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mmune Reconstitution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after αβ T cell-depleted Haploidentical Hematopoietic Stem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Immune Reconstitution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after αβ T cell-depleted Haploidentical Hematopoietic Stem "

Copied!
49
0
0

Teks penuh

이러한 흥미로운 발견에도 불구하고, 반일치 조혈 줄기 세포 이식에서 γδ T 세포 이식 후 생착 과정과 면역 재구성을 구체적으로 다룬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본 연구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 중 αβ T 세포를 제거한 조혈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소아 환자에서 γδ T 세포를 포함한 림프구의 이식 후 면역 재구성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년 이내에 정상 참고치로 돌아오지 않는 림프구 집단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반일치 조혈모세포 이식 후 1년 이상의 장기 추적관찰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반일치 조혈 줄기세포 이식에서 γδ T 세포 이식 후 생착 과정과 면역 재구성을 구체적으로 다룬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본 연구는 αβ T 세포를 제거한 준일치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γδ T 세포를 포함한 림프구의 면역 재구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검체

유세포분석

혈액량을 계산할 때에는 자동혈구분석기로 측정한 전혈구수(CBC) 검사 결과 중 백혈구수를 참고하였다. 400g, 상온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버리고 인산완충식염수(PBS) 10ml를 첨가하여 남은 적혈구 용해완충액을 세척한 후 볼텍스믹서로 펠릿화된 세포를 완전히 제거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400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완전히 버리고 PBS 500 uL를 첨가한 후 펠릿화된 세포를 볼텍스 믹서로 잘 혼합하였다.

각 시약에 대해 표시된 용량의 CD 항체를 5ml 기기 튜브에 첨가했습니다. 백혈구는 FSC/SSC(전방 산란 세포도/측면 산란 세포도) 스위치를 사용하여 1차 검증되었으며, 아래쪽 산란 구역에 분포된 CD45 양성 림프구는 CD45/SSC 스위치를 사용하여 2차 검증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각 CD 항원 양성 세포를 게이트 림프구에서 세포 특이적 CD 단일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정량화하고 림프구 내 세포의 백분율로 표시했습니다(그림 1).

그런 다음 각 세포의 백분율에 CBC 백혈구 수와 림프구 비율을 곱하여 절대 세포 수를 계산했습니다. 림프구 하위 모집단을 결정하기 위한 면역 표현형 분석 전략의 도식적 예시(A) 림프구 모집단을 식별하기 위해 세포는 전방 산란(FS) 및 측면 산란(SS) 특성을 기반으로 게이팅되었습니다.

Table 2. Composition of CD antibodies for multicolor flow cytometry
Table 2. Composition of CD antibodies for multicolor flow cytometry

결과 분석

공여자의 림프구아군 정상 참고치

Reference range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in donors. A) Absolute number (cells/uL), (B) Proportions among lymphocytes (%) and (C) Proportions of αβ T cells and γδ T cells among T cells. The absolute number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frequency of each individual cell subset by the number of lymphocytes. The absolute number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frequency of each individual cell subset by the number of lymphocytes.

Figure 2. Reference range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in donors
Figure 2. Reference range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in donors

전체 환자의 이식 후 경과에 따른 면역 재구성

Serial changes of absolute numbers and percentage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in 83 patients after haploidentical HSCT. Absolute counts wer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frequency of each individual cell subset by the WBC count. 94 (2-215) Absolute counts wer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frequency of each individual cell subset by th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Figure 3. Serial changes of absolute counts and percentage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in 83 patients after haploidentical-HSCT
Figure 3. Serial changes of absolute counts and percentage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in 83 patients after haploidentical-HSCT

무사건(event-free) 환자의 이식 후 경과에 따른 면역 재구성

조혈모세포 이식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 HLA가 완벽하게 일치하는 기증자를 찾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대안으로, 부분 일치 조혈모세포 이식은 거의 모든 환자에게 유용하며 기증자를 찾거나 확보하는 데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11). αβ T 세포는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데에도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경우 감염 및 침윤 초기 단계에서 γδ T 세포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지만 후기 단계에서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22).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αβ T 세포를 제거하는 반일치 조혈모세포 이식 후 γδ T 세포의 회복 또는 정상 기준값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리툭시맙은 만성 이식편대숙주병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B 세포를 제거합니다.

이식 후에도 약물의 영향으로 B세포가 고갈된 상태로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180일째에는 림프구의 비율이나 세포의 절대 수가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부분 불일치 또는 부분 일치 조혈모세포 이식 후 기증자 유래 γδ T 세포의 수가 증가한 환자는 백혈병 없는 생존 및 전체 생존에 상당한 이점이 있음을 발견한 보고서도 발표되었습니다. 그렇습니다 (31) .

본 연구는 T 세포가 아닌 αβ T 세포만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αβ T 세포가 고갈되면 γδ T 세포와 NK 세포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높여 환자에게 이식하는 반일치 조혈모세포 이식을 목표로 한다. . 전체 환자와 무사건 환자 모두에서 정상 기증자의 γδ T 세포 기준값을 비교한 결과, 이식 초기부터 건강한 기증자에서 볼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 매우 높은 비율로 유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그리고 앉아. 본 연구에서 이식 후 림프구 집단의 면역 재구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 이식 후 1년 이내에 그 수가 정상 기준치로 돌아오지 않는 세포 집단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소아 환자에서 αβ T 세포를 제거한 반일치 조혈모세포 이식 후 γδ T 세포를 포함한 림프구 집단의 변화를 모니터링한 최초의 연구이다. 유세포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Figure 4. Serial changes of absolute counts and percentage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in 23 patients without events after haplo-HSCT
Figure 4. Serial changes of absolute counts and percentage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in 23 patients without events after haplo-HSCT

Gambar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donor type
Table 2. Composition of CD antibodies for multicolor flow cytometry
Table 3. List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tested by flow cytometry
Figure  1.  Schematic  illustrations  of  immunophenotyping  strategy  for  the  determination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A)  To  identify  lymphocyte  populations,  cells  were  gated  based  on  forward  scatter  (FS)  and  side  scatter (SS) prop
+7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