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Water Manual
NPRI 2016-04
용어색인 별첨부록 10.
11.
23 24 다이빙의 물리적 효과
다이빙의 생리적 효과 3.
4.
10 14
감압절차 응급처치 다이빙 해양학 다이빙 수칙과 절차 장비의 관리와 유지 5.
6.
7.
8.
9.
16 16 18 20 22 다이빙(Diving) 이란?
장비란?
1.
2.
03 05
CONTENTS
1. 다이빙(Diving)이란?
다이빙은 스쿠버 장비를 가지고 한계 수심 약 38m의 깊이까지 잠수하여 즐 기는 레포츠이다. scuba는 영어로 Self 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며, 독립적 수중 자가 호흡장치를 말한다.즉 스쿠버는 대기 중의 공기를 직접 공급받지 않고 물속에서 자력으로 호흡 을 할 수 있는 기구를 뜻한다. 스쿠버 장비로는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를 저 장한 공기통과 수압에 의해 공기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수중 호흡기 가 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공기통과 수중 호흡기, 부력조절기, 공기압 력게이지, 수심계, 나침판, 비상 호흡기 등을 기본 장비로 사용하는 형태를 스쿠버 다이빙이라 하고 있다.
역사 ▼
스쿠버의 최초 기록은 기원전 900년 경 아시리아 제국 군대가 군사적인 목적 으로 동물의 방광 및 양가죽으로 만든 공기주머니를 이용하여 물속에서 몇 차 례 급한 숨을 모면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는 기록이 있다. 그 이후 1943 년 프랑스의 해군 장교가 프랑스 마네 강에서 스쿠버 장비를 이용한 수중 탐사 를 하였는데, 이것을 스쿠버 다이빙의 기원으로 꼽고 있다. 이어서 엔지니어 Emil Gagnan에 의하여 설계된 레큘레이터가 선보이게 되었는데 Cousteau와 Gagnan은 압축공기탱크에 레큘레이터를 결합시켜 1943년 여름에 500번 이상 잠수를 하였으며 이것을 애퀄렁(Aqua-lung)이라고 불렀다. 초기에는 안전사고 도 많았지만 1970년부터는 스쿠버 다이빙의 안전성을 강조하여 모든 다이버는 자격증을 취득하도록 하였다. 한국에 스쿠버 역사는 1953년 주둔하고 있던 미 해군의 도움으로 한국 해군에 UDT(Underwater Demolition Team)와 해난구 조대가 창설되면서부터 처음으로 우리나라에 스쿠버 다이빙 장비와 기술이 소 개되었다. 1960년까지만 하더라도 이는 스포츠의 성격이 아닌 군사적인 목적으 로 해군과 일부 사람들에게만 전파되었다. 그로부터 10여 년 동안은 해군 현역 및 제대자 그리고 일부 극소수의 민간인 동호인만이 스쿠버 다이빙을 할 수 있 었다. 1970년대부터는 스쿠버 장비들이 급속도로 현대화되고 보다 안전하게 개 량되었으며, 후반에 동호인 수도 급속히 늘어나 이제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 편화된 레저스포츠로서 그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
긴가지해송
거북복치어
특성 및 효과 ▼
스쿠버 다이빙은 일정한 교육만 잘 이수하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으며, 다 른 수상 레저에 비해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다. 수영과는 별개의 개념이기에 수 영을 전혀 못하더라도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물에 대한 공포심 또한 떨쳐 버릴 수 있어서, 다이빙을 먼저 배우면 수영을 더욱 쉽게 배울 수 있다. 바닷속 잠수를 통해 흥미롭고 신기한 바닷속 여행을 즐기며 자연의 신비와 대화하는 체험을 통 해 삶을 풍요롭게 해줄 수 있다. 또한 효과로 심폐기능과 유연성이 발달하며 무중 력 상태에서의 활동으로 평형감각과 유연성이 발달한다.
기타 사항 ▼
1) 자격증의 종류
• 주니어 오픈워터(10~14살 다이버)
• 오픈워터(15살 이상의 필기시험, 수중 평가 후 발급, 한계수심 18m)
• 어드밴스(오픈워터를 소지하고 있으며, 장비 기술에 능숙하고 수심 38m)
• 마스터 다이버(마스터 다이버부터는 수중에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음)
• 보조강사(강사의 보조 역할 수행과 이론, 실기 교육을 할 수 있는 단계)
• 스페셜티 다이버(나이트 록스, 보트, 레스큐, DPV, 난파선, 수중사진, 드라 이슈트, 풀 페이스 마스크, 난파선, 트윈셋 등)
① 안전
② 지식
③ 완벽
기본 수칙 ▼
다이빙 교육자는 스포츠 및 기술적 3가지 기본 수칙을 반드시 준수해 교육에 임해야 한다.
다이빙 과정은 스노클링 장비의 선택, 조정, 사용, 관리로 시작된다. 기본적인 스노클링/스킨다이빙 장비를 살펴볼 것이다. 장비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4가지 기준이 있다. 장비는 몸에 꼭 맞아야 하고, 편해야 하고, 효율적이어야 하고, 튼튼해야 한다. 아무리 디자인이 맘에 들더라도 4가지 기준을 충족시키 지 못 한다면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오픈워터 다이빙할 때는 강한 해류와 조류를 상대해야 하므로 수중에서 가장 적 은 에너지로 가장 많은 추진력을 얻게 해주는 핀을 골라야 한다.
마스크는 눈과 물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고 수중에서 앞을 보기 위해 사용한다. 얼 굴에 잘 맞는지 충분한 시야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눈 시력이 좋 지 않을 경우 자신에 맞는 도수가 들어간 마스크를 사용하도록 한다.
플레이스 마스크 2안식 마스크 도수 교환 마스크
2. 장비란?
2-1. 스노쿨링 장비 ▼
① FINS(핀) ② Mask(마스크) ③ Snorkle(스노클) ④ Glove(장갑) ⑤ Boots(부츠)
1) FINS(핀)
2) Mask(마스크)
⑥ Dive Suit(다이빙 슈트)
⑦ Log Book(로그북, 잠수일기)
⑧ Weight Belt(웨이트 벨트)
⑨ BCD(부력조절기)
수면에서 마스크와 핀을 착용하고 수영을 하면서 물속을 볼 수 있도록 호흡을 위 해 사용하는 튜브이다. 스쿠버 장비를 착용할 때는 하강 구역을 오갈 때 공기를 절약하기 위해 스노클을 사용 할 수 있다.
장갑은 필수적인 장비는 아니지만 갖추는 편이 좋다. 특히 차가운 물에 다이빙시 장갑이 필요하다. 일부 다이빙 지역에서는 장갑을 낀 손으로 산호 등을 망가뜨릴 것을 염려하여 착용하지 말 것을 요구하기도 한다.
오리발을 장착하고 편하게 다이빙을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부츠는 물집과 찬물 로부터 보호해줄 뿐 아니라 거친 표면을 걸을 때 발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TIP. 장갑의 종류는 3mm, 5mm, 7mm의 다양한 두께가 있다.
TIP. 퍼지 밸브가 있는 스노클과 없는 스노클 색상은 다양하다.
3) Snorkle(스노클)
4) Glove(장갑)
5) Boots(부츠)
Wet-슈트(습식), 세라미드라이슈트, 드라이슈트(건식)가 있으며 슈트는 스트랩 으로부터 어깨를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시킨다. 또한 수중동물, 햇볕, 산호로부터 보호하고, 물에 뜨는 것을 도와준다.
6) Dive Suit(다이빙 슈트)
Wet-슈트 세미드라이슈트 드라이슈트
로그북은 교육 내내 필요하며 다이빙을 할 때마다 잠수 일기를 기록해야 한다. 이 는 훈련에 대한 기록이 될 뿐 아니라 다른 강사에게 오픈워터 과정 검증을 맡길 때도 사용된다. 자격증은 단지 자격을 갖추었다는 것을 보여줄 뿐 진정한 실력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자신의 기록 잠수 일기를 매번 적도록 한다.
웨이트 벨트는 납덩어리를 녹인 네모난 벨트이다. 수중에서 음성 부력과 중성부 력을 맞출 수 있게 만들어진 무게 추는 기본적으로 2kg 웨이트를 많이 쓴다.
7) Log Book(로그북, 잠수 일기)
8) Weight Belt(웨이트 벨트)
TIP. 단체에서 규정에 맞게 나오는 로그북도 있지만, 자신만의 개성을 살린 로그북도 개인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조끼형 BCD 백마운트형 BCD
밸브는 크롭 도금 된 놋쇠로 만들어진 장치로서, 실린더 가장 윗부분에 설치되며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게 잠그며 필요에 따라 열고 닫는 기능을 한다. 요즘 시장에 나와있는 밸브는 기본적으로 표준 밸브와 DIN 밸브 두 가지이다. DIN 밸브는 0 링이 달려 있자는 장점이 있으며 안전성에 좀 더 여유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장비는 다이버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BCD는 실린더를 고정시키 는 스트랩, 착용하기 위한 어깨 스트랩으로 이루어져 있다.
1) Valvas(밸브) 9) BCD(부력조절기)
TIP. 바람직한 다이빙 습관이 무엇인 지 생각하고, 습관으로 자리 잡기까 지는 끊임없는 반복이 있어야 한다 는 점을 기억하고 꾸준히 연습해야 한다.
TIP. 일반적으로 k밸브를 많이 사용한다.
2-2. SCUBA 장비 ▼
① Valvas(밸브) ② Cylinders(실린더)
③ Regulators(공기공급장치)
④ Diver Computer(다이브 컴퓨터)
⑤ Light(라이트)
K밸브 DIN밸브
스쿠버 실린더는 높은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로 채워져 있다. 예전에는 실린더에 200bar까지 채울 수 있었지만, 오늘날은 232~300bar까지 채울 수 있다. 실린더 는 탄성과 금속피로를 체크하기 위해 몇 년마다 한 번씩 유체 정역학적 테스트를 받아야 한다. 또한 내부에 녹이 스는 것을 막기 위해 매년 내관 검사를 하는 것도 필요하다.
다이버의 몸에서 질소가 흡수/배출되는 양을 자동적으로 계산하며 강압이 필요 한지 판단하는 전자장비이다. 다이브 컴퓨터는 깊은 물에 다이빙할 때만 이로운 것이 아니라 얕은 물에 다이빙할 때도 편리하다.
레귤레이터는 실린더로부터 다이버에게 공급되는 공기를 주면 압력과 평형상태 를 이루도록 조절한다. 수압 증가로 주변압이 높아지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도 요구되는 양만큼의 공기만을 공급한다는 뜻이다. 다이버가 마우스피스를 통해 숨 을 들이쉴 때, 다이버 입 쪽의 2단계 내의 밸브를 열어서 공기가 주변 압력과 동 일한 압력으로 마우스피스 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2) Cylinders(실린더)
4) Diver Computer(다이브 컴퓨터) 3) Regulators(공기공급장치)
뷰샤 실린더
레귤레이터, 주호흡기
카타리나 알미늄 실린더
노란색 보조호흡기
럭스퍼 실린더
계기콘솔 (잔압, 수심, 나침판) TIP. 비상 호흡용 탱크, 200bar 탱크,
300bar 탱크도 판매되고 있다.
TIP. 다이브 컴퓨터는 수심, 수온, 다 이빙 시간 등 점차 지능화 되어가고 있다.
TIP. 설명된 장비 외에 얼러트(수중 용 호각)는 위급시 들러가 다이버를 부를 때 사용한다. 입으로 불지 않고 공기통의 공기를 사용해서 소리를 낸다. 수중 메모판은 생물 조사, 탐 사시 내용과 의사 전달용으로도 활 용 가능하다.
다이빙 라이트는 필요한 만큼의 자연광이 없는 곳을 잠수할 때면 언제든지 사용 된다. 특히 야간 다이빙에서는 꼭 필요한 다이빙 장비이기도 하다.
광선이 공기 중으로부터 물속으로 통과하면 정상적인 진로를 벗어나 구부러지는 데 이러한 현상을 굴절이라고 알려져 있다. 다이버가 마스크를 통해 물속의 사물 을 보면 굴절 현상이 생겨 대상의 크기와 위치에 대해 착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5) Light(라이트)
1) 빛
남아있는 무 정지 다이빙 시간 정보를 추적함으로써 감압 다이빙을 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물리학은 물질의 특성을 다루는 과학이다. 물질은 고체, 액체, 기체의 3가지 상태로 존재한다. 그중에서 고체는 거의 압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중요하 지 않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액체이다. 우리가 잠수할 곳은 물속이고 우 리의 체내에는 혈액이 흐르며 하강할 때 물은 우리의 몸에 압력을 가한다.
몸의 고체는 압력을 자유롭게 전달하지만 액체나 기체로 된 부분은 수압의 증가에 영향을 받는다. 몸의 각 부분에 고르게 압력이 작용할 때에는 압력이 증가해도 영향이 없다. 그러나 압력이 고르지 않게 작용할 경우 우리의 몸은 압착(squeeze)에 노출된다. 다이버에게 영향을 미치는 순서대로 다이빙의 물리학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3. 다이빙의 물리적 효과
사물이 실제보다 크고 가깝게 보인다. 그 비율은 약 3/4 (75%)이며 약 20미터 떨 어진 대상이 15미터 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기 중에서 음속은 약 초속 343m이지만, 물속에서는 그것보다 네 배 가량 빨 리 이동한다. 그러나 공기와 물에 밀도 차이 때문에 소리 에너지는 원래보다 약 1/10000으로 줄어든다.
공기에 포함된 기체는 산소 21% 질소 78% 나머지 1%는 일산화탄소, 이산 화탄소 등이다.
압력은 물체에 가해지는 힘이며 바(bar)라는 단위로 표시된다. 다이빙 중 압력은 다이버의 위에 있는 물의 무게와 공기의 무게를 합쳐서 발생한다.
a. 평균 해수면의 대기압 = 1.01325bar (약 1bar) b. 10미터 깊이의 염수 = 1.035bar (약 1bar) c. 10미터 깊이의 담수 = 1bar
대기압은 1기압이며 수중 10m에서는 1기압이 더 증가하므로 2기압이 되며 20m 에서는 3기압으로 나타낸다.
다이버의 체온에 대부분은 전도 현상에 의해 온도가 낮은 주변에 물로 전달된다.
한 물체와 다른 물체가 접촉해 있을 때 열이 직접 전달되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체온은 약 36.5℃이고 심각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 한 그 온도는 변하지 않는다.
24℃ 이하에 온도인 물속으로 잠깐이라도 잠수하기 위해서는 꼭 맞는 다이빙 슈 트가 필요하다.
· 수중 소리 속도: 4배 빠름
· 소리 방향을 알기 어려움
· 물속이 4배 빠르다(1,550M/ch)
· 특징: 많은 열 빼앗음, 약 21~25배
· 원인: 높은 열전도율
· 영향: 저체온증 유발
· 예방: 적절한 잠수복 착용, 몸이 떨리면 잠수 중단
2) 소리
4) 공기의 구성
5) 압력(달톤의 부분압) 3) 열 전달
얕은 잠수복
30℃
24℃
13℃
0℃
5mm 습식 잠수복
건식 잠수복 (드라이슈트)
TIP. 잠수복별 열전도율 비교 TIP. 수중소리 시간차 이해
물속에서 하강할 때 다이버의 몸은 압착에 노출된다. 이 현상은 다음과 같이 보일 의 법칙에 의해 지배된다. 기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 부피는 압력에 반비 례하고 밀도는 압력에 정비례한다. 물속에 들어가서 숨을 쉴 경우 기체에 대한 압 력이 높아지므로 몸속에 기체의 부피는 감소하고 밀도는 증가할 것이다.
• 정의: 부피의 단위 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이다(P=V/m-무게/부피).
• 민물 밀도: 1g/cc = 1kg/L
• 해수 밀도: 1.025g/cc = 1.025kg/L
• 공기의 밀도: 물 밀도의 1/800, 고도의 따라 변함, 압축성이 양호하다.
• 물은 압축이 안되며 바다 수심 10m마다 대기압 1씩 증가한다.
• 밀도의 영향: 공기보다 물이 저항이 크며 소리 전달이 빠르고 빛은 전달은 어려우며 열의 전달 속도는 빠르다.
• 정의: 기체나 액체 속에 있는 압력을 가하는 형질이 다른 물체에 작용하 는 중력에 반하여 위로 뜨려는 힘을 말하며, 물체에 적용하는 부력이 중 력 보다 크면 뜬다.
• 부력의 상태 및 필요성
• 부력 조절 방법: 웨이트 무게 조절, 부력조절기 사용, 호흡조절 압력(달톤의 부분압 과 보일의 법칙)
양성 부력 수면휴식, 표면수영, 물체인양 중성 부력 수중활동 자유, 공기소모율 감소, 체력낭비 예방, 환경보호 음성 부력 하강
6) 보일의 법칙
7) 밀도
8) 부력
TIP. 양성, 중성, 음성 부력의 차이
+양성 중성 -음성
• 중이 압착: 압력 균형 실패로 발생 통증을 유발할 시 잠수를 중단하고 상승 하여 압력 균형 재시도 후 하강한다.
• 외이 압착: 귀에 귀마개를 막은 상태에서 입수시 생기는 현상으로 통증이 생 긴다. 다이빙 입수시 귀마개는 일체 착용하지 않는다.
• 고막파열: 압력 균형 실패로 발생 심한 현기증을 동반하며 전문 치료가 필요하다.
• 원형창파열: 무리한 압력 균형 이명으로 청력손실과 무리하게 코를 막고 불기식 압력 균형을 가하면 회피 현상이 생긴다.
• 부비동 압착: 감기, 알레르기 등으로 인한 부비동의 공기 통로 막힘과 이마 부근 및 잇몸 뒷부분의 통증으로 코피를 유발한다.
• 역 폐쇄: 공기의 배출 통로가 막혀 과대 팽창되는 현상으로 귀 통증, 부비동 통증을 유발한다.
• 마스크 압착: 마스크 안에 압력 감소로 인하여 압착되어 눈 주변 통증이 생 긴다. 이때 코로 마스크에 공기를 불어넣어 압착 예방이 가능하다.
• 드라이슈트 압착: 슈트 내부 압력 감소로 인하여 발생한다. 드라이 슈트 부 력을 유지하면서 공기주입을 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9) 압착과 압력 균형 실패로 인한 질환
10) 부비동 압착 및 역폐쇄
TIP. 다이버가 잠수해 내려갈수록 외 부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고막이 안 쪽으로 휘게 된다. 이때 코로 손을 막 은 상태에서 코로 공기를 불면 고막 이 제 자리로 돌아가고 아픔이 사라 지진다. 이것을 귀의 압력 균형이라 고 하며 침을 삼키거나, 턱을 움직여 도 된다. 만약 귀의 압력 균형을 유지 하지 못한 채 계속 잠수하면 고막이 터지게 된다.
• 정의: 공기 기포가 뇌 동맥을 막아 혈액에 흐름을 차단할 때 생긴다.
• 원인: 다이버가 호흡 중 숨을 참고 수면으로 상승하는 행위 시 발생한다.
• 증세: 입가에 피고름, 상승 후 기절, 비대칭성 마비, 사망까지 이른다.
• 응급처치: 눕혀서 산소호흡, CPR(호흡 및 맥박 정지시)을 한다.
• 예방: 다이빙시 숨을 참고 상승 절대 금지한다.
• 원인: 고압의 질소→ 신경세포 기능 방해를 한다.
• 증세: 술에 취한듯한 현상, 판단력이 저하가 된다.
• 처치: 얇은 곳으로 상승한다.
• 예방: 38m를 초과하여 잠수를 하지 않는다.
• 정의: 과다 축적된 질소가 인체로부터 호흡을 통해 충분히 배출되지 못하고 체내에서 기포 형성을 한다. → 병증 유발
• 원인: 감압 없이 잠수를 하거나 감압 잠수를 한 후 비행기 탑승 또는 높은 고 도로 올라갈 경우에 생긴다.
• 증세: 경증(피부의 발진, 관절 통증), 중증(호흡곤란, 신체마비, 의식불명)이 나타난다.
• 응급처치: 산소호흡 및 물을 많이 마시고 혈전용해제를 복용한다.
• 치료: 재압치료, 운송 중 산소호흡, 수중 재압 절대 금지한다.
• 재압치료: 기포로 된 기체의 재용해 및 기포 발생 억제 위해 천천히 감압을 하며 순수 산소를 사용하여 조직에 충분한 산소 공급과 약물치료를 한다.
• 예방: 감압 잠수를 하지 않으며 상승 중 안전 상승 및 상승 속도를 준수한다.
• 정의: 차가운 온도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생리현상이다.
• 원인: 물의 높은 열전도성과 공기통에서 나온 차가운 공기로 호흡할 경우 및 찬 온도에 노출, 찬물에서의 잠수, 부적절한 잠수복 착용 시 발병한다.
• 증상: 초기(떨림), 중기(떨림 증가, 혈액순환 제한, 호흡 증가)가 된다.
1) 공기 색전증
2) 질소 마취
3) 감압병
4) 저체온증
다이빙에 관계된 생리학은 생체가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연구하는 과학이다.
압력이 증가하는 수중에 다이빙했을 때 다이버의 몸이 직면하게 되는 몇 가 지 문제들을 설명하게 될 것이다.
4. 다이빙의 생리적 효과
TIP. 질소 마취로 인한 신경세포 모습
• 치료: 초기 증상 발견 시 잠수 중단을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면 된다.
• 예방: 적절한 잠수복 착용을 한다.
• 정의: 과대하게 생성된 CO2 가 체외로 배출되지 못하고 체내 축적이 된다.
• 원인: 호흡 저항 증가, 스쿠버 사용 중 노동, 호흡 거르기, 장시간 무리한 핀 킥으로 나타난다.
• 증상: 잠수 후 심한 두통과 기절 등을 한다.
• 치료: 맑은 공기호흡으로 산소호흡을 한다.
• 예방: 천천히 유영, 스쿠버 장비로 중노동 금지, 호흡 거르기 금지를 하면 된다.
- 초과호흡
• 정의: 수중에서 보다 오랫동안 숨을 참기 위해 빠르고 깊은 호흡을 한다.
• 목적: 수중 체류 시간 연장이 된다.
• 영향: 지나친 초과 호흡시 → 얕은 물에서의 기절 초래를 한다.
• 정의: 스킨 다이버가 수면으로 상승 중 얕은 수심에서 기절을 한다.
• 원인: 과도한 초과 호흡 후 오랜 숨 참기 때문이다.
• 증세: 수중에서의 기절을 한다.
• 응급처치: 구조 호흡과 CPR을 한다.
• 예방: 적절한 초과 호흡(3-4회) 및 숨참 기를 한다.
• 정의: 일산화탄소 흡입 → 중독 현상이 나타난다.
• 원인: 일산화탄소가 헤모글로빈(Hb)과 결합 및 배기가스나 오염된 공기를 충 전을 할 경우 → 산소 공급 방해
• 증세 및 증상: 입술, 손톱이 빨개짐, 두통, 현기증, 의식불명이 된다.
• 치료: 고압 산소치료(HBO), 산소호흡을 한다.
• 예방: 맑은 공기를 충전한다.
• 정의: 고압의 산소 → 인체 내 효소작용 방해 → 부작용이 나타난다.
• 원인: 잠수 중 산소 농도가 높은 기체 호흡을 한다.
• 증상: 시각장애, 청각장애, 구토, 현기증, 발작, 흥분이 나타난다.
• 응급처치: 수면으로 상승을 시켜 누워서 쉬게 하고 산소호흡을 금지한다.
5) 이산화탄소 축적
6) 초과 호흡과 얕은 물에서의 기절
7) 일산화탄소 중독
8) 산소 중독
TIP. 이산화탄소 중독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평소 호흡보다 조 금 길고 부드럽게 호흡하는 방식이 바람직 하다. 절대 호흡을 참거나 거 르는 행위를 해서는 안된다.
TIP. 일산화탄소 중독 현상
무감압 잠수(no-stop dives)
무감압 잠수는 다이빙 시간과 깊이가 감압 정지가 필요하지 않은 한계 내에 있는 잠수이다. 분당 9미터씩 상승하면 몸이 충분한 감압 효과를 얻을 수 있 다. 매번 잠수를 할 때마다 수면에 올라오기 전 5미터에서 5분 동안 안전 정 지를 해야 한다. 감압 잠수는 특수한 훈련과 장비를 요구하므로 초보자 레벨 에 다이버는 무 감압 잠수에 먼저 익숙해지려고 노력해야 한다. 다이빙을 계 획하고 계획대로 다이빙하라는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성공적인 무감압 잠수 를 달성할 수 있다.
반복 잠수(repetitive dives)
반복 잠수는 다이버가 가장 많이 하는 종류의 다이빙이다. 반복 잠수란 이전 다이빙에서 수면 부상한 뒤로부터 12시간 내에 다시 잠수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 한번 다이빙하러 갈 때 몇 차례의 잠수를 계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감압 잠수에서 물 위로 나올 때 몸속에 남은 여분의 질소가 완전히 사라지 기까지 약 12시간이 걸리므로 잠수 계획을 짤 때 이점이 충분히 고려해야 한 다. 악영향이 없이 인체가 흡수할 수 있는 질소의 양은 정상적인 포화상태의 약 200%까지다. 이것이 이론적으로 우리가 무감압으로 시간제한 없이 10 미터의 잠수를 할 수 있는 이유다.
응급처치란 사고 또는 갑작스러운 질병의 발생자에게 전문적인 치료 이전 에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처치를 하는 것이다. 희생자가 의식이 없고 숨을 쉬 지 않는다면, 맥박을 확인하려고 하지 말고 구강 인공호흡법 및 심폐소생술 (CPR)로 심폐기능 소생을 즉시 시작한다. 우선 희생자의 입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머리를 뒤로 젖혀서 혀가 기도를 막지 않게 한다. 입에 2번의 숨을 불어넣고, 30번의 흉부 압박과 2번 불어 넣고 자동심실제세동기를 119응급 차가 도착할때까지 반복한다. 숨을 불어 넣을때는 손으로 희생자의 코를 막 아서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가슴이 부플 때까지 강하게 숨을 불어 넣고 나서 입을 떼어 희생자가 숨을 내쉬게 한다. 흉부 압박을 효과적으로 하려면 가슴 한 가운데를 강하고 빠르게(분당 약 100회) 눌러야 한다. 압박 을 멈출 때마다 혈액의 흐름도 멈추므로 압박이 끊기지 않게 한다. 가장 중 요한 점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즉각적인 조치를 하는 것이다.
5. 감압절차
6. 응급처치
• 출혈: 상처로 인한 심한 출혈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손이나 붕대 등으로 상처 입구를 꽉 누르는 것이다.
• 쇼크: 혈액순환이 되지 않으면 신체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이 충분히 공급 되질 않아서 생명이 위태로워진다. 증상으로 저체온증 및 기운이 쇠약하거 나 너무 빠른 맥박, 참백, 냉습한 피부, 갈증 등의 증세를 보인다. 처치로는 다리를 살짝 위로 올려서 적절한 혈액이 머리로 공급되고 체온을 유지하게 해야 한다. 액체를 마실 수 있는 상태라면 물이나 주스를 준다.
• 노출: 차가운 물이나 지나치게 높은 열에 들어가면 경련, 오한, 기력 소진, 열사병 등 다이버에게 위험한 상태를 만든다. 처치로는 즉시 물에서 나와 수면에서 쉬는 것이 가장 좋다.
1) 출혈, 쇼크, 노출
2) 다이빙 사고
- 수중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희생자가 감압병, 공기색전증, 기흉 등의 증상을 보일 경우 다른 다이버들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밟아야 한다.
• 희생자를 물에서 꺼내어 적절한 응급 처치를 한다. 즉시 해안으로 향해야 하며 부상당한 다이버를 깊은 곳으로 돌려보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해서 는 안된다.
• 119에 전화해 응급 의료 서비스를 요청한다.
• 희생자에게 100% 의료용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
• 다이빙 사고 전문 기관 DAN에 전화를 한다. DAN은 사고 발생 위치에서 가 장 가까운 재압 챔버를 통지하고 희생자를 챔버로 신속하게 후송하도록 조 치를 취할 것이다. 공기배출이 되지 않는 항공기로 이동하면 희생자의 상태 가 악화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반드시 5000피트 이상의 고도로 비행 해서는 안된다. 모든 다이버는 가장 가가운 챔버가 어디에 있는지, 치료를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 한다.
• 쇼크에 대한 처치를 한다.
• 체온을 유지시킨다.
• 모든 생체 기능을 감시한다.
• 희생자를 가장 편안한 자세로 누워 있게 한다.
• 연락한 의사나 의료인이 다이빙 사고에 대한 전문가가 아니거나 재압치료 의 전문가가 아닐 경우 재압치료나 산소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고 있 다. 의사가 재압이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는 전문가와 연락하는지 살펴보 는 것은 부상당한 다이버의 버디의 의무이다.
TIP. 한국 다이버 긴급전화(24시간) 강연천 박사 _ 010. 4500. 9113
1) 해양에 대하여
바다를 다루는 지리학이라는 좁은 의미에서 해양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 다. 해양 학자들은 보다 넓은 의미에서 해양자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해 양학자 동물학, 식물학, 미생물학, 고생물학, 기상학, 화학, 지질학, 물리학, 생 리학 등의 과학 분야를 전문으로 하여 바다에 관심을 가지고 바다에 대한 연 구를 하는 과학자를 가리킨다. 해양학의 최초의 형태는 2000년 전 폴리네시 아인들이 별과 새를 따라, 바람과 조류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방향을 잡아 태 평양을 가로질렀던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양에서는 콜럼버스가 처음으로 해양학을 시작하였다. 최초의 수심 측량은 18세기 후반 제임스쿡 선장의 항해 중에 이루어졌다. 줄 끝에 매단 납으로 만 든 추를 1300미터 깊이까지 내려서 해저의 푸른 진흙의 표본을 건져 올렸던 것이다.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갔던 가장 유명한 박물학자는 1831년부터 1836년 까지 해군 측량선 비글호에 승선했던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이다. 그는 산호초가 동물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이론을 세웠는데 이는 이후 옳은 것 으로 증명되었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약 71%인 3억 6천 2백만 평방킬로미터를 덮고 있으며 평 균 깊이는 3,795미터이다. 가장 깊은 곳은 태평양의 마리아나 해구로 그 깊이 는 11,034미터이다. 만약 지표면 위의 모든 산과 언덕을 깎아 바다에 묻는다 해도 바다는 평균 2,400미터 깊이로 지구를 엎고 있을 것이다.
스쿠버는 바다에 대한 연구에 혁명을 가져왔다. 다이버들은 바다의 지질과 해 양생물에 대한 수백 가지 테스트를 하고 있다. 해저 밑바닥은 농장과 광산으 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작업은 상당 부분 스쿠버를 가지고 향해지게 될 것이 다. 공기와 혼합기체를 가지고 하는 스쿠버 다이빙은 해양 과학의 중요한 부 분을 차지하고 있다.
7. 다이빙 해양학
2) 해양 생물
바닷속에 사는 동물과 식물 중 다이버에게 관련되는 것은 수천 종류에 이른다. 그 러나 그중에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은 별로 많지 않다. 오히려 일반적으로 다이버가 해양 동식물에게 커다란 위협이 된다. 해양 동물이 다이버에게 가까이 접근할 때, 대부분의 경우는 위협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호기심 때문이다.
2-1. 상어(Shark)
- 상어 출현시 행동요령 및 예방 방법
• 잠수시 2인 이상 짝을 지어 입수를 한다.
• 상어를 만나면 고함을 지르거나 자극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다.
• 상어의 공격을 받을 경우 상어의 민감한 부분인 눈이나 코를 공격해 피신을 한다.
• 몸에 상처가 났을 때 피 냄새는 상어 유인을 하기 때문에 입수를 금지한다.
• 상어를 만나면 침착하게 선박이나 육지로 이동하거나 긴 띠를 풀어서 큰 물 체로 위장을 한다.
• 잠수시 잡은 고기를 허리에 묶고 작업을 금지한다.
• 상어의 활동이 왕성한 저녁 무렵 입수를 금지한다.
• 잠수 도중 가까이 있는 고기가 큰 떼를 지으면 즉시 피신을 해야 한다.
• 밝은 수영복이나 피부와 대비되는 색에 슈트는 착용하지 않는다.
• 물고기가 떼를 짓는 움직이나 물새들이 물에 뛰어드는 등이 이상 증세가 보이 면 상어가 출현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으니 잠수하지 않고 지켜봐야 한다.
• 모래톱과 쇄파 지역 사이나 물길의 가장자리 등 상어가 잘 오는 장소를 피한다.
• 상어에게 물고기 비늘이 햇빛에 반사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 장신구를 자 제한다.
• 상어를 전류를 감지하기 때문에 몸속에 건전지를 지니고 있다. 상어를 만나 면 건전지를 수중으로 노출시킨다(BC에 건전지를 지퍼팩에 넣어둔 후 상어 출몰시 건전지를 물 밖으로 노출).
TIP. 해파리, 곰치, 쏠치, 독성이 있 는 산호, 히드라 등 바다에는 유해한 동물들이 많다. 다이빙을 하려는 구 역이 어떤 동물들이 있는지 해당 지 역의 다이빙 시설 또는 강사에게 문 의를 해서 유해 동물을 확인 후 다이 빙 계획 하에 입수를 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이다.
제주도 서귀포 복상어
위험 어류 어류 솔치 위험 어류 쏠배감펭
2-2. 잠재적인 유해한 해양 생물
원인 영향 대처
해양식물 해초 특히 켈프가 다이버에게 휘감겨져 마우스피
스나 마스크가 벗겨지면 익사로 이어질 수 있음 다이빙 나이프 사용
산호 철상, 철과상, 붓거나, 가려움, 통증 손상부위를 염수로 싯고 붕대나 반창고를 덮고 필요에 따 라 항간염 치료
성게 심한쓰라림, 붓기, 통장, 순환 및 호흡곤란, 불 안, 근육경련
바늘로 핀서를 제거하고 손상부위를 식초로 싯고 진통제 및 연고 사용
해파리
찌르는 듯한 느낌, 쓰라림, 붓기, 경미한 피부출 혈, 공황발작, 메스꺼움, 구토, 심장 및 호흡곤 란, 성망, 경련
식초, 콜라, 모래, 면도거품, 베이킹소다로 소인 부분을 싯 어내고 진통제, 연고, 진정제를 사용
주의 : 담수 또는 알코올은 금지
문어 다리로 다이버를 붙잡을 수 있음, 물리면 찌르는
듯 쓰라림, 붓기 국소지지 요법
나사조개 찌르는 듯한 느낌과 쓰라림, 국소, 빈혈, 무감각,
감각이상, 혼수 가까운 의료센터로 즉시 이동
가오리 점차 확산되는 통증, 출혈, 무감각, 냉습한 피부,
메스꺼움, 쇼크 독침 덮개 제거하고 염수로 환부를 싯어 의료센터로 이동
바다뱀 물린 부위에 붓기나 통증 없음, 물린뒤 120분 내에 독의 증세가 나타남, 마비, 심장 및 호흡곤란, 쇼크
악세사리 제거 환부를 싯어내고 소독하고 물린 부위를 묶 지 않고 의료센터로 후송
독이 있는 물고기
독을 품은 가시로 상처를 입힘, 통증, 쇠약, 메스 꺼음, 두통, 설사, 심장쇼크
환부를 싯어내고 소독하고 물린 부위를 묶지 않고 의료센 터로 후송
1) 다이빙 계획
- 다이빙을 계획할 때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 다이빙을 하기 위한 자격을 체크한다(동굴, 혼합기체, 심해, 나이트록스 등).
• 다이빙 전 장비 확인 및 모든 장비를 체크한다.
• 깊이를 본다.
• 다이빙 시간을 본다.
• 감압을 할 수 있는 자격과 포함한 상승 시간을 체크한다.
• 공기 공급량을 본다.
• 공기 소모량을 본다.
• 감압/반복 잠수표 또는 다이브 컴퓨터의 사용한다.
• 국제적으로 공인된 과정을 마친 자격증과 경험 있는 다이버들과 함께 한다.
8. 다이빙 수칙과 절차
2) 조하대(수중) 조사원 안전 수칙
- 잠수조사 전
• 몸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최적의 신체 상태 유지한 후 잠수를 한다.
• 기상 상태와 잠수장비 이상 유무 점검을 한다.
• 지역의 수중 상태 및 지형을 숙지한 후 현지 가이드 조언을 참고한다.
• 잠수 계획은 적절한지 버디와의 의사소통에 무리가 없는지 확인한다.
• 보온장비 및 응급구조 안전장비가 잘 배치되어 있는지 점검한다.
• 수중환경에 적절한 잠수장비를 착용하며, 과중량의 부력은 피한다.
• 보트 입수시 비수 지점 안전상태 확인 후 확보된 부력 상태에서 입수한다.
• 입수시 기상악화, 장비 결함, 신체 상태 이상 시 잠수조사를 포기한다.
• 입수 후 착용 장비 결함이 없는지 확인 후 이상 발견 시 출수한다.
• 비상용 장비를 항상 준비하고 수중 라이트는 각자 2set 준비한다.
• 팀원 중 불안해하거나 다이빙에 부적절한 다이버가 있으면 쉬게 한다.
- 잠수조사 중
• 버디(짝)과 함께 실시하고, 조사 중 버디와 헤어지면 수면으로 상승한다.
• 하강시 이퀄라징을 실시하여 압력 평창에 실패시 잠수를 포기한다.
• 가급적 하강줄과 상승줄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승·하강한다.
• 하강시 1분 14m를 준수, 상승 시 1분당 7m의 속도 유지후 상승한다.
• 하강시 적절한 부력조절을 실시하여 수심별 중성부력을 유지한다.
• 수중 위험상황을 수시로 체크하고 수중환경을 훼손하는 행동은 피한다.
• 30m 수심에선 오랜 잠수를 피하고 안전한계 시간을 엄하게 준수한다.
• 공기량(잔압)을 항상 체크하고 70bar정도 남았을 때 상승을 시작한다.
• 공기가 고갈된 경우 기도를 확보 후 공기배출을 하며 상승 속도 유지 후 상승한다.
• BC의 공기가 계속적으로 주입 시 BC 호스를 분리 후 상승한다.
• 잠수 계획이 끝나고 출수시 5m 수심에서 약 4-5분간 안전 정지를 실시한다.
• 수면에 상승해서는 BC에 부력을 확보하고 보트를 기다린다.
• 상승 시 수면 위 안전 상황을 확인 후 360도 회전하며 안전하게 상승한다.
• 비상긴급 상승 시 부력 확보가 불가하면 웨이트 벨트를 몸에서 분리한다.
• 급상승시 공기를 천천히 배출하며 기도 확보 수면 장애물 확인 후 상승한다.
• 보트 출수시 먼저 올라가 다이버 주의 선미 추진기에 접근 금지한다.
• 조난 시 다이빙 소시지, 신호장비를 사용하여 구조선이 위치 확인하도록 한다.
• 수중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면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오기 전에 상승한다.
• 모든 다이빙은 스킬이 부족한 다이버 레벨로 맞추어 진행한다.
• 출수시 팀원 전원이 출수 및 중급 다이버와 짝을 이루어 출수시킨다.
TIP. 안전한 다이빙을 위해 짝다이 빙은 필수이다.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을때, 공기가 떨어졌을때 자신이 수중에서 그물에 걸렸을때, 나를 지 켜줄 수 있기 때문이다. 버디(짝)를 정하고 함께 잠수계획을 세우는 작 업이야 말로 안전한 다이빙의 첫 걸 음 이라고 할 수 있다.
- 잠수조사 후
• 잠수 조사자의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 시킨다.
• 팀원의 건강 상태 및 장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 다음 잠수 계획을 브리핑하고 1시간 이상 휴식을 취한다.
• 몸상태가 불안한 다이버는 100% 의료용 산소를 흡입 휴식을 취한다.
• 반복 다이빙시 낮은 수심에서 진행하며 강압 시간도 길게 실시한다.
• 잠수조사 후 팀원 건강 상태 체크를 하고 이상 시 응급조치를 시행한다.
• 잠수 후 무리한 운동, 음주, 과로를 피하고 편안한 신체 상태를 유지한다.
• 24시간 이내 항공기 이용이나 해발 300m 이상의 고지대는 피한다.
• 사고 발생 시 100% 의료용 산소를 흡입 시키며 전문치료 시설로 이송한다.
• 사고를 대비하여 비상시 매뉴얼을 가까운 곳에 배치해 둔다.
• 상반기, 하반기 1회 이상 강압챔버를 이용해 잠수병을 예방한다.
교육과정 중 혹은 과정을 마친 직후에 구입하는 장비는 교육 중에 지급되었던 장비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이어야 한다. 구입한 장비를 오래도록 사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관리 습관이 필수적이다. 적절한 관리만 해 준다면 오랫동안 사용하지 못할 이유가 전혀 없다. 다이빙 후 장비를 상당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고 보관해둘 계획이라면 깨끗이 씻고 건조한 뒤에 열로부터 멀리하여 보관 해야 한다. 가능한 좋은 상태로 장비를 유지해야 한다.
9. 장비의 관리와 유지
난파선과 더블탱크 다이버 다이버의 장비는 생명과 직결된다.
다이빙은 절대 자만 해서는 안되는 스포츠 중 하나이다. 바다속 여행 을 위해선 장비를 꼼꼼히 관리 해 야 된다.
• 흡수제(Absorbent): 다른 물질을 빨아들일 수 있는 물질, 리브 리더 속의 이산화탄소 흡수제 등
• 심해 (Abysmal Depth): 대양에 있는 것 같은 광막한 해저
• 폐포 교환(Alveolar Exchange): 폐포 속에서 산소를 혈액으로 운반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작용
• 주변 압력(Ambient Pressure): 현재 가해지고 있는 주변의 실제 압력
• 기압(Atmosphere): 바닷속에서 10m 내려갈 때마다 기압이 1씩 올라감 1ATA는 1.01325bar 와 같음
• 역류(Backwash): undertow라고도 부름, 외면의 해류를 형성하는 쇄파 에 의해 일어남
• 바(bar): 압력을 나타내는 미터법, 담수 10m 깊이의 압력이 1bar임
• 압력외상(Barotrauma): 압착과 같은 상승 도중 압력의 영향으로 인한 상태
• 다이빙 시간, BT(Bottom Time): 하강하는 데 걸린 시간과 바닥에서 보 낸 시간 합계
• 물마루(Crest): 파도의 가장 높은 점
• 입방피트, CF(Cubic Feet): 부피를 나타내는 영국식 단위, 다이빙에서는 스쿠버 실린더 내의 기체의 부피를 가리킨다. 1cf는 28.3리터와 같음
• 흐름, 해류(Current): 물의 수평방향 운동, 태양과 달의 인력은 조류를 유 발하고 해수면이 오르내리는 원인으로 조류를 제외한 흐름은 바다의 순 환 시스템에 의해 일어나는 것
• 감압(Decompression): 물속 깊은 곳에서부터 상승할 때 외부 압력을 낮 추거나 압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
• 감압 시간(Decompression time): 분당 10m 씩 상승하는 동안, 또는 미 리 정해진 감압 정지 동안 감압에 소비되는 시간
• 길(Fathhom): 1.83m(6피트)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 보통 깊이를 측정 할 때 사용 40길은 73m(230피트)
• 돌제(Jetty): 항구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류 또는 해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육지에서 바다로 길게 내밀어 건설한 구조물
• 노트(Knot): 시간당 1해리(1.852m)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초속 0.51444m와 동일, km/h를 노트로 환산하려면 0.54를 곱함
• 미터(Meter): 1미터는 3.2808 피트와 같음 피트를 미터로 환산하려면 0.3 곱함
• 배 벌미, 메스꺼움(Nausea): 위장이 불편하여 구토하고 싶은 욕구를 일으 키는 것, 달리는 자동차에 타고 있을 때 생기는 것을 멀미라고 부름
• 해리(Nautical Mile): 1해리는 1.852미터
• 평방인치 당 파운드, PSI(Pounde per square inch): 가해지고 있 는 실제적, 절대적, 총합적 압력, 미터법으로 bar 단위로 표시 1psi는 0.06895bar
10. 용어 색인
11. 별첨 부록
• 반복 잠수(Repetitive Dive): 이전 잠수로부터 12시간 간격 이내에 연속 잠수
• 반복 그룹, RG(Repetitive Grouq): 한번 잠수를 마치고 수면으로 올라온 뒤에 다이버에게 붙여지는 알파벳 기호, 반복 잠수를 계획할 때 사용
• 잔여질소시간, RNT(Residual Nitrogen Time): 반복 잠수에서 소비하게 될 실제 다이빙 시간 외에 감압을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시간, 이전 잠 수로 인해 체내에 용액 상태로 남아 있는 여분의 질소를 제거하기 위함
• 분당 호흡량, RMV(Respiratory Minute Volume): 1분당 등이 쉬고 내쉰 공기의 총량 1ATA 또는 bar에서 리터/분 또는 입방피트/분 단위로 표시
• 잔여 부피, RV(Residual Volume): 숨을 완전히 내쉬고 나 뒤에 폐 속에 남아 있는 기체의 양, 일반적으로 성인의 잔여 부피는 1.25리터 이것은 성 인의 폐의 평균적인 부피인 5리터의 약 1/4에 해당
• 스쿠버(scuba): 독립식 수중 호흡 조절 장치
• 해묘(Sea Anchor): 바닥에 늘어뜨려 뱃머리가 맞바람을 받게 하는 저항 물
• 징후(Signs): 눈으로 보아 감지할 수 있는 이상한 낌새
• 서프(Surf): 해안으로 밀려와 부서지는 파도, 수면위에서 부는 바람
• 수면 휴식시간, SIT(Surface Interval Time): 12시간 미만의 간격을 두고 여러 차례의 다이빙을 할 때, 각 다이빙 사이에 수면에서 소비된 시간
• 수면 소모율, SCR(Surface Consumption Rate): 1ATA 또는 1bar 압력 에서 1분당 들이쉬고 내쉬는 공기의 양, bar/m 또는 psig/m로 표시하며 값은 의미를 가진 용어로서 수면 공기소모, SAC를 사용
• 증상(Symptom): 눈에 띄는 신체 기능의 변화
• 수온약층(Thermocline): 수중에서 마주치는 갑작스러운 수온의 변화
• 최초 정지시간, TTES(Time to First Stop): 다이빙 시간의 끝부터 최초 갑압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상승 시간
• 총 상승 시간, TAT(Total Ascent Time): 다이빙 시간의 끝부터 수면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된 시간의 총합, 중간의 감압 시간도 포함
1. 오픈워터 시험문제
2. 국내 다이버 긴급 전화 상담 및 재압 챔버 운용현황
• 24시 한국 다이버 긴급 전화: Tel.010-4500-9113 강영천 박사
• 진해 해군해양의료원 해양의학부: Tel.055-3449-5896
• 한국잠수 응급구난망: 경남 통영시 정량동 1379-7 통영 세계로병원 Tel.055-649-7115, 017-560-0365 김희덕 원장
• 삼천포 서울병원 고압 산소 치료센터: Tel.070-4947-0275(오투치료)
• 제주시 제주의료원 고압산소치료실: Tel.064-720-2275
• 제주도 서귀포의료원 고압산소치료 센터: Tel.064-730-3075
Water Manual
발행일 | 2016년 3월
발행인 | 국립공원연구원 신용석 발행처 |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전남 여수시 돌산읍 강남로 31 돌산청사 3층 TEL. 061-640-2300
FAX. 061-640-2399
본 출판물은 비매품이며 영리목적으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본 출판물의 저작권은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있으며, 사전 동의 없이 무단전제와 복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