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시스템 개발 및 기후변화 메커니즘 연구 기후예측시스템 개발 및 기후변화 진단 연구
구름 속 기단의 수직 속도는 아래 공식에 의해 결정됩니다. 질량 플럭스 유형 적운 매개변수화 체계에서 구름 바닥 질량 플럭스는 적운의 전체 강도를 나타냅니다.
14) 한편 CAPE은 아래의 수식과 같이 구름 공기괴의 부력을 구름 바닥부터 구름 꼭대기까지
이러한 구름이 표면 방향 복사를 차단하기 때문에 표면 온도가 낮아지고 육지 위의 강수량도 육지(예: 아프리카, 중국, 남아메리카) 위의 구름에 의해 생성되는 강수량으로 인해 감소합니다. 따라서 적도 남태평양 지역의 강수량은 크게 증가하는 반면, 난수지 지역의 강수량은 크게 감소하며, 지구 표면 온도도 크게 감소합니다.
즉, 관측치의 변동성 크기가 모델보다 작게 나타납니다. 동태평양에서만 SST가 감소합니다.
남반구에서 남위 40° 이남에서 발생하는 남극해 온난화 편향은 지구 시스템 모델의 대표적인 편향으로 언급되어 왔다. 특히 엘니뇨와 관련된 해수면 온도 이상 현상은 CM2.5보다 모의 관측에 더 가깝습니다.
자료동화 시스템 개발 및 기후재분석 자료 생산
DASK는 SODA보다 낮은 해상도의 수치모델을 사용하였고, ECDA보다 간단한 데이터동화기법인 Ensemble Optimal Interpolation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1983년부터 1988년까지 평균한 자료에서는 적도 이남에서 발생하는 ITCZ의 세력이 약화되고 SPCZ가 더욱 남쪽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대서양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는데, ECDA에서 더 남쪽으로 가장 큰 열 수송이 이루어집니다.
지구시스템 모델을 활용한 기후예측시스템 개발
또한 6개월 예보의 경우 인도양과 남서부 아적도 태평양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2월부터 시작되는 실험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실험에서도 적도대서양, 북태평양, 북서태평양 지역에 대한 6개월 예보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25% 편향 보정 실험은 통합 시작 시 가장 낮은 예측 성능을 보여줍니다.
CMIP6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생산
KIOST-ESM 및 CM2.5K는 일반적으로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MLD를 과대평가합니다. KIOST-ESM PI 제어와 관측 간의 ENSO 시뮬레이션 차이는 해양과 강수량의 민감도 차이에도 반영됩니다. 해양의 경우 남극 주변부는 다른 바다에 비해 낮은 온도 상승을 보였으며, 북대서양 일부 지역에서도 감소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KIOST 지구시스템 모형의 모의 성능 및 예측성 평가
- 대규모 순환장
- 열대 및 중위도 원격상관의 예측성
- KIOST 지구시스템모형에서 나타나는 태풍활동 모의 진단
재분석 자료를 통해 GPI 종합지도를 보면 서태평양 북부 지역에 큰 아노말리가 있으나, 30N 이상의 고위도에서는 태풍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고위도 GPI 아노말리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재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한 GPI 종합지도를 보면 서태평양 북부 지역의 편차가 크다. 그러나 30°N 이상의 고위도에서는 태풍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고위도 GPI 편차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기능이 모든 모델에 존재하지만 세부적으로는 모델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점입니다.
KIOST 모형 및 재분석자료를 이용한 기후변화 진단연구
- 북서태평양 겨울철 SST 변동 기작의 장기 변화 규명
- KIOST 기후재분석 자료를 활용한 대서양 자오면 순환 분석
- 그린란드 지역의 기후 변동성 모의
- 그린란드 빙권의 변동 메커니즘 연구
반면 소다에서는 약 8년의 단기 변동이 큰 변동으로 나타났다. FOAM 모델의 경우 지형 표고가 낮고 토양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질량수지는 대조 시험에서 음의 질량수지 값을 나타냈습니다(그림 2.6.9). 이는 육빙 높이가 이보다 높으면 현재 육빙 수준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기후 영향으로 이 높이보다 낮으면 자연적인 되먹임 현상으로 결국 그린란드 육빙이 모두 녹을 수 있다는 뜻이다. 현상. 그 뜻은.
기후변화 예측성 연구
- CMIP5 모델의 Inter-model diversity 분석을 통한 Bias 분석
이 결과는 이 기간모델의 전지구 평균 표면 온도 차이가 주로 남극 주변해의 모의 온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즉, 이 지역의 편향은 역사적 기간 동안 전지구 평균 표면온도를 모의하는 모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OF3 모드의 경우 저위도 지역에서 모의된 지표면 온도의 차이를 보여주며, 이 부분 역시 모델 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시스템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은 결국 극지방의 역할이다. 이는 지역 평균 온도 변동이 앙상블 간의 주요 변동 패턴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온난화 시나리오를 제외한 기후 환경의 내부 변동성이 북반구 고위도 지역의 지역적 변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모델에서는 권운분율의 정의를 0.1 하이브리드 시그마 수준의 구름분율로 정의하였다. 또한, 각 모델별로 0.1 시그마 수준에 해당하는 구름분율을 너무 가깝게 모의하기 때문에 일부 모델에서는 비현실적인 비율이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모델에서 CRR과 OLR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냅니다.
해양-대기 상호작용 특성연구
따라서 이 지역의 지표수온 상승은 대기 대류 및 강수량 증가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기 강제력이 해양의 지표수 온도 변화를 유발하는 조건을 나타냅니다. 첫째, 표 2.8.1은 남중국해 전반기 및 후반기 강수량과 동북아시아 지표수온 및 강수량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SST 0.63*** -0.31
이는 남중국해의 강수량 변동성과 관련이 있는 두 지역 간 남북 방향의 지역적 대기순환 구조 때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후반부에서는 지표수 온도의 변화가 이 지역의 대기변동성을 유발하여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열대 지방 대기의 깊은 대류는 지구 기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Zhang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