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kor codebook 20060137 cv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kor codebook 20060137 cv"

Copied!
31
0
0

Teks penuh

(1)

강원도 새농어촌건설운동 성별영향평가 조사 , 2006 : 지역주민

CODE BOOK

자료번호 A1-2006-0136

연구책임자 강문구

연구수행기관 강원도여성정책개발센터

조사년도 2006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3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3년

(2)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강문구 . 2006. 강원도 새농어촌건설운동 성별영향평가 조사 , 2006 : 지역주 민 . 연구수행기관 : 강원도여성정책개발센터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 료원 . 자료공개년도 : 2013 년 . 자료번호 : A1-2006-0137.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3. 강원도 새농어촌건설운동 성별영향평가 조사,

2006 : 지역주민 CODE BOOK . pp. 1-29.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area1 조사지역: 강원도 시/군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강릉 강릉 30 5.3 5.3

고성 고성 32 5.6 5.6

동해 동해 16 2.8 2.8

삼척 삼척 62 10.9 10.9

속초 속초 14 2.5 2.5

양구 양구 42 7.4 7.4

양양 양양 59 10.4 10.4

영월 영월 42 7.4 7.4

원주 원주 57 10.0 10.0

정선 정선 42 7.4 7.4

철원 철원 45 7.9 7.9

춘천 춘천 14 2.5 2.5

홍천 홍천 28 4.9 4.9

화천 화천 44 7.7 7.7

횡성 횡성 42 7.4 7.4

569

100.0 100.0

area2 조사지역: 마을이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검산2리 검산2리 14 2.5 2.5

광덕2리 광덕2리 16 2.8 2.8

낙동2리 낙동2리 14 2.5 2.5

남평1리 남평1리 14 2.5 2.5

대안리 대안리 14 2.5 2.5

덕산리 덕산리 16 2.8 2.8

도창리 도창리 15 2.6 2.6

도천2리 도천2리 14 2.5 2.5

동막리 동막리 14 2.5 2.5

동촌리 동촌리 14 2.5 2.5

동호리 동호리 16 2.8 2.8

만대리 만대리 14 2.5 2.5

매호리 매호리 14 2.5 2.5

명파리 명파리 16 2.8 2.8

몰운1리 몰운1리 14 2.5 2.5

(4)

미읍지구 미읍지구 16 2.8 2.8

반곡리 반곡리 14 2.5 2.5

부귀리 부귀리 14 2.5 2.5

삽교리 삽교리 14 2.5 2.5

상맹방 상맹방 16 2.8 2.8

석교리 석교리 14 2.5 2.5

성대1리 성대1리 16 2.8 2.8

신리 신리 14 2.5 2.5

신흥 신흥 16 2.8 2.8

안인진리 안인진리 14 2.5 2.5

양지리 양지리 16 2.8 2.8

어성전리 어성전리 14 2.5 2.5

예밀2리 예밀2리 14 2.5 2.5

용암2리 용암2리 15 2.6 2.6

유촌1리 유촌1리 2 0.4 0.4

유촌2리 유촌2리 9 1.6 1.6

유촌리 유촌리 3 0.5 0.5

이목리 이목리 14 2.5 2.5

자운2리 자운2리 14 2.5 2.5

장덕2리 장덕2리 16 2.8 2.8

전진1리 전진1리 15 2.6 2.6

정암3리 정암3리 14 2.5 2.5

주포리 주포리 14 2.5 2.5

콩꽃마을 콩꽃마을 14 2.5 2.5

팔랑1리 팔랑1리 14 2.5 2.5

현3리 현3리 14 2.5 2.5

569

100.0 100.0

type 마을 특색사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친환경관광마을 1 213 37.4 37.4

농특산품 특성화 2 67 11.8 11.8

산촌마을 특성화 3 36 6.3 6.3

농어촌마을 특성화 4 218 38.3 38.3

무응답 99 35 6.2 6.2

569

100.0 100.0

(5)

v01 새농어촌건설운동 찬반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반대하였다 1 8 1.4 1.4

반대하는 편이였다 2 10 1.8 1.8

찬성도 반대도 안하고 지켜만 보았다 3 121 21.3 21.3

이웃 주민들이 찬성하여 찬성했다 4 57 10.0 10.0

매우 찬성하였다 5 359 63.1 63.1

무응답 99 14 2.5 2.5

569

100.0 100.0

v01.1 (찬성한 경우(5)만해당)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우수마을로 선정이 되면 상사업비 5억원을 준다고 해서 1 20 3.5 5.4 시청 또는 군청 담당 공무원이 하라고 해서 2 3 0.5 0.8

마을이 발전할 것 같은 기대 때문에 3 313 55.0 83.9

각종 영농 교육에 참여하여 알고 나서 4 10 1.8 2.7 다른 마을이 우수마을로 선정된 것을 보고 5 4 0.7 1.1

무응답 99 23 4.0 6.2

비해당 0 196 34.4

569

100.0 100.0

v01.2 (반대한 경우(1,2) 해당)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우수마을로 선정되기가 너무 어려울 것 같아서 1 2 0.4 6.3 우수마을로 선정되면 일이 많아져서 힘들 것 같아서 4 3 0.5 9.4 마을 주민들간에 갈등이 생길 것 같아서 5 2 0.4 6.3

기타 6 3 0.5 9.4

무응답 99 22 3.9 68.8

비해당 0 537 94.4

569

100.0 100.0

1. 귀하께서는 새농촌건설운동을 시작할 때 찬성하셨습니까?

1-1. (1번의 "5" 응답자의 경우만) 새농어촌건설운동에 찬성하게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1-2. (1번의 "1", "2" 응답자의 경우만) 반대하셨다면 어떠한 이유로 반대하셨습니까?

(6)

v02 새농어촌건설운동 내용 인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2 3.9 3.9

그렇지 않은 편 2 71 12.5 12.5

보통 3 156 27.4 27.4

그런 편 4 182 32.0 32.0

매우 그렇다 5 136 23.9 23.9

무응답 99 2 0.4 0.4

569

100.0 100.0

v03 새농어촌건설운동에 관한 정보 습득 경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이장 1 261 45.9 45.9

추진단장 2 84 14.8 14.8

배우자 3 22 3.9 3.9

부녀회장 4 37 6.5 6.5

이웃 5 82 14.4 14.4

공무원 6 26 4.6 4.6

신문이나 TV 7 27 4.7 4.7

기타 8 24 4.2 4.2

무응답 99 6 1.1 1.1

569

100.0 100.0

v04 새농어촌건설운동 참여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 1 35 6.2 6.2

참여하지 않는 편이다 2 54 9.5 9.5

보통이다 3 90 15.8 15.8

가능한 참여한다 4 169 29.7 29.7

2. 귀하께서는 마을에서 추진되고 있는 새농어촌건설운동의 내용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십니까?

3. 귀하께서는 마을에서 추진되고 있는 새농어촌 건설운동의 내용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십니까?

4. 귀하께서는 현재 마을에서 추진하고 있는 새농어촌건설운동 전반에 걸쳐 어느정도 참여하고

계십니까?

(7)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5 206 36.2 36.2

무응답 99 15 2.6 2.6

569

100.0 100.0

v05 새농어촌건설운동 교육, 포럼, 영농교육 등 각종 교육 참여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 1 65 11.4 11.4

참여하지 않는 편이다 2 89 15.6 15.6

보통이다 3 81 14.2 14.2

가능한 참여한다 4 210 36.9 36.9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5 122 21.4 21.4

무응답 99 2 0.4 0.4

569

100.0 100.0

v05.1 (참여하는 경우) 만족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1 0.2 0.2

불만족한 편 2 14 2.5 3.4

보통 3 150 26.4 36.1

만족하는 편 4 195 34.3 47.0

매우 만족 5 49 8.6 11.8

무응답 99 6 1.1 1.4

비해당 0 154 27.1

569

100.0 100.0

v05.2 (참여하지 못한 경우)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확한 정보를 잘 몰라서 1 50 8.8 32.1

가구당 한 명씩 참여하기 때문에 기회가 없음 2 5 0.9 3.2

5-1. (5번의 "3'", "4", "5" 응답자의 경우) 참여한 경우 교육이나 포럼의 내용에 대해 만족하셨 습니까?

5-2. (5번의 "1","2" 응답자의 경우) 참여하지 못한 경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5. 귀하께서는 새농어촌건설운동 교육, 포럼, 영농교육 등 각종 교육에 참여를 하고 계십니까?

(8)

내 집일이 너무 많아서(시간 없어서) 3 45 7.9 28.8

관심이 없어서 4 31 5.4 19.9

기타 5 20 3.5 12.8

무응답 99 5 0.9 3.2

비해당 0 413 72.6

569

100.0 100.0

v06 마을의 회의(반상회, 총회) 참여자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본인 1 309 54.3 54.3

배우자 2 109 19.2 19.2

부부중 아무나 3 69 12.1 12.1

식구중 아무나 4 67 11.8 11.8

무응답 99 15 2.6 2.6

569

100.0 100.0

v07.1 마을개발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 수

유효 542

최소값 0

최대값 120

평균 9.9

표준편차 17.226

v07.2 마을개발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 중 여성 수

유효 543

최소값 0

최대값 60

평균 2.57

표준편차 6.358

6. 마을의 회의 (반상회, 총회) 에는 주로 누가 참여하십니까?

7. 마을개발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은 전부 몇 명인지 알고 계십니까?

(9)

v08 새농어촌건설운동 참여에 대한 만족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6 1.1 1.1

불만족한 편 2 27 4.7 4.7

보통 3 144 25.3 25.3

만족하는 편 4 243 42.7 42.7

매우 만족 5 134 23.6 23.6

무응답 99 15 2.6 2.6

569

100.0 100.0

v08.1 (만족하는 경우)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우수마을로 선정되어서 1 23 4.0 5.9

상사업비 5억원을 받아서 2 21 3.7 5.4

마을이 발전하기 때문에 3 304 53.4 77.6

다른 마을이 부러워하기 때문에 4 2 0.4 0.5

소득이 증가해서 5 21 3.7 5.4

기타 6 2 0.4 0.5

무응답 99 19 3.3 4.8

비해당 0 177 31.1

569

100.0 100.0

v08.2 (불만족하는 경우)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운동의 참여가 너무 힘들어서 1 2 0.4 4.2

상사업비를 통한 소득이 적기 때문에 2 1 0.2 2.1 전체적으로 본인에게 돌아오는 혜택이 다른 사람보다 적

기때문에 3 1 0.2 2.1

특별히 마을이 발전되는 것이 없어서 4 13 2.3 27.1

상사업비 사용에 대한 주민간의 반목 때문에 5 14 2.5 29.2

8-2. (8번의 "1", "2" 응답자의 경우) 불만족하신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8. 귀하께서는 마을이 새농어촌건설운동에 참여하게 된 것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8-1. (8번의 "4", "5" 응답자의 경우) 만족하신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10)

기타 6 2 0.4 4.2

무응답 99 15 2.6 31.3

비해당 0 521 91.6

569

100.0 100.0

v09 상사업비 5억원의 사용에 대한 만족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18 3.2 3.2

불만족한 편 2 60 10.5 10.5

보통 3 151 26.5 26.5

만족하는 편 4 247 43.4 43.4

매우 만족 5 81 14.2 14.2

무응답 99 12 2.1 2.1

569

100.0 100.0

v09.1 (불만족하는 경우) 불만의 이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본인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없어서 1 14 2.5 15.6

본인의 의견을 무시하고 사용해서 2 3 0.5 3.3

소득사업과 연계되는 사업이 없어서 3 29 5.1 32.2

상사업비 배분방식이 마음에 안들어서 4 16 2.8 17.8

추진단들에게 상대적으로 많은 혜택이 있어서 5 2 0.4 2.2

기타 6 9 1.6 10.0

무응답 99 17 3.0 18.9

비해당 0 479 84.2

569

100.0 100.0

9. 상사업비 5억원의 사용에 대해 귀하께서는 만족하십니까?

9-1. (9번의 "1", "2" 응답자의 경우) 상사업비 사용에 대해 불만이 있으시다면 그 이유는 무엇

입니까?

(11)

v10 상사업비중 일부를 여성들의 복지를 위해 사용하는 것에 찬성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반대 1 2 0.4 0.4

반대하는 편 2 15 2.6 2.6

그저 그렇다 3 84 14.8 14.8

찬성하는 편 4 347 61.0 61.0

매우 찬성 5 108 19.0 19.0

무응답 99 13 2.3 2.3

569

100.0 100.0

v11 마을 여성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사업비를 사용했으면 하는 분야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여성을 위한 상담소(부부, 자녀교육 상담 등) 1 28 4.9 4.9 여성을 위한 공간(휴게실, 도서실, 학습 및 모임공간) 2 120 21.1 21.1 농번기의 공동식당(밥공장) 운영(정부 인건비 보조) 3 77 13.5 13.5

방과후 공부방 4 31 5.4 5.4

공동목욕탕 5 53 9.3 9.3

찜질방 6 70 12.3 12.3

건강관리실 7 161 28.3 28.3

기타 8 19 3.3 3.3

무응답 99 10 1.8 1.8

569

100.0 100.0

v12 마을개발위원회에 여성들을 30%이상 의무 참여 방안에 대한 찬성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반대 1 8 1.4 1.4

반대하는 편 2 23 4.0 4.0

그저 그렇다 3 94 16.5 16.5

찬성하는 편 4 334 58.7 58.7

10. 상사업비중 일부를 여성들의 복지를 위해 사용하는 것에 찬성하십니까?

11. 마을 여성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사업비를 어떤분야에 우선적으로 사용하면 좋다 고 생각하십니까?

12. 마을 개발위원회에 여성들을 30% 이상 의무적으로 참여시키는 방안에 대해 찬성하십니까?

(12)

매우 찬성 5 107 18.8 18.8

무응답 99 3 0.5 0.5

569

100.0 100.0

v13 부부 교육 실시에 대한 의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반대 1 8 1.4 1.4

반대하는 편 2 16 2.8 2.8

그저 그렇다 3 108 19.0 19.0

찬성하는 편 4 336 59.1 59.1

매우 찬성 5 98 17.2 17.2

무응답 99 3 0.5 0.5

569

100.0 100.0

v14 마을의 발전을 위해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주민들의 참여를 보장하고 의견을 반영하는 것 1 74 13.0 13.0 주민들간의 이해관계 및 갈등을 조절하는 것 2 167 29.3 29.3

마을 공동체 의식, 문화의 강화 3 75 13.2 13.2

일자리 확대 등 경제적 소득의 증대 4 147 25.8 25.8

가부장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의식, 관행의 개선 5 7 1.2 1.2

주민복지 시설의 확대 6 81 14.2 14.2

기타 7 13 2.3 2.3

무응답 99 5 0.9 0.9

569

100.0 100.0

v15.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6 6.3 6.3

13. 의식혁신 및 영농기술 교육 등을 부부교육으로 실시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4. 마을의 발전을 위해서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5. 다음의 각각의 문항들에 대하여 귀하의 의견을 해당되는 곳에 O표 해 주세요 1) 새농어촌건설운동의 사업구상 및 계획단계에서 여성의 참여가 충분히 이루어졌다.

새농어촌건설운동에 대한 여성 참여도1: 새농어촌건설운동의 사업구상 및 계획단계에서 여성의

참여가 충분했다

(13)

그렇지 않은 편 2 97 17.0 17.0

보통 3 170 29.9 29.9

그런 편 4 164 28.8 28.8

매우 그렇다 5 84 14.8 14.8

무응답 99 18 3.2 3.2

569

100.0 100.0

v15.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8 6.7 6.7

그렇지 않은 편 2 120 21.1 21.1

보통 3 163 28.6 28.6

그런 편 4 168 29.5 29.5

매우 그렇다 5 61 10.7 10.7

무응답 99 19 3.3 3.3

569

100.0 100.0

v15.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4 6.0 6.0

그렇지 않은 편 2 93 16.3 16.3

보통 3 155 27.2 27.2

그런 편 4 197 34.6 34.6

매우 그렇다 5 67 11.8 11.8

무응답 99 23 4.0 4.0

569

100.0 100.0

2) 마을개방위원회(새농어촌 건설운동추진단) 회의에 여성의 의견이 잘 반영되고 있다.

3) 마을개발위원회(새농어촌 건설운동추진단) 의 회의결과가 여성들에게 잘 전달되고 있다.

새농어촌건설운동에 대한 여성 참여도2: 마을개발위원회(새농어촌건설운동 추진단) 회의에 여성 의 의견이 잘 반영

새농어촌건설운동에 대한 여성 참여도3: 마을개발위원회(새농어촌건설운동 추진단)의 회의결과가

여성에게 잘 전달

(14)

v15.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4 2.5 2.5

그렇지 않은 편 2 43 7.6 7.6

보통 3 102 17.9 17.9

그런 편 4 262 46.0 46.0

매우 그렇다 5 132 23.2 23.2

무응답 99 16 2.8 2.8

569

100.0 100.0

v15.5 새농어촌건설운동에 대한 여성 참여도5: 우수마을 선정 이후 여성의 경제력이 더 높아졌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6 11.6 11.6

그렇지 않은 편 2 146 25.7 25.7

보통 3 195 34.3 34.3

그런 편 4 116 20.4 20.4

매우 그렇다 5 24 4.2 4.2

무응답 99 22 3.9 3.9

569

100.0 100.0

v15.6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4 7.7 7.7

그렇지 않은 편 2 112 19.7 19.7

보통 3 188 33.0 33.0

그런 편 4 149 26.2 26.2

매우 그렇다 5 54 9.5 9.5

무응답 99 22 3.9 3.9

569

100.0 100.0

새농어촌건설운동에 대한 여성 참여도6: 상사업비의 사용이 여성과 남성에게 골고루 혜택이 가도 록 사용됨

5) 우수마을로 선정된 이후 여성 명의의 저축액이나 수입이 늘어나는 등 여성의 경제력이 더 높 아졌다.

새농어촌건설운동에 대한 여성 참여도4: 우수마을 선정 이후 여성들이 자원봉사를 해야 할 일들 이 더 많다

6. 소득작목의 선택이나 복지시설 등 상사업비의 사용이 여성과 남성에게 골고루 혜택이 가도록 사용되고 있다.

4) 우수마을로 선정된 이후 여성들이 마을을 위해 자원봉사를 해야할 일들이 더 많아 졌다.

(15)

v15.7 새농어촌건설운동에 대한 여성 참여도7: 우수마을 선정 후 이웃간의 관계가 더 좋아졌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2 7.4 7.4

그렇지 않은 편 2 92 16.2 16.2

보통 3 158 27.8 27.8

그런 편 4 174 30.6 30.6

매우 그렇다 5 82 14.4 14.4

무응답 99 20 3.5 3.5

시스템 결측값 시스템 값 1 0.2

569

100.0 100.0

v15.8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22 3.9 3.9

그렇지 않은 편 2 69 12.1 12.1

보통 3 112 19.7 19.7

그런 편 4 226 39.7 39.7

매우 그렇다 5 123 21.6 21.6

무응답 99 17 3.0 3.0

569

100.0 100.0

v15.9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38 6.7 6.7

그렇지 않은 편 2 104 18.3 18.3

보통 3 178 31.3 31.3

그런 편 4 169 29.7 29.7

매우 그렇다 5 64 11.2 11.2

무응답 99 16 2.8 2.8

569

100.0 100.0

새농어촌건설운동에 대한 여성 참여도8: 새농어촌건설운동 이후 우리 마을에 대한 애착과 애정이 더 많아졌다

새농어촌건설운동에 대한 여성 참여도9: 새농어촌건설운동 후 여성들이 더 살기 편한 마을로 변 화됨

7) 우수마을로 선정된 이후 이웃간의 관계가 더 좋아졌다.

8. 새농어촌건설운동 이후 우리마을에 대한 애착과 애정이 더 많아졌다.

9. 새농어촌건설운동 이후 여성들이 더 살기 편한 마을로 변화되었다.

(16)

v16.01 성역할 및 태도1: 아내와 남편은 집안의 모든 일에서 똑같은 결정권을 가져야 한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동의하지 않음 1 8 1.4 1.4

별로 동의하지 않음 2 26 4.6 4.6

보통 3 100 17.6 17.6

대체로 동의함 4 261 45.9 45.9

전적으로 동의함 5 170 29.9 29.9

무응답 99 4 0.7 0.7

569

100.0 100.0

v16.02 성역할 및 태도2: 집안일에는 남자가 할일과 여자가 할일이 따로 있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동의하지 않음 1 50 8.8 8.8

별로 동의하지 않음 2 110 19.3 19.3

보통 3 134 23.6 23.6

대체로 동의함 4 197 34.6 34.6

전적으로 동의함 5 74 13.0 13.0

무응답 99 4 0.7 0.7

569

100.0 100.0

v16.03 성역할 및 태도3: 부부는 결혼 중 얻은 재산을 공동 명의로 해야한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동의하지 않음 1 16 2.8 2.8

별로 동의하지 않음 2 63 11.1 11.1

보통 3 128 22.5 22.5

대체로 동의함 4 217 38.1 38.1

전적으로 동의함 5 139 24.4 24.4

무응답 99 6 1.1 1.1

569

100.0 100.0

16. 다음 각 문항들에 대해서 어느정도 동의하시는지 귀하의 의견을 말씀해 주십시오.

1) 아내와 남편은 집안의 모든일에서 똑같은 결정권을 가져야 한다.

2) 집안일에는 남자가 할 일과 여자가 할 일이 따로 있다.

3) 부부는 결혼 중 얻은 재산을 공동 명의로 해야 한다.

(17)

v16.04 성역할 및 태도4: 재산을 아들, 딸 구별 없이 똑같이 물려주겠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동의하지 않음 1 36 6.3 6.3

별로 동의하지 않음 2 87 15.3 15.3

보통 3 107 18.8 18.8

대체로 동의함 4 168 29.5 29.5

전적으로 동의함 5 162 28.5 28.5

무응답 99 9 1.6 1.6

569

100.0 100.0

v16.05 성역할 및 태도5: 남자와 여자 사이에 타고난 지적인 능력의 차이는 없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동의하지 않음 1 12 2.1 2.1

별로 동의하지 않음 2 64 11.2 11.2

보통 3 163 28.6 28.6

대체로 동의함 4 215 37.8 37.8

전적으로 동의함 5 106 18.6 18.6

무응답 99 9 1.6 1.6

569

100.0 100.0

v16.06 성역할 및 태도6: 학교에서 남학생에게 바느질, 요리 등을 가르치는 것에 찬성한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동의하지 않음 1 28 4.9 4.9

별로 동의하지 않음 2 82 14.4 14.4

보통 3 127 22.3 22.3

대체로 동의함 4 187 32.9 32.9

전적으로 동의함 5 140 24.6 24.6

무응답 99 5 0.9 0.9

569

100.0 100.0

5) 남자와 여자 사이에 타고난 지적인 능력의 차이는 없다.

6) 학교에서 남학생에게 바느질, 요리등을 가르치는 것에 찬성한다.

4) 재산을 아들, 딸 구별 없이 똑같이 물려주겠다.

(18)

v16.07 성역할 및 태도7: 지도력 훈련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더 필요하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동의하지 않음 1 45 7.9 7.9

별로 동의하지 않음 2 114 20.0 20.0

보통 3 189 33.2 33.2

대체로 동의함 4 150 26.4 26.4

전적으로 동의함 5 62 10.9 10.9

무응답 99 9 1.6 1.6

569

100.0 100.0

v16.08 성역할 및 태도8: 여자는 폭넓은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이 남자에 비해 부족하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동의하지 않음 1 50 8.8 8.8

별로 동의하지 않음 2 122 21.4 21.4

보통 3 202 35.5 35.5

대체로 동의함 4 147 25.8 25.8

전적으로 동의함 5 39 6.9 6.9

무응답 99 9 1.6 1.6

569

100.0 100.0

v16.09 성역할 및 태도9: 여자들이 너무 담당하면 남자들이 기가 죽는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동의하지 않음 1 43 7.6 7.6

별로 동의하지 않음 2 111 19.5 19.5

보통 3 126 22.1 22.1

대체로 동의함 4 180 31.6 31.6

전적으로 동의함 5 100 17.6 17.6

무응답 99 9 1.6 1.6

569

100.0 100.0

7) 지도력 훈련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더 필요하다.

8) 여자는 폭널버은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이 남자에 비해 부족하다.

9) 여자들이 너무 당당하면 남자들이 기가 죽는다.

(19)

v16.10 성역할 및 태도10: 우리 마을에도 여성이장이 나올 때가 되었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동의하지 않음 1 58 10.2 10.2

별로 동의하지 않음 2 134 23.6 23.6

보통 3 158 27.8 27.8

대체로 동의함 4 116 20.4 20.4

전적으로 동의함 5 98 17.2 17.2

무응답 99 5 0.9 0.9

569

100.0 100.0

v17.01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본인 - 농업노동)

유효 539

최소값 0

최대값 20

평균 7.42

표준편차 4.216

v17.02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본인 - 가사노동)

유효 540

최소값 0

최대값 18

평균 2.75

표준편차 2.557

17. 가정내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해 여쭙겠습니다. 귀하와 배우자의 평일 하루 생활시간을 각 각 합이 24 시간이 될 수 있도록 말씀해주십시오. (배우자가 없는 경우, 본인의 생활시간만 말씀 해 주십시오.)

10) 우리 마을에도 여성이장이 나올 때가 되었다.

(20)

v17.03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본인 - 자녀양육/교육)

유효 541

최소값 0

최대값 12

평균 0.78

표준편차 1.795

v17.04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본인 - 수면시간)

유효 541

최소값 0

최대값 12

평균 7.14

표준편차 1.369

v17.05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본인 - 여가/휴식)

유효 541

최소값 0

최대값 15

평균 4.21

표준편차 3.076

v17.06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본인 - 기타)

유효 538

최소값 0

최대값 17

평균 1.51

표준편차 3.228

(21)

v17.07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배우자 - 농업노동)

유효 392

최소값 0

최대값 18

평균 7.46

표준편차 4.328

v17.08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배우자 - 가사노동)

유효 391

최소값 0

최대값 12

평균 2.87

표준편차 2.571

v17.09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배우자 - 자녀양육/교육)

유효 390

최소값 0

최대값 15

평균 0.76

표준편차 1.765

v17.10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배우자 - 수면시간)

유효 394

최소값 0

최대값 17

평균 7.31

표준편차 1.365

(22)

v17.11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배우자 - 여가/휴식)

유효 394

최소값 0

최대값 17

평균 3.9

표준편차 2.802

v17.12 가정 부부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시간(배우자 - 기타)

유효 390

최소값 0

최대값 17

평균 1.48

표준편차 3.163

q01 응답자 연령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8세 18 1 0.2 0.2

19세 19 1 0.2 0.2

22세 22 2 0.4 0.4

23세 23 1 0.2 0.2

24세 24 1 0.2 0.2

25세 25 1 0.2 0.2

26세 26 1 0.2 0.2

27세 27 1 0.2 0.2

28세 28 1 0.2 0.2

29세 29 5 0.9 0.9

30세 30 2 0.4 0.4

31세 31 3 0.5 0.5

32세 32 3 0.5 0.5

33세 33 2 0.4 0.4

34세 34 8 1.4 1.4

35세 35 8 1.4 1.4

1. 귀하의 연령은?

(23)

37세 37 11 1.9 1.9

38세 38 10 1.8 1.8

39세 39 12 2.1 2.1

40세 40 14 2.5 2.5

41세 41 16 2.8 2.8

42세 42 17 3.0 3.0

43세 43 22 3.9 3.9

44세 44 8 1.4 1.4

45세 45 16 2.8 2.8

46세 46 15 2.6 2.6

47세 47 16 2.8 2.8

48세 48 21 3.7 3.7

49세 49 22 3.9 3.9

50세 50 23 4.0 4.0

51세 51 16 2.8 2.8

52세 52 21 3.7 3.7

53세 53 24 4.2 4.2

54세 54 12 2.1 2.1

55세 55 18 3.2 3.2

56세 56 10 1.8 1.8

57세 57 7 1.2 1.2

58세 58 11 1.9 1.9

59세 59 12 2.1 2.1

60세 60 16 2.8 2.8

61세 61 14 2.5 2.5

62세 62 9 1.6 1.6

63세 63 8 1.4 1.4

64세 64 14 2.5 2.5

65세 65 15 2.6 2.6

66세 66 15 2.6 2.6

67세 67 4 0.7 0.7

68세 68 9 1.6 1.6

69세 69 7 1.2 1.2

70세 70 14 2.5 2.5

71세 71 4 0.7 0.7

72세 72 4 0.7 0.7

73세 73 3 0.5 0.5

74세 74 4 0.7 0.7

75세 75 5 0.9 0.9

(24)

76세 76 6 1.1 1.1

77세 77 1 0.2 0.2

78세 78 4 0.7 0.7

79세 79 4 0.7 0.7

80세 80 1 0.2 0.2

83세 83 1 0.2 0.2

86세 86 1 0.2 0.2

88세 88 1 0.2 0.2

무응답 99 4 0.7 0.7

569

100.0 100.0

q02 응답자 성별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자 1 290 51.0 51.0

여자 2 278 48.9 48.9

무응답 99 1 0.2 0.2

569

100.0 100.0

q03 응답자 학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학 1 45 7.9 7.9

초등학교 졸업 2 190 33.4 33.4

중학교 졸업 3 119 20.9 20.9

고등학교 졸업 4 160 28.1 28.1

대학교 졸업 5 46 8.1 8.1

대학원 이상 6 1 0.2 0.2

무응답 99 8 1.4 1.4

569

100.0 100.0

2. 귀하의 성별은?

3. 귀하의 학력은?

(25)

q04 응답자 혼인상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배우자 있음 1 475 83.5 83.5

이혼 2 6 1.1 1.1

별거 3 6 1.1 1.1

사별 4 45 7.9 7.9

기타 5 30 5.3 5.3

무응답 99 7 1.2 1.2

569

100.0 100.0

q05 총 가구원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명 1 40 7.0 7.0

2명 2 151 26.5 26.5

3명 3 118 20.7 20.7

4명 4 123 21.6 21.6

5명 5 72 12.7 12.7

6명 6 44 7.7 7.7

7명 7 14 2.5 2.5

8명 8 4 0.7 0.7

10명 10 1 0.2 0.2

무응답 99 2 0.4 0.4

569

100.0 100.0

q06 가족형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부부만 사는 가족 1 144 25.3 25.3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족 2 184 32.3 32.3

부모와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족 3 115 20.2 20.2

6. 가족형태는?

4. 귀하의 혼인상태는?

5. 귀댁에 함께 살고 계시는 식구(가족)는 본인을 포함해서 모두 몇 명입니까?

(26)

조부모와 손자녀가 함께 사는 가족 4 27 4.7 4.7

혼자 사는 가족 5 40 7.0 7.0

기타 6 47 8.3 8.3

무응답 99 12 2.1 2.1

569

100.0 100.0

q07.1 자녀의 수

유효 326

최소값 1

최대값 8

평균 2.16

표준편차 1.084

q07.2 막내 자녀의 연령

유효 319

최소값 1

최대값 51

평균 17.45

표준편차 10.028

q07.3 손자녀수

유효 29

최소값 1

최대값 14

평균 2.83

표준편차 3.048

7. 함께 살고 있는 자녀의 수와 막내 자녀의 연령은? 손자녀와 함께 사시는 경우에는 그 수와 연

령을 응답해주십시오.

(27)

q07.4 막내 손자녀의 연령

유효 35

최소값 1

최대값 37

평균 7.74

표준편차 7.594

q08 농사짓는지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460 80.8 80.8

아니오 2 100 17.6 17.6

무응답 99 9 1.6 1.6

569

100.0 100.0

q08.1 (농사짓는 경우) 농사기간

유효 458

최소값 0

최대값 65

평균 25.78

표준편차 15.267

q09 연평균 총 소득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500만원 미만 1 102 17.9 17.9

500~1000만원 미만 2 125 22.0 22.0

1000만원~2000만원 미만 3 150 26.4 26.4

2000~3000만원 미만 4 89 15.6 15.6

3000~5000만원 미만 5 72 12.7 12.7

8. 귀하는 농사를 지으십니까? 농사지은지는 몇 년이 되셨습니까?

9. 귀댁의 연평균 총 소득은 얼마입니까?

(28)

5000만원 이상 6 15 2.6 2.6

무응답 99 16 2.8 2.8

569

100.0 100.0

q10 응답자 건강상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나쁘다 1 13 2.3 2.3

나쁜 편이다 2 98 17.2 17.2

보통이다 3 205 36.0 36.0

좋은 편이다 4 217 38.1 38.1

매우 좋다 5 33 5.8 5.8

무응답 99 3 0.5 0.5

569

100.0 100.0

q11 질병 유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184 32.3 32.3

없다 2 360 63.3 63.3

무응답 99 25 4.4 4.4

569

100.0 100.0

q12 인터넷 이용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못한다 1 220 38.7 38.7

조금 할 줄 안다 2 187 32.9 32.9

보통이다 3 86 15.1 15.1

잘 하는 편이다 4 52 9.1 9.1

아주 잘 한다 5 23 4.0 4.0

무응답 99 1 0.2 0.2

569

100.0 100.0

12. 귀하는 인터넷을 사용할 줄 아십니까?

10. 귀하의 건강상태는 전반적으로 어떻습니까?

11. 귀하에게는 만성질환 또는 치료를 위해 약을 드시고 있는 질병이 있습니까?

(29)

q13 자동차 운전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못한다 1 221 38.8 38.8

조금 할 줄 안다 2 31 5.4 5.4

보통이다 3 60 10.5 10.5

잘 하는 편이다 4 168 29.5 29.5

아주 잘 한다 5 87 15.3 15.3

무응답 99 2 0.4 0.4

569

100.0 100.0

q14 농기계 운전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못한다 1 274 48.2 48.2

조금 할 줄 안다 2 74 13.0 13.0

보통이다 3 49 8.6 8.6

잘 하는 편이다 4 114 20.0 20.0

아주 잘 한다 5 56 9.8 9.8

무응답 99 2 0.4 0.4

569

100.0 100.0

q15 본인 명의 부동산 유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307 54.0 54.0

아니오 2 258 45.3 45.3

무응답 99 4 0.7 0.7

569

100.0 100.0

13. 귀하는 자동차 운전을 할 줄 아십니까?

14. 귀하는 농기계를 운전할 줄 아십니까?

15. 귀하의 명의로 된 집이나 논, 밭 등 부동산을 가지고 계십니까?

(30)

q16 본인 명의 농산물출하통장 유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248 43.6 43.6

아니오 2 318 55.9 55.9

무응답 99 3 0.5 0.5

569

100.0 100.0

q17 현재 마을에서 거주기간

유효 556

최소값 1

최대값 83

평균 30.67

표준편차 19.461

q18 응답자 고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강원도 1 451 79.3 79.3

경기도 2 15 2.6 2.6

경상도 3 21 3.7 3.7

서울 4 17 3.0 3.0

전라도 5 17 3.0 3.0

제주도 6 2 0.4 0.4

충청도 7 40 7.0 7.0

무응답 99 6 1.1 1.1

569

100.0 100.0

18. 귀하의 고향은 어느 지역입니까?

16. 귀하의 명의로 된 농산물 출하통장을 가지고 계십니까?

17. 귀하께서는 현재의 마을에 거주한지 몇 년이 되셨습니까?

(31)

q19 마을일을 주도적으로 했던 경험 유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80 14.1 14.1

그렇지 않은 편이다 2 104 18.3 18.3

보통이다 3 143 25.1 25.1

그런 편이다 4 145 25.5 25.5

매우 그렇다 5 94 16.5 16.5

무응답 99 3 0.5 0.5

569

100.0 100.0

q20 새농어촌건설운동 추진단에서 직책이 있는지 여부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주민으로서만 참여하고 있다. 1 436 76.6 76.6

직책을 맡고 있다 2 104 18.3 18.3

무응답 99 29 5.1 5.1

569

100.0 100.0

19. 귀하는 그동안 마을일을 주도적으로 했던 경험이 있으십니까?

20. 귀하께서는 새농어촌건설운동 추진단에서 직책을 맡고 계십니까?

Referensi

Dokumen terkait

경기도 가족 여성 연구원에서는 여성 창업 지원 교육을 받으신 분들께서 느끼시는 창업 교육에 대한 개선 사항이나 생각하시는 점에 대해서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저희 서울마케팅리서치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는 보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으로 창업에 도움이 되는 창업 지원 교육의 방향을 수립하고자 진행하는 것이니

귀사의 매출액이 가장 높은 시기를 우선순위로 2가지만 선택해 주세요.. 귀사의 사업체 운영 시 힘든 점 2가지를 우선순위로 선택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