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Chapter 6. 유전자클로닝과 DNA 분석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Chapter 6. 유전자클로닝과 DNA 분석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pied!
14
0
0

Teks penuh

(1)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1. 유전자 클로닝

- PCR의 발명과 함께 유전자클로닝 기술 급속 발전 1) 유전자 클로닝 실험의 기본 단계

Vector 내에 클론되어질 유전자 포함하는 DNA 단편 삽입 숙주세포로 vector 운반

숙주세포 속에서 벡터 복사-> 운반유전자도 함께 복사

숙주세포 분열-> 벡터복제 후 자손에 전달

Colony 형성 -> 클론 형성

(2)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1) 혼합물 가열(94oC) -> 이중가닥 DNA 분리 (2) 50oC – 60oC로 냉각 -> primer의 결합

(3) 74oC 로 승온 -> Taq polymerase의 최적 온도 -> DNA 합성

2) PCR

(4) 94oC로 가열 -> (1) 단계로 다음 싸이클 시작

25 cycle 후 5백만개의 새로운 이중 DNA 합성

(3)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클론되어질 DNA 단편 :

- 다른 단편 혼합물의 한 구성원 - 각 단편들은 다른 벡터에 삽입

- 하나의 재조합 DNA 분자-> 하나의 숙주세포로 운반 - 각 클론은 한가지 분자만을 포함

숙주세포로 vector 운반

숙주세포 속에서 벡터 복사-> 운반유전자도 함께 복사 3) 클로닝에 의한 유전자 분리

숙주세포 분열-> 벡터복제 후 자손에 전달

Colony 형성 -> 클론 형성

클론 집합체 중 특별한 클론 확인이 관건

(4)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클론 집합체 중 특별한 클론 확인이 관건

(5)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4) PCR에 의한 유전자 분리

-Target gene 만을 PCR로 증폭 -> transformation 숙주세포로 vector 운반

숙주세포 속에서 벡터 복사-> 운반유전자도 함께 복사

숙주세포 분열-> 벡터복제 후 자손에 전달

Colony 형성 -> 클론 형성

PCR을 이용한 클로닝의 문제점

1. Primer 제작에 필요한 염기서열을 알지 못할 경우 2. PCR에 이용되는 유전자크기의 한계 -> 40kb

(6)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2. 유전자 클로닝의 운반체

- 숙주세포 내에서 복제가 가능할 것 - 비교적 작은 사이즈-> 10kb 이하 - Plasmid, Bacteriophage

1) Plasmid

- a number of closed loops of DNA

- contain 2% of genetic information in bacterium - multiply independently of the chromosome - shown mostly in Gram- bacterium

- not essential for bacterial life but confer selective advantage

-> resistance to antibiotics, produce toxin (bacteriocin) to struggle for life

(7)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Selective marker로서의 plasmid

(8)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Plasmid의 복제

- 모든 Plasmid는 1개 이상의 복제시작점(ORF) 존재 - 작은 사이즈의 경우숙주세포 염색체에 삽입 후 복제

-> episome

(9)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Plasmid의 크기와 사본 수

- 다양한 사이즈, 1~ 50개 이상의 사본 수

Plasmid의 분류

1. F plasmid : tra 유전자 (conjugation 조절 유전자)만을 운반 2. R plasmid : 항생제내성 유전자 운반, ex) RP4 in Pseudomonas

3. Col plasmid : colicin(다른 박테리아 저해)유전자 운반, ex) ColE1 in E. coli

4. Degradative plasmid : 특수 기질분자의 분해(toluene 등), ex) TOL in Pseudomonas putida 5. Virulence plasmid : 숙주세포에 발병, ex) Ti plasmid in Agrobacterium tumerfaciens

☞ 대장균의 경우 7종의 다른 plasmid 포함

☞ 진핵세포 plasmid : only found 2µm plasmi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10)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2) Bacteriophage

- lytic vs lysogenic cycle

- λ phage와 M13 phage 가 벡터로 사용 - λ phage : 전형적 용원성 파아지

(11)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1) λphage

- head-tail phage

- head 내에 DNA(49kb) 포함

- 기능별 유전자가 집단을 이루고 있음 -> 유전자를 그룹으로 on-off 할 수 있음 - 선형과 원형의 형태로 존재

-> 선형 :

- phage head 내의 DNA 형태

- 이중사슬 DNA 양쪽 말단에 상보적 cohesive ends(12 nucleotides)를 가짐 -> cos site

cos site

- 주입된 선형 DNA를 원형으로 만듦 -> 박테리아 유전체 삽입에 필수 - prophage 에서 분리된 후 endonuclease를 위한 restriction site로 작용

(12)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 λ phage의 선형과 원형

(13)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2) M13 phage - linear phage

- single-stranded circular DNA(6407 nucleotides) 포함 -> 적은 수의 유전자 - 숙주세포의 용균없이 바이러스 증식

(14)

Chapter 6.

유전자 클로닝과

DNA

분석

☞ M13 phage 복제

- 세포 내에서 single-stranded DNA가 template 역할 - 이중가닥 DNA로 된 뒤 복제 계속

☞ 벡터로서 M13 의 특징

- 10kb 이하의 크기 -> 표준형 벡터 사이즈 - replicative form은 plasmid 특성 가짐 - 단일가닥의 클론된 유전자 확보

- DNA sequencing, in vitro mutagenesis 등에 유익

Referensi

Dokumen terkait

The results show those size, ori type, and cer DNA fragment affect the stability of segregation, the intensity of the protein resulted, and rSOD activity, but not for the stability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