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Hydr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Mesozooplankton in the Chilbal Is. and the Yeoseo I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Hydr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Mesozooplankton in the Chilbal Is. and the Yeoseo Is. "

Copied!
11
0
0

Teks penuh

(1)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칠발도 및 여서도 해역의 해황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특성

이창래1·김성용1·이병관1·노형수1·정주학1·송성준2·김태균3*

1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3한국형 수치예보모델 개발사업단

Hydr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Mesozooplankton in the Chilbal Is. and the Yeoseo Is.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in Oct. 2011

Chang-Rae Lee

1

, Seong-Yong Kim

1

, Byoung Kwan Lee

1

, Hyung Soo Noh

1

, Joo-Hak Jeong

1

, Sung-Jun Song

2

and Taekyun Kim

3

*

1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590-811, Korea

2Research Institute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Korea

3Korea Institute of Atmospheric Prediction Systems, Seoul 156-849, Korea

요 약 :2011년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새롭게편입된칠발도와여서도해역의해양생물다양성을 파악하기위해 중형동물플랑크톤분포를파악하였다. 수온과염분분포를 통해두해역 모두대마난류의 영향을받는 것으로추정 되었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의개체수는칠발도해역에서 270개체/m3, 여서도해역에서 167개체/m3로칠발도해역에서 높았지만, 출현분류군수는 반대 양상을보였다. 이들 두해역에서 쿠로시오 지표종인 난류성동물플랑크톤 요각류 Euchaeta rimana (Bradford 1974), Cosmocalanus darwinii (Lubbock 1860), Undinula vulgaris (Dana 1849), Clauso- calanus furcatus (Brady 1883), Pleuromamma abdominalis (Lubbock 1856)와 모악류 Flaccisagitta enflata (Grassi

1881)가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들두해역은조사기간동안쿠로시오해류의지류인대마난류의영향을직접적으로

받는것으로추정된다.

주요어 :중형동물플랑크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마난류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mesozooplankton, and hydr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bal Island and the Yeoseo Island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in fall (October) 2011.

Satellite ima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s and insitu CTD data showed the study area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in fall. Mean abundance of mesozooplankton was higher around waters of the Chilbal Is. than the Yeoseo Is. Meanwhile, number of taxa appeared was high around waters of the Yeoseo Is. We identified six species [Euchaeta rimana (Bradford 1974), Cosmocalanus darwinii (Lubbock 1860), Undinula vulgaris (Dana 1849), Clausocalanus furcatus (Brady 1883), Pleuromamma abdominalis (Lubbock 1856), Flaccisagitta enflata (Grassi 1881)]

known as indicator species of Kuroshio Current which are characterized warm, high salinity wat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resent study area are highly influenced by Tsushima Warm Current.

Key words :Mesozooplankton, Tsushima Warm Current,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Corresponding author E-mail: tkkim79@gmail.com

(2)

서 론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에서 전남 여 수시 돌산면에 이르는 지역으로 1981년 12월 23일 14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건설부 고시 478호)되어 약 400여개의 섬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역에 따라 흑산/홍도 지구, 비금/도 초지구, 조도 지구, 소안/청산지구, 거문/백도 지구, 나로도 지구, 금오도 지구 등 7개 지구로 나누어져 있다(안 등 2010).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면적은 약 2,321.51 km2를 차 지하며 이중 해상지역의 면적은 1,986.68 km2으로 약 85.6%

를 차지하고 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 공원 선정과 관련한 타당성 조사기준을 마련하여 공원구역을 10 년 주기마다 조정하고 있다. 지난 2011년 1월에는 해상국립 공원 구역이새롭게조정되면서전남 신안군에위치한비금

/도초지구내 칠발도와전남완도군에위치한소안/청산지

구 내 여서도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새롭게 편입되었 다. 현재 해상국립공원의 효율적이면서 체계적인 관리를 위 해 자연자원조사를 통한 해양생물자원의 분포와 서식처에 대한 해양환경자료를 획득 중이지만, 해상국립공원에 거주 하는주민의 자원보전에 대한인식부족 및 보호구역 선정 에대한 갈등과각해양생물분류군별전문연구인력의부재 등으로 인해 공원을 전문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안 등 2010).

해양생태계에서 동물플랑크톤은 하위영양단계에서 상위영 양단계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해양생태계를 유지해주는 중요 한 중간 고리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또 한,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는수괴의 혼합, 수온과 염분등의 물리적인 현상및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같은 먹이조건이 나 포식자의 포식활동, 군집 내 경쟁 등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Kimmel et al. 2006). 따라서, 동 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인 분포는 수괴(Water mass) 및 해류(Current)의 변화와 분포상태에 대한 정보를 간접적으로 제시해 주며, 먹이사슬 내에서 상위 영양단계 생물의 분포 와생산을조절하는요인이되기 때문에이들의분포양상은 해양생태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그리고, 동물플랑크톤 종(Species)의 생리·생태적(지리적) 특징을 이용하여 환경오 염과 기후변화와 같은 해양환경을 모니터링하기도 한다(주 등 2011). 현재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서 수행된 동물플랑 크톤에대한연구는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국립 공원관리공단 1997, 1998, 2009)가유일하다. 이자연자원조 사는 매년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10년 간격으로 다도해 해 상국립공원 내 일부 섬 주변해역에서 실시되어 다도해 해 상·해안국립공원에 분포하는 동물플랑크톤 자료가 매우 부 족한 실정이다.

지난 2011년 1월새롭게다도해 해상·해안국립공원으로

편입된칠발도와 여서도해역은 인간의산업·경제활동등 으로 인한환경오염이상대적으로 적은해역으로이들 해역 의 해양생물 및 해양환경에 대한 조사는 공원자원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중요하다. 본 조사는 2011년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새롭게 편입된 칠발도와 여서도해 역의 동물플랑크톤의분포 및해양환경에 대한실태를파악 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해상·해안국립공원 내 해양생물자 원의 보전과 공원정책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지역

칠발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고서리에 딸린 섬으로 면적은 0.04 km2이다. 목포시에서 서쪽으로 64.1 km, 고서 리에서 서쪽으로 약 10 km 떨어진 해상에 있으며 목포항으 로 입항하는 선박들을 인도하는 무인등대가 설치되어 있다.

1905년 처음으로사람이정착하기시작하였고몇 년전까지 여러명의 등대관리원이 상주하였으나 현재는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다. 희귀조류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어 1982년

11월 4일 천연기념물 제332호 칠발도 해조류(바다제비·슴

새·칼새·바다쇠오리) 번식지로 지정되었으나 염소의 방목 으로 번식지가 심하게 훼손되었다. 그리고 여서도는 전라남 도 완도군 청산면에 속하는 섬으로청산도에서 동남쪽으로 약 21.5 km 떨어져 있다. 동경 127o05', 북위 34o07'에 위치 하며, 면적 2.51 km2, 해안선 길이 10 km, 인구 139명(1994 년)이다. 섬의 모양은 대체로 원형이며 동서남북 각각의 해 안에 작은 만이 형성되어 있다. 해안은 암석해안이 대부분 이며 곳곳에 높은 해식애가 발달해 있다. 북쪽해안에 형성 된 만의연안일대에는 집채만 한 바위들이 산재해 있어특 징적인 경관을이루고있다.

2. 채집시기 및 분석방법

동물플랑크톤은 2011년 10월 6일부터 8일까지 칠발도 주 변 5개 정점, 2011년 10월 23일부터 26일까지 여서도 주변 4개 정점에서 채집하였으며(Figure 1), 망구 45 cm, 망목

300 μm의 원추형 네트를 이용하여 바닥까지 네트를 내린

후 표층까지 올리는 수직채집을하였다. 특히, 여서도 주변 의 조사는 기상 상태가 좋지 않아 섬의 동쪽 해역에서의 조 사가 수행되지 못했다. 충분한 시료를 얻기 위하여 매 정점 에서 1~2회 반복 채집하였다. 채집된 시료는 선상에서 중성 포르말린으로 최종농도가 4~5% 되도록 고정한 후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종동정과계수는 Folsom 분할 기를이용하여부차시료(subsample)를취한후, 계수판(Bogorov counting chamber)으로 옮겨 해부현미경(Leica M165C)에서 실시하였다. 요각류는 대부분 종(Species)수준까지 동정하였 으며, 일부 동물플랑크톤 및 기타 부유유생은 강(Order) 혹 은 문(Phylum) 준위의 상위 분류군으로 구분하였다. 동물플 랑크톤 군집특성을파악하기 위해동물플랑크톤 개체수자 료를바탕으로 Bray-Curtis similarity index를이용하여 군집 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PRIMER 6.1.6). 동물플 랑크톤 자료의 정규분포 가정이 필요한 경우 원자료를 로그 (log10 x+1)로 변환한 후 분석하였다.

(3)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의 측정은 “SBE 19 Plus CTD System”를 이용하였다. 측정된 CTD 자료는 SeaBird에서제 공하는 SEASOFT V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정을 한 후에 표층부터 바닥까지 수심 1 m 간격의 자료로 수치화 하였다.

조사는가을철 1회 관측으로, 칠발도는 10월 7일 11시 30분

~13시 50분 사이에 8개 정점, 여서도는 10월 27일 9시 5분

~11시 50분 사이에 7개 정점의 전체 수층에서 물리환경 조

사를 수행하였다(Figure 1).

Figure 1. Map of the study area showing locations of sampling station in October 2011. (A: Chibal Is.; B: Yeoseo Is.)

Figure 2. Vertic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around waters of the Chilbal Is. in Oct. 7, 2011.

(4)

결 과 1. 환경요인(수온 및 염분 분포)

칠발도 해역의 수온분포를 살펴보면, 전 수층에 걸쳐 18oC 전후의 분포로 표층과 저층 사이에 온도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Figure 2). 표층수온 변화는 최저 17.6oC에 서 최고 18.8oC로 약 1.2oC의 편차가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18.1oC이었다. 수층별 평균 수온은 표층 18.5oC, 저층 18oC 로 표·저층간의 수온 편차는 일반적으로 혼합층 수심의 기 준으로 적용되는 ΔT=0.5oC에 미치지 못하며, 수직적으로 혼 합이 활발히 일어나는 환경임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표층과 저층의 염분 분포는 32.5~32.6 psu(평균 32.6 psu)로 수온의 연직 분포와 유사하게 표층과 저층간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염분 수평분포는 32.4~32.6 psu로 약 0.2 psu의 편차가 나타 났다. 수층별평균 염분은표층 32.6 psu, 저층 32.6 psu으로 염분의 차이가 거의 없어 수온의 연직 변화에서 볼 수 있듯 이, 수직적으로 혼합이 활발하였다.

여서도 해역의 평균수온은 16.7oC이며, 표층에서 17.8oC

의 최대 평균값, 저층에서 14.8oC의 최소 평균값을 보이고

있다(Figure 3). 칠발도 해역과 비교하여 표층과 저층의 수 온 편차는 약 3oC로 수온 변화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조 사 기간 중 수온의 변화는 최저 14.3oC에서 최고 18.1oC까 지 약 3.8oC의 편차가 나타났으며, 정점별로 약 10~20 m 두 께의 혼합층이 형성되어 있다. 혼합층 내의 수온은 평균

17.6oC의 분포를나타내며, 혼합층아래에수온이수심에따

라 급격하게 감소하는 수온약층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사 기간 중 염분의 변화는 최저 31.8 psu에서 최고 33.7 psu까지 약 2의 편차가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32.3 psu 이었다. 수층별 평균 염분은 31.9 psu(표층)에서 33.1 psu(저 층)의 분포를 보였다. 수온 분포와 마찬가지로 정점별로 약

10~20 m 두께의 혼합층이 형성되었다. 혼합층 내의염분은

평균 32.0 psu의 분포이며, 혼합층아래 염분이수심에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염분약층이 나타났다. 염분의 수직 분포 는 수온의 수직 분포와 거의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Figure 3. Vertic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around waters of the Yeoseo Is. in Oct. 27, 2011.

(5)

2. 동물플랑크톤 분포

칠발도해역에서출현한동물플랑크톤은총 44개분류군, 평균 270 개체(84~688 개체/m3 범위)가 출현하였다. 각 정 점별 전체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정점 C4에서 688 개체/

m3가 출현하여 가장 많았으며, 정점 C1에서 84 개체/m3

가장 적었다(Figure 4). 적조생물 중 하나인 원생동물 야광

충(Noctiluca scintillans)은약 115 개체/m3가출현하였다. 정 점 C1에서 가장 많은 약 196 개체/m3가 출현하였고, C8에 서 가장 적은 32 개체/m3가 출현하였다. 칠발도 해역의 동 물플랑크톤 종다양성 지수는 평균 0.8이었으며, 비교적 칠발

Figure 4. Spatial distributions of mesozooplankton around waters of the Chilbal Is. in 7. Oct. 2011.

(A: Total abundance (except Noctiluca scintillans); B: Number of taxa appeared; C: Abundance of Noctiluca scintillans; D:

Species diversity(H'))

Figure 5. Spatial distributions of mesozooplankton around waters of the Yeoseo Is. in 27. Oct. 2011.

(A: Total abundance (except Noctiluca scintillans); B: Number of taxa appeared; C: Abundance of Noctiluca scintillans; D:

Species diversity(H'))

(6)

도와 인접한 정점 C1에서 0.7로 가장 낮았고, 다른 정점들 에서는 비교적 0.8이상을기록하였다. 여서도해역에서출현 한 동물플랑크톤은 총 64개 분류군, 평균 167 개체/m3(118~

202 개체/m3범위)가 출현하였다. 각 정점별 전체 동물플랑 크톤 개체수는 정점 Y6에서 202 개체/m3가 출현하여 가장 많았으며, 정점 Y1에서 118 개체/m3로 가장 적었다(Figure 5). 출현분류군 수는 34~47개 분류군으로 정점 간 다소 차 이를보였으며, 정점 Y1에서 최소, Y4에서최대 분류군수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적조생물로 알려진 야광충(Noctiluca scintillans)은 정점 Y6에서 1 개체/m3가 출현하여 매우 낮은 생물량을 기록하였으며, 종다양성 지수는 2.6~3.0으로 정점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요각류는 전체 동물플랑크톤 개체수 중 평균 62%를 차지하였으며, 정점 간 출현 개체수 는 60~132 개체/m3의 범위를보였다.

칠발도 해역의 최우점 분류군은 요각류 Paracalanus co-

pepodite 유생이 전체 개체수에서 36%(96 개체/m3)를 차지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Bestiolina coreana 19%(51 개체/m3), Labidocera euchaeta 12%(32 개체/m3), Paracalanus parvus

s.l. 9%(23 개체/m3)로상위 분류군으로구분되었다(Table 1).

여서도 해역의 최우점 분류군은 요각류 Paracalanus co-

pepodite 유생이 전체 개체수에서 20%(33 개체/m3)를 차지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모악류 Sagitta 유생 11%(19 개체/

m3), 요각류 Calanus copepodite 유생이 11%(18 개체/m3), 척삭동물 Oikopleura dioica 9%(15 개체/m3)로 상위 분류군 으로구분되었다(Table 2).

칠발도와여서도해역에서출현한동물플랑크톤의개체수 를 자료를 이용하여 Bray-Curtis 유사도 지수를 구하였다.

유사도 지수를 이용한 동물플랑크톤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 과 칠발도 해역은 유사도 80%에서 3개의 그룹, 정점 C2, C6, C8의 Group I, 정점 C1의 Group II, 정점 C4의 Group III로 구분되었다(Figure 6). Group I은 요각류 Calanus sinicus, Euchaeta copepodite가 우점한정점들로, Group II는 다른 정점들과 비교하여 가장 적은 개체수가 출현하였고, 상대적으로 야광충의 우점한 정점으로, Group III는 요각류 Labidocera euchaeta, Bestiliona coreana, Paracalanus parvus

s.l.가 우점한 정점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여서도 해역은

Table 1. Averaged total abundance (except Noctiluca scintillans, indiv./m3) and composition (%) of major zooplankton around waters of the Chilbal Is. in Oct. 7, 2011.

Rank Species/Stations C1 C2 C4 C6 C8 Mean Com. (%)

1 Paracalanus copepodite 48 119 189 46 80 96 35.6

2 Bestiolina coreana 9 59 137 27 25 51 18.9

3 Labidocera euchaeta <1 6 133 6 14 32 11.9

4 Paracalanus parvus s.l. 12 21 30 38 15 23 8.6

5 Labidocera copepodite 2 3 60 9 15 18 6.5

6 Bestiliona copepodite 4 9 29 5 7 11 4.0

7 Calanus sinicus - 1 27 <1 1 6 2.2

8 Corycaeus affinis 2 1 12 3 3 4 1.5

9 Euchaeta copepodite <1 - 11 <1 5 3 1.3

10 Bivalve larva 2 2 5 2 4 3 1.1

Total 84 245 688 146 189 270

Number of taxa appeared 23 29 29 28 29 44 Species diversity(H') 0.7 0.8 1.0 0.9 0.9

Table 2. Averaged total abundance (except Noctiluca scintillans, indiv./m3) and composition (%) of major zooplankton around waters of the Yeoseo Is. from Oct. 27, 2011.

Rank Species/Stations Y1 Y2 Y4 Y6 Mean Com. (%)

1 Paracalanuscopepodite 18 14 51 50 33 19.7

2 Juvenile of Sagitta 12 6 34 22 19 11.1

3 Calanuscopepodite 9 16 21 26 18 10.7

4 Oikopleura dioica 11 16 11 21 15 8.7

5 Juvenile of Amphipoda 14 3 15 9 10 6.1

6 Paracalanus parvuss.l. 3 16 4 9 8 4.9

7 Acartia pacifica 6 6 5 10 7 4.2

8 Euchaetacopepodite 4 11 6 7 7 4.1

9 Flaccisagitta enflata 2 6 4 9 5 3.1

10 Sagittaspp. 3 3 7 5 5 2.9

Total 118 148 201 202 167

Number of taxa appeared 34 35 47 38 64 Species diversity(H') 2.9 3.0 2.7 2.6 2.8

(7)

유사도 80%에서 2개의그룹, 정점 Y1, Y4, Y6의 Group I과 정점 Y2가 포함된 Group II로 구분되었다(Figure 7). 특히,

Group II로 구분 Y2는 여서도 항만 주 출입 수로에 위치한

정점으로 다른 정점들과 동물플랑크톤의 군집특성이 다른 것으로 추정되었다.

토 의

한국의 서남부에 위치한 칠발도 주변 해역은 여름철에는 동중국해로부터 북동진하는 대마난류의 지류인 황해난류의

영향을 받는 반면, 겨울철에는 강한 북서계절풍으로 인해 형성된서해 연안수가남하하여여름과 겨울의수온차가매 우 크다(Huh 1982). 또한, 낮은 수심과 강한 조석으로 인하 여 연중 수온·염분약층이 형성되지 않으며, 표층부터 저층 까지 혼합이 잘 되어 균질한 수직구조를 갖는다. 이에 반해, 남해에 위치한 여서도주변의 해역은 제주해협을 통과하는 대마난류로 인해 연중 난류수가 분포하며, 수직적으로 수 온·염분약층이발달하며, 성층을이루고있다(승 1992).

조사 기간의 일반적인 해황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 국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 Figure 6. Dendrogram of station association derived from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abundance of zooplankton around waters of the Chilbal Is. in Oct. 7, 2011.

Figure 7. Dendrogram of station association derived from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abundance of zooplankton around waters of the Yeoseo Is. in Oct. 27, 2011.

Figure 8.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erived from NOAA/AVHRR during sampling period in Oct. 7. 2011 (Left) and Oct.

27. 2011 (Right).

(8)

stration, NOAA, http://www.ncdc.noaa.gov/)에서 제공하는 위 성으로부터 관측된 해수면 온도(Sea Surface Temperature,

SST)의 분포를 살펴보았다(Figure 8). 칠발도의 조사 기간인

10월 7일, 한반도 주변에상대적으로따뜻한해수가 분포하 고있었다. 19oC 이상의해수가서해에 넓은범위를차지하 고 있으며, 대한해협을 통과하여 동해로 유입되는 고온의 대마난류가 남해에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10월 27일 한반도 주변의 SST의 분포는 북쪽에서 찬 해수가 남 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서해 북부의 찬 해수가 한국 서해 연안을 따라 남하하고 있으며, 제주해협을 통과해 남 해에영향을미치고 있다. 이로인해남해는제주해협을통 해 남동진하는 저온의 해수와 남쪽에서 대한해협으로 유입

되는 대마 난류의 영향을 받아 수평적으로 강한 수온전선을 형성하고 있다(Hickox et al. 2000). 또한, 조사 지역의 장기 간 해황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에 서 제공하는약 50년간의정선관측 데이터를분석한 결과,

평균 수온은 칠발도 해역 부근 표층에서 18.4oC, 심층에서

16.8oC로 약 1.5oC의 편차를 보이는 반면, 여서도 해역 부근

에서는 표층에서 19.4oC, 심층에서 15.8oC로 표층, 저층간 수온의 편차는 약 3.6oC로, 칠발도 부근 해역에서보다 두 배 이상 큰 것을 알 수 있다(Figures 9, 10). 염분의 분포는 칠 발도 해역 부근에서는 표층과 저층의 수직적 염분 편차는

약 0.1 psu 이하로거의차이가 없음을시사한다. 여서도해

역 부근에서는 표층에서 32.4 psu, 저층에서 33.3 psu로 약 Figure 9. Annual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salinity around waters of the Chilbal Is. in October last 50 years.

(9)

1.0 psu 정도로 강한 수직 경도를 보이고 있으며, 연변화의 패턴 또한 칠발도 해역 부근에서는 수온, 염분 모두 표층, 저층간 큰편차 없이 유사하였다. 하지만, 여서도해역 부근 에서 수온, 염분 분포는 강한 수직 경도를 보이며, 수심별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Figures 2, 3). 이러한 결과는 기후학 적으로 칠발도 해역 부근은 강한 수직적 혼합이 조사 기간 항상 존재하여, 표·저층간 균질한 수직 구조를 나타내고 있 음을 보여준다. 한편, 여서도 해역에서 물리적 환경은 조사 기간동안, 수온·염분약층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적으로수 온·염분 경도를 갖는 경압구조를 시사한다(Park and Chu 2008).

우리나라 남해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대마난류 세기 는 가을에 가장 강하고 겨울에 가장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

다(Guo et al. 2006). 이러한물리적인 결과를동물플랑크톤

분포에서도확인할수 있었는데, 칠발도와여서도모두에서 여러 종의 난류성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칠발도에서 는 요각류 Euchaeta rimana와 모악류 Flaccisagitta enflata 등이, 여서도에서는 요각류 Euchaeta rimana, Cosmocalanus darwinii, Undinula vulgaris, Clausocalanus furcatus, Pleuro- mamma abdominalis와모악류 Flaccisagitta enflata의출현이 확인되었다. 조사시기와지역이달랐지만, 요각류 E. rimana 와 모악류 F. enflata가 공통적으로 출현하였다. 특히, 요각 Figure 10. Annual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salinity around waters of the Yeoseo Is. in October last 50 years.

(10)

류 중에서 Paracalanus aculeatus와 Oithona plumifera는 고 온·고염의쿠로시오해류가 유입되는해역에많은 개체수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Liao et al. 2006; Lan et al.

2009), 이 두 종은 칠발도에서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지만,

여서도에서는 비록 5개체/m3이하의 적은 개체수가 출현한 것으로 볼 때 칠발도에 비해 여서도가 직접적인 대마난류의 영향권에있는것으로확인되었다. 따라서, 여서도는동물플 랑크톤뿐만아니라 다른 무척추 동물과해조류, 어류등과 같은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종 변화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는 데 매우 좋은 환경임을 알 수 있다.

칠발도 해역에서 우점 분류군으로 출현한 요각류 Bestiolina coreana는 2009년 이전에는 Bestiolina similis로 동정되어 보 고된 바 있지만(이 등 2009), 2010년 이후 Moon et al.

(2010)이 우리나라에출현하는 B. similis는 신종(B. coreana) 으로 보고하였다. 이 B. coreana는 주로 서해 기수역 혹은 연안역에서 발견되며, 여름철 수온 20oC 이상이 되는 여름 에서 가을까지 담수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는 해역(특히, 하구역 또는 반패쇄적인 해역)에서는 Paracalanus parvus

s.l.와 혼재하여 출현하는 특성을 보인다(이 등 2009; 문 등

2010, 2012). 본연구해역인칠발도는염분분포(32.5~32.6)를 볼 때 육지로 부터유입되는 담수의영향을 직접적으로 받 지는 않지만, B. coreana의 분포(평균 10 개체/m3 이상)를 확인 되는 것으로 보아 칠발도까지 담수의 영향이 있을 것 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B. coreana의 분포 및 대량발생은 이들의 휴면란(resting eggs)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보고 (문등 2012)가있어 B. coreana에대한시·공간적인변동과 환경요인과의 관계등과 같은심도있는연구가필요할 것으 로판단된다.

비교적 육상과 인접한 만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대체로 야광충(Noctiluca scintillans)과 요각류에 의해 조절된다(서 등 2002; 윤과 최 2003; 이 등 2009). 특히, 야광충은 먹이 생물이 식물플랑크톤, 요각류의 알, 원생동물 그리고 박테리 아에이르기 까지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야광충의 출현 유 무에 따라 동물플랑크톤 종조성이 크게영향을 받는다. 광 온, 광염성 종인 야광충은 우리나라 연안에서 연중 출현하 며, 해역에 따라 서로 다른 최적의 수온과 염분의 범위를 갖으며, 같은 해역에서도 채집시기에 따라 출현량의 변동이 매우 큰 독특한 생태적 특성을 보인다(윤과 최 2003; 유 등 2006; Miyaguchi et al. 2006; 문 등 2010). 본 연구에서 야 광충의출현량은 칠발도에서평균 115 개체/m3, 여서도에서 1 개체/m3 미만이었다. 두 해역의 야광충의 분포량은 다른 해역에 비해 매우 적었다. 하지만, 칠발도의 경우 일부 정점 에서는 요각류와 함께 군집을 조절하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여서도는 칠발도에 비해 다양한 동물플랑 크톤이 출현하다는 점에서 비교적 높은다양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이번 1회 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새롭게 해상국립공원으로 편입된 칠발도와 여서도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다양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어렵지만, 육지 로부터 비교적 원거리에 있어 육상오염원 유입이 거의 없으

며, 해수의유통이 원활한하다는점에서 비교적 높은생물 다양성을 유지할것으로 추정된다.

칠발도는 유네스코가 선정한 생물권 보존지역으로, 여름 철새인 바다제비, 슴새, 칼새, 바다쇠오리의 번식지로 지정 되어 있다. 칼새를 제외한 이들 해조류(海鳥類)들은 주로 어 류, 갑각류, 연체동물 등을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바다새들의먹이특성을고려해보면 칠발도는섬의지 형학적특성상조간대지역이매우 협소하고경사면이가파 르기 때문에 조간대에 분포하는 갑각류 및 연체동물보다는 해양에 분포하는 작은 어류를 먹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 다. 비록 한려해상국립공원 구역인 홍도가 주 서식지인 괭 이갈매기는 주요 먹이원이 조간대 및 수중에 분포하는 해양 생물보다는 번식지 주변 어선에서 버린 물고기 부산물인 것

으로 학계에 보고된 바 있지만(Paek and Yoo 1996), 아직

바다새에 대한 서식환경 및 섭식 생태와 관련된 연구는매 우 미흡하다. 따라서, 칠발도에 번식하고 있는 해조류(海鳥 類)의 서식환경 및 섭식생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변 해 역의 해양생물상에 대한 선행연구가 절실하다.

2011년 국립공원구역으로 새롭게 편입된 칠발도와 여서도 는 육상으로부터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어내만에 비해생 물다양성이비교적높게유지되는것으로추정된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환경 및 해양생물상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들 해역에 대한 장기적인 해양생태계 모니터링 이 반드시 필요하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1997. 다도해해상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서해 지구. 동물플랑크톤. Pp. 195-207.

국립공원관리공단. 1998. 다도해해상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남해 지구. 동물플랑크톤. Pp. 214-229.

국립공원관리공단. 2009. 다도해해상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동물 플랑크톤. Pp. 905-930.

문성용, 오현주, 서호영. 2010. 남해연안동물플랑크톤군집의계 절변동. Ocean and Polar Research 32: 411-426.

문성용, 서민호, 신용식, 서호영. 2012. 반패쇄된무안만중형동물 플랑크톤군집의계절변동. Ocean and Polar Research 34: 1-18.

서호영, 이인태, 윤양호, 최상덕, 이삼노, 한명일, 김병섭, 강윤호,

이우범. 2002. 가막만에 출현하는동물플랑크톤의종조성과

계절별출현양상. 환경생물학회지 20: 118-129.

승영호. 1992. 한반도주변의수괴와해수순환. 한국해양학회지

27: 324-331.

안동만, 허학영, 이지영, 윤민호, 신민종, 최종관. 2010. 해상·해안 국립공원관리실태및개선방안연구. 국립공원연구지 1: 13- 28.

유정규, 윤석현, 최중기. 2006. 인천연안에서와편모류 Noctiluca scintillans의시간적변동과생태학적 특성. 환경생물학회지 20: 165-183.

윤석현, 최중기. 2003. 경기만동물플랑크톤군집의시공간적분포. 한국해양학회지瀆募蒙 8: 243-250.

(11)

이창래, 강형구, 노재훈. 2009. 새만금해역에서방조제건설에따 른동물플랑크톤군집의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31:

327-338.

주세종, 고아라, 이창래. 2011. 지방바이오마커를활용한북서태 평양에서요각류(Euchaeta sp. and Pleuromamma spp.)의서식 위도별영양상태및먹이원연구. Ocean and Polar Research 33:

349-358.

Guo X, Y Miyazawa, T Yamagata. 2006. The Kuroshio onshore intrusion along the shelf break of the East China Sea: the orgi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J. Phys. Oceanogr. 36: 2205- 2231.

Hickox R, I Belkin, P Cornillon, Z Shan. 2000. Climatology and seasonal variability of ocean fronts in the East China, Yellow and Bohai Seas from Satellite SST data. J. Geophys. Res. 27:

2945-2948.

Huh OK. 1982. Satellite observations and the annual cycle of surface circulation in the Yellow Sea, East China Sea, and Korea Strait. La Mer. 20: 210-222.

Kimmel DG, MR Roman, X Zhang. 2006.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factors affecting mesozooplankton dynamics in Chesapeake Bay: Evidence from biomass size spectra. Limnol.

Oceanogr. 51: 131-141.

Lan YC, MA Lee, CH Liao, KT Lee. 2009. Copepod community structure of the winter frontal zone induced by the Kuroshio

Branch Current and the China Coastal Current in the Taiwan Strait. J. Mar. Sci. Technol. 17: 1-6.

Liao CH, WJ Chang, MA Lee, KT Lee. 2006. Summer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copepods in the upwelling waters of the southeastern East China Sea. Zool Stud. 45: 378-394.

Miyaguchi H, T Fujiki, T Kikuchi, VS Kuwahara, T Toda. 2006.

Relationship between the bloom of Noctiluca scintillan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waters of Samgi Bay, Japan. J. Plankton Res. 28: 313-324.

Moon SY, W Lee, HY Soh. 2010. A new species of Bestiolina (Crustacea: Copepoda: Calanoida) from the Yellow Sea, with notes on the zoogeography of the genus. Proc. Biol. Soc.

Wash. 123: 32-46.

NOAA Optimum Interpolation 1/4 Degree Daily Sea Surface Temperature Analysis, http://www.ncdc.noaa.gov/

Paek WK, JC Yoo. 1996. Time budgets of the Black-tailed Gull in the daytime of the breeding season. Kor. J. Ornithol. 3: 1-9.

Park S, PC Chu. 2008. Characteristics of thermal finestructure in the southern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from Airborne Expendable Bathythermograph measurements. J. Oceanogr. 64:

859-875.

(2012년 8월 22일 접수; 2012년 9월 19일 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Abbreviations AI Aerosol Index APVF Analytical PVPF ACO Ant colony optimization ASU Applied Science Private University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AE Autoencoder AR Auto-regress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