정의 의무를 불이행하거나 이사회 의 징계를 받은 경우 및 본인이 원 하는 경우 탈퇴 처리된다.
제 3 장 기구 및 의결
제 9 조 (기구) 본회는 총회, 이사회, 편집위원회, 연구분회의 기구를 관 장한다.
제 10조 (총회)
1) 구성 : 총회는 정회원과 명예회원 으로 구성된다.
2) 기능 : 회칙 개정, 임원 개선 및 기타 본회의 제반 사항을 심의 의결 한다.
3) 회의 :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를 가
진다. 정기총회는 매년 회기말에 정 기적으로 소집되며, 임시총회는 회 장, 이사회 또는 정회원 1/3이상의 요구로 소집된다. 총회는 회장이 의 장이 되어 다수결로 의결한다. 제 11조 (이사회)
1) 구성 : 이사회는 회장, 부회장, 운 영위원회 및 각 분과위원회 이사로 구성된다.
2) 운영위원회 : 본회의 장기적인 발 전을 위한 기획 및 운영 전반에 대 한 자문을 담당한다.
3) 분과위원회 : 연구, 총무, 편집, 섭외분과 위원회를 두며, 필요시 총 회의 결의로 임시 위원회를 둔다.
(1) 연구분과 : 본회의 연구 활동 전반을 관장한다.
(2) 총무분과 : 본회의 회원관리, 재정 및 제반 사무를 관장한다.
(3) 편집분과 : 본회의 학술지, 회 지, 연구홍보물 및 기타 출판물의 편집, 출판관련 제반 업무를 관장한 다.
(4) 섭외분과 : 본회의 대외활동 및 각종 교섭 관련 업무를 관장한 다.
4) 회의 : 회장 및 이사 2인 이상의 요구로 수시로 소집된다. 통상업무 를 제외한 이사회 의결 집행 사항은 총회의 事前 事後승인을 얻어야 한 다.
제 12조 (편집위원회)
1) 구성 : 회장의 제청으로 이사회에 서 선임한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임무 : 본 학회 학술지 『中國史 硏究』에 수록할 원고를 심사하는 제반 절차를 관장하며, 구체적인 내 용은 별도의 <논문 심사 및 편집규 정>에 따른다.
제 13조 (연구분회)
1) 구성 : 필요시 정회원 3인 이상의 발기로 구성되어 공동 연구를 수행 하며, 연구분과의 관장을 받는다.
제 4 장 임원 선거 및 임기
제 14조 (임원) : 본회는 회장, 부회장, 이사 및 연구분회 간사를 둔다. 1) 회장 : 본회의 회무를 총괄하며,
총회 및 이사회의 의장이 된다. 2) 부회장 : 회장을 보좌하며 회장
유고시 그 직을 대행한다.
3) 이사 : 운영위원회와 각 분과위원 회의 사무를 관장하며 1명 이상을 둘 수 있다.
4) 감사 : 본회의 제반 사무를 감사 하며 2인을 둔다.
제 15조 (임원 선출 및 임기)
1) 회장, 부회장 : 총회 출석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선출하고 임기는 2 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2) 이사 : 회장의 제청으로 총회의
인준을 받으며, 임기는 2년으로 한 다.
3) 감사 : 총회에서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선출하고 임기는 2년으로 한다.
제 5 장 재 정
제 16 조 (재정) 본회의 재정은 회비, 후원금 및 기타 사업수익금으로 충 당한다.
제 17조 (회비) 본회의 정회원은 년회 비를 납부해야 하며, 종신회비로 대 신할 수도 있다. 회비 금액은 매년 정기총회에서 결정한다.
제 18조 (집행) 본회의 재정은 회장의 결재로 총무분과에서 집행하고 총회 에서 승인을 받는다.
제 6 장 부 칙
제 19 조 (회칙개정) : 본 회칙은 회원 1/3이상 또는 이사회 1/3이상의 발 의로 총회에서 출석 과반수의 동의 를 얻어 개정할 수 있다.
제 20 조 (발효) : 본 회칙은 1996년 10월 개정 발효한다.
제 21 조 (보칙) : 본 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통상관례에 따른다.
<부록>회칙수정일자 및 내용 (1) 1998년 12월 12일 총회 : 제 12 조
(편집위원회) 신설하고 제 13 조의 2항(연구분회 내용) 삭제, 제 14조, 15조의 3항 감사관련 조항을 신설하 고 연구분회 간사 조항을 삭제함. (2) 1999년 12월 11일 총회 : 제 4 조
1항과 2항의 회원자격 관련 내용을 추가하고 제 11 조 2항(운영위원회) 을 신설하고 제 14조 3항 감사를 2 인으로 증원함.
(3) 2000년 12월 9일 총회 : 부회장 신 설 관련 제 14 조 2항 전문을 추가 하고 제 11조와 제 15조의 부회장 관련내용을 추가함.
끝.
< 중국사연구 논문심사 및 편집규정 >
(2007.12.9수정)
1. 논문의 게재 신청
1) 현재 『중국사연구』(격월간)의 간 행 예정일은 매년 2월 28일, 4월 30 일, 6월 30일, 8월 31일, 10월 31일, 12월 31일이다. 따라서 논문을 게재 하려는 회원은 간행일 2개월 전(12 월 31일, 2월 28일, 4월 30일, 6월 30일, 10월 31일, 8월 31일)까지 논 문을 편집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2) 논문은 학회에서 별도로 규정한
원고 작성요령에 따라 작성하며, 논 문이 수록된 파일 또는 출력된 원고 3부를 제출한다.
2. 게재 희망 논문의 신청 우선 순위 1) 본 학회 주최 각종 학술 발표회에
서 발표한 논문.
2) 타 학회 주최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
3) 타 학회 주최 국내학술발표회에서 발표한 논문.
4) 기타 회원의 게재 희망 논문.
3. 편집위원 위촉과 편집위원회 구성 1) 학회 회칙에 의거하여 회장은 다
년간 중국사연구를 진행해 온 10명 내외의 중진학자를 편집위원으로 위 촉한다.
2) 학회 회장과 편집위원으로 편집위 원회를 구성한다.
4. 논문심사 소위원회의 구성과 논문의 심사
1) 편집위원회는 위원장(학회 회칙에 의거 학회장이 담당)의 책임하에 제 출된 논문에 대해서 심사한다. 2) 논문 한 편당 3-5인의 심사위원을
선정하여 논문심사 소위원회를 구성 하고 가부를 엄정 심사한다.
3) 공정한 심사를 위하여 논문심사 소위원회에는 투고자와 같은 대학 재직자나 투고자의 지도교수를 제외 한다.
4) 편집위원회는 각각의 논문에 대한 논문심사 소위원회의 명단을 공개하 지 않으며 심사용 논문도 익명으로 위촉한다.
5. 논문의 심사기준
1) 중국사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 논 문을 그 심사 대상으로 하며 직접적 으로 중국사와 관련된 논문이 아니 더라도 중국사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논문으로 판단될 경우 편집 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게재할 수 있 다.
2) 심사는 개별적 평가와 심사결과 판정으로 구분하며 심사자의 심사요 지를 첨부한다.
3) 개별적 평가는 ① 연구내용의 창 의성 ② 연구 방법의 참신성 ③ 논 지 전개의 타당성 ④ 자료 인용의 적절성 ⑤ 연구 목표의 성취도 ⑥ 학문발전에의 기여도 및 ⑦종합 평 가의 7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실시한다.
4) 개별적 평가에 대한 평점은 A(국 내외 20%이상 수준에 해당하는 논 문), B(20-50%에 해당하는 논문), C(50%이하에 해당하는 논문)로 판 정한다.
5) 심사 결과는 ① 게재(투고된 상태 로 게재) ② 조건부 게재(부분적인 수정·보완 후 게재할 수 있는 논문)
③ 게재유보(전반적인 수정·보완이 필요한 논문)로 판정한다.
6) 논문 심사 결과는 기록으로 남긴 다.
7) 연구윤리와 관계되는 사항은 별도 의 중국사연구』연구윤리 규정에 따른다.
6. 논문 게재 여부의 결정
1) 편집위원회는 논문심사 소위원회 3분의 2이상의 적합 판정을 얻은 논 문에 대해 게재를 허가하고 간기별 게재 논문 수를 조정한다.
2) 편집위원회는 논문심사 소위원회 에서 조건부 게재 또는 게재 유보로 확정된 원고는 투고자에게 심사 결
과를 첨부하여 논문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3) 게재 유보 판정을 받은 논문은 지 적 사항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진 이 후 재심사를 의뢰하여 게재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7. 기타
1) 논문심사 소위원회 위원에게는 소 정의 논문 심사료를 지급할 수 있 다.
2) 규정(인쇄된 본문 기준 30쪽) 이상 으로 긴 원고에 대해서는 일정의 투 고료를 징수하며(쪽당 10,000원), 연 구비 수령논문에 대해서는 원고료 (교내연구비 20만원, 교외연구비 30 만원)를 징수하며, 일반원고도 원고 료(전임교수 10만원, 비전임교수는 징수 유예 허용) 징수한다.
3) 워드작업이 안된 원고의 투고자에 게는 워드편집비를 청구할 수 있다. 4) 위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
적인 관례에 따른다.
5) 이상의 규정은 편집위원회의 결의 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부록>규정 수정일자 및 내용 1. 1997.12.20 1997년도 정기총회에서 1
의 1) 간기를 2회로 증회하고 간행 일 조정(2월 28일, 8월 31일).
2. 1998.12.11 정기총회에서 편집위 발 의의 본안건을 위임받아 1999.4.10.
이사회에서 1999년도부터 간기를 연 3회로 증회하고 간행일 조정(2월 28
일, 6월 30일, 10월 31일).
3. 1999.12.11 정기총회에서 편집위 발 의의 본안건을 위임받아 2000.1.27 이사회에서 2000년도부터 간기를 연 4회로 증회하고 간행일 조정(2월 28 일, 5월 31일, 8월 31일, 11월 30일) 4. 2000년 1월 12일 편집위원회에서 7.
기타 2)항의 원고료 금액을 명시함. 5. 2002년 2월 15일 편집위원회에서 7.
기타 2)항의 원고초과게재료 금액을 5,000원으로 인상함.
6. 2002.12.14 정기총회에서 편집위 발 의의 본 안건을 위임받아 2003년 1 월 16일 이사회에서 1조 1)항 간기 관련, 2003년도부터 간기를 연6회 (격월간)로 증회하고 간행일을 조정 (2월 28일, 4월 30일, 6월 30일, 8월 31일, 10월 31일, 12월 31일)하였으 며, 7조 2)항의 초과게재료 금액을 쪽당 10,000원으로 인상하고, 원고료 관련 금액을 명시함
6. 2007.12.9일 정기총회의 결의에 따라 제5조 제7항 연구윤리관련 내용을 추가함.
끝.
< 중국사연구 연구윤리 규정 >
(2007년 12월 9일 제정)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중국사학회에서 발간하는 학회지 중국사연구의 논문 게재와 관련된 연구윤리를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2조(연구자의 윤리 의무)
① 연구자는 각자가 수행하는 연구에 서 학문 윤리 차원의 정직성을 유 지해야 한다. 연구 주제의 도출, 연 구비 지원, 연구결과의 출판,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공정한 보상 등 연구 과정 전반에 관한 정직한 윤 리 의식을 지켜야 한다.
② 연구자는 학술적 저작물의 인용시 반드시 인용 근거를 밝히는 것을 비롯한 일반 원칙을 준수해야 한 다.
③ 연구자는 다른 학술지나 단행본 등 에 게재한 논문을 중복 게재하지 않아야 한다. 부득이하게 부분적 중복 게재를 할 경우 이 이유와 근 거를 명시하여야 한다.
④ 연구자는 타인의 저작물의 내용을 표절하지 않아야 한다.
⑤ 연구자는 연구 윤리와 관련된 기타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⑥ 연구자는 본조 제2항-5항에 위배 되는 사례가 발생할 경우 즉시 학
회에 보고해야 한다.
⑦ 연구자는 자신의 이익과 타인 또는 타 기관의 이익이 상충하거나, 상 충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이를 공 표하고 상응하는 의무를 지켜야 한 다.
제3조(연구윤리위원회)
① 연구윤리에 관한 심의를 위해 연구 윤리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 를 둔다.
② 위원회는 회장, 부회장, 편집이사, 연구이사, 편집위원 가운데서 15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③ 위원장은 회장이 겸하며, 부위원장 및 간사는 위원회에서 호선한다.
④ 위원은 회장이 임명하며,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 다.
제4조(위원회의 운영)
① 위원회는 회장의 요청이 있을 경우 또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 위원장이 소집한다.
② 위원회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 으로 성립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단, 위임장은 위원회의 성립에서 출석으로 인정 하되 의결권은 부여하지 않는다.
③ 위원회의 심의 대상인 연구에 관여 하고 있는 위원은 그 연구와 관련 된 심의에 참여할 수 없다.
④ 위원장은 심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 우 연구책임자 혹은 관리책임자에
게 자료의 제출 또는 보고를 요구 할 수 있다.
⑤ 위원은 심의와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하여 비밀을 준수한다.
제5조(위원회의 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 다.
① 학회와 관련된 제반 연구발표물에 대하여 제기된 연구윤리에 관한 사 항
② 연구윤리 및 교육에 관한 사항
③ 학회와 관련된 연구과제의 연구책 임자나 관리책임자가 부여하는 연 구윤리에 관한 사항
④ 기타 위원장이 부여하는 연구윤리 에 관한 사항
제6조(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처리)
① 학회와 관련된 연구윤리 위반 사례 가 발생한 경우, 위원회는 그 혐의 에 대한 적절한 조사와 처리를 해 야 한다.
② 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조사는 기밀 을 유지한다.
③ 연구윤리 위반 혐의를 받는 자는 위원회의 조사결과에 대하여 반론 을 제기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④ 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조사의 결과 는 학회에 보고하며, 그 기록은 처 리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3년간 학 회에 보관한다.
⑤ 조사 결과 연구윤리 위반이 확정될 경우, 이를 공표하고 다음과 같이
조치한다.
㉠ 연구윤리를 위반한 논문은 학회 지 게재를 불허한다. 게재 논문의 경우 에는 학회지의 논문목록에서 삭제하고, 학회는 이 사실을 회원 및 관련 학술기 관에 공지한다.
㉡ 연구윤리를 위반한 논문의 저자 에게는 이후 5년간 학회지 논문 투고를 금지한다.
제7조(연구윤리 확약서)
투고자의 연구윤리 규정 준수를 확 인하기 위해 연구윤리 확약서 제출을 의무화한다.
① 투고자는 학회지에 논문게재를 신 청할 때 연구윤리 확약서를 연구윤 리위원회에 제출한다.
제8조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 례에 따른다.
부칙 끝.
< 中國史硏究 原稿作成方法>
1. 본문 작성 방법
(1) 원고는 "아래아한글 2002“ 이상으 로 작성한다.
(2) 제목은 글자크기 18, 신명조로 하 고, 필자명은 크기 12로 한다. 제목 과 필자명은 검색시의 편의를 위해 한자(정자)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필자의 소속을 괄호 속에 표기하고, 공동집필한 원고인 경우 집필자의 이름을 병기한다. 다만 공동집필의 경우라도 책임연구자와 보조연구자 로 구분될 경우 후자는 각주로 내려 서 표기한다.
(3) 표제는 신명조 크기 18로 하며, 장절 제목은 각각 신명조로 하고, 표기는 Ⅰ, 1, 1), (1)의 순으로 한다.
Ⅰ의 크기는 15, 1은 13, 1)은 11, (1)은 10으로 한다.
(4) 본문은 신명조로 하며, A4용지에 서 폭 150, 길이 212.4, 위쪽 20, 아 래쪽 10, 머리말 10, 꼬릿말 10으로 설정하여 작성한다. 글자모양은 글 자크기 10, 장평 97, 자간 -3으로 하 며, 문단모양은 들여쓰기 2, 줄간격 160%으로 한다.
(5) 도표는 반드시 "표" 기능을 사용 하여 작성한다. 표 내용은 글자크기 8, 줄간격 110을 원칙으로 하며 부 득이한 경우 가감을 허용한다. 도표 의 캡션은 일련번호를 취하도록 하 고 캡션글자는 중고딕 글자크기 9, 가운데 정렬을 원칙으로 한다. 도표
의 캡션번호는 ‘<도1>’ ‘<표1>’의 형식으로 부각시킨다.
(6) 작성된 원고가 국문일 경우 외국 어로, 외국어일 경우 국문으로 요약 (Abstract)을 첨부한다. 그리고 본문 말미에 주제어(국문, 중국어, 영어) 를 엄선 수록한다.
(7) 괄호 표기는 ( ), 「 」순으로 하고, 원문에 있는 주석은 ( )로 처 리한다.
(8) 연대의 표시는 서기를 원칙으로 하며 불가피한 경우 ( )를 이용하 여 병기한다.
(9) 숫자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경우 를 제외하고 아라비아 숫자의 사용 을 원칙으로 한다.
2. 인용문의 작성 방법
(1) 인용문은 번역을 원칙으로 한다. (2) 인용문이 2행 이상인 경우 별행으
로 처리하되, 신명조 글자크기 9, 장 평 97, 자간 -3, 줄간격 130%으로 한다. 문단모양은 좌우여백을 각각 2로 한다.
(3) 필자가 덧붙인 설명은 [ ]안에 넣어 원문과 구분하고, 강조하는 부 분은 밑줄을 긋고 ( )안에 '원문'이 라고 표시한다.
3. 각주의 작성 방법
(1) 각주에 인용된 자료 소개는 다음 과 같은 순서로 한다.
1) 한적의 경우
저자(편저자), 「편명」,『책이름』
권수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판 수; 『총서명』, 판수), 쪽수. 2) 단행본의 경우
동양어 : 저자, 『책이름』 권수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판수; 총서명 권수, 판수), 쪽수.
서양어 : 책이름만 이탤릭체로 하며 나머지는 위와 같이 한다.
3) 정기간행물의 경우
동양어 : 저자, 「논문제목」(잡 지명 권-호, 출판지: 발행처, 년도), 쪽수.
서양어: 논문은 "논문제목"으로, 잡 지명은 이택릭체로 하며 나머지는 위와 같이 한다.
(2) 면수를 표시할 경우 'p', 'pp', 를 원칙으로 한다. 2면 또는 4면의 원 문이 한 페이지에 수록된 영인본 등 은 각 면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일관성 있게 표시한다.
(3) 여러 인용 자료를 연속해서 소개 할 때는 ‘; ’으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4) 동일한 자료를 여러 번 인용할 경 우 최초 이외에는 ( )로 묶은 출판 정보를 생략한다. 약칭을 사용할 때 에는 최초 인용시 이를 ‘; ’ 표시후 명기한다.
(5) 각주의 글자모양은 신명조 글자크 기 8.7, 장평 97, 자간 -3으로 한다. 각주의 문단모양은 왼쪽여백 2, 내 어쓰기 2, 줄간격 130%로 한다. (6) 역자 혹은 편자일 경우는 반드시
이름 뒤에 '역' 혹은 '편'을 덧붙인 다. 공동 저작일 경우 이름 사이에
'·'를 넣어 표기한다. 저자가 많을 경우 ‘대표저자 외’의 형식으로 표 기한다.
(7) 년월 표시는 가급적 ‘년도.월.일’의 형식으로 축약한다.
(8) 호마다 페이지가 있으면서 전체 권의 일련 페이지도 있는 잡지의 경 우 그 호의 페이지를 적는다. 4. 원고제출시 학술진흥재단 데이터베
이스 등록을 위해 아래 자료를 추가 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1) 국문초록
(2) 외국문초록(중문은 번체로) (3) 참고문헌목록
(4) 필자의 신상정보(영문제목, 영문성 명, 주근무지 및 직위, 생년월일) (5) 재직증명서 또는 소속기관신분증
사본(외국학자의 경우) 끝.
중국사학총서
판례를 통해서 본 청대 형법
나까무라 시게오 지음 임대희․박춘택 옮김
서경문화사 ․ 정가 13,000원
중국사학총서
세미나 위진남북조史
임대희․이주현․이윤화 외 옮김
서경문화사 ․ 정가 13,000원 중국사학총서
세미나 수당오대史
임대희 외 옮김 서경문화사 ․ 정가 19,000원 중국사학총서
중국역대 陵寢제도
양관 지음, 장인성․임대희 옮김 서경문화사, 2005.5
정가 9,000원 중국사학총서
宋代에 있어서의
가와무라 야스시 지음, 임대희 옮김,
養子法
2005.5, 서경문화사 ․ 정가 13,000원
今 號 執 筆 者
安 洵 亨 昌原大學校 文科大學 史學科 講師 李 正 美 江原大學校 文化藝術大學 講師 尹 貞 粉 德成女子大學校 人文大學 史學科 敎授 李 雷 波 中國北京大學 历史学系 博士硏究生 李 丙 仁 韓國敎員大學校 歷史敎育科 敎授
金 承 郁 서울市立大學校 都市人文學硏究所 HK敎授 具 素 英 中國人民大學 中共黨史系 博士硏究生 刘 宗 珍 中国政法大学 憲法與行政法學 博士研究生 張 呈 忠 中國 清華大學 人文學院 歷史系 博士硏究生 侯 杰 中國 南開大學 歷史學院 教授
李 淨 昉 中國 南開大學 文學院 博士後研究員
中國史學會 任員名單
顧 問 : 金 燁(世明大) 李炳柱(嶺南大) 李陽子(東義大) 名譽會長 : 全淳東(忠北大) 柳元迪(木浦大)
會 長 : 李潤和(安東大)
副 會 長 : 辛太甲(東亞大) 任大熙(慶北大)
運營理事 : 徐正欽(安東大) 宋正洙(全北大) 兪垣濬(慶熙大) 兪長根(慶南大) 尹貞粉(德成女大) 李京圭(大邱가톨릭大) 張寅成(忠南大) 崔德卿(釜山大) 河政植(崇實大) 總務理事 : 金鍾健(韓東大) 金亨洌(東義大) 鄭誠一(大邱大) 硏究理事 : 孫承會(嶺南大) 尹在碩(慶北大) 李瑾明(韓國外大)
鄭淳模(忠南大) 曺世鉉(釜慶大)
編輯理事 : 姜判權(啓明大) 朴宣泠(慶北大) 李學魯(高麗大) 林炳德(忠北大)
涉外理事 : 金斗鉉(蔚山大) 金成奎(全北大) 都重萬(牧園大) 朴 橿(釜山外大) 宋漢鏞(全南大) 梁鍾國(公州大) 元廷植(江原大) 李俊甲(仁荷大) 鄭炳俊(東國大) 丁載勳(慶尙大) 鄭哲雄(明知大) 崔秉洙(忠北大) 洪性鳩(慶北大) 侯 杰(中國 南開大)
監 事 : 徐銀美(釜山大) 張義植(大邱大)
林炳德 (忠北大) 崔德卿 (釜山大) 姜嬉靜 (西江大) 李潤和 (安東大) 金榮濟 (檀國大) 李瑾明 (韓國外大) 辛太甲 (東亞大) 侯 杰 (中國 南開大) 金昌圭 (全南大) 朴宣泠 (慶北大)
이 학술지는 2012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 기술부 학술연구조성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 단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
中國史硏究
(隔月刊) 第 85 輯
2013年 8月 25日 印刷 2013年 8月 31日 發行
發 行 : 中 國 史 學 會 會 長 李 潤 和 印 刷 : 에 스 엠 인 쇄 사
☎ (053) 255-4683
中國史學會 連絡處
大韓民國 702-701 大邱廣域市 北區 山格3洞 1370 慶北大學校 師範大學 歷史敎育科 (轉交) 大韓民國 702-022 大邱廣域市 北區 伏賢2洞 183-3
德壽Building 301號
☎(053) 384-8696, Fax(053) 953-8509 Homepage:http://www-2.knu.ac.kr/~china
http://chinahistory.jams.or.kr/
E-Mail: [email protected]
會 費: 一般會員(國內: 年40,000원, 國外: 年US$40) 終身會員(國內: 500,000원, 國外: US$500) 機關會員(年60,000원, 長期(10年): 600,000원) 納付口座: 郵遞局 703108-01-000903 中國史學會(정성일)
友利銀行(Wooribank) 1005-001-909723 中國史學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