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N 접합 다이오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N 접합 다이오드"

Copied!
53
0
0

Teks penuh

(1)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PN PN 접합 접합 다이오드 다이오드

(2)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반도체란반도체란 무엇인가무엇인가??

(3)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반도체란반도체란 무엇인가무엇인가??

(4)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반도체란반도체란 무엇인가무엇인가??

(5)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반도체란반도체란 무엇인가무엇인가??

(6)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반도체란반도체란 무엇인가무엇인가??

(7)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반도체란반도체란 무엇인가무엇인가??

+5

(8)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반도체란반도체란 무엇인가무엇인가??

(9)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반도체란반도체란 무엇인가무엇인가??

• 진성 반도체는 열적으로 생성된 전자와 정공만이 캐리어가 되므로 자유전자와 정공 의 농도가 같다.

• 진성 캐리어 농도

n

i

밴드갭 에너지(

E

g), 온도(T), 볼츠만 상수

k

=8.6×10-5eV/K,

B

특정 반도체 물질에 관련된 계수 (실리콘의 경우,

B

=5.23×1015cm-3K-3/2)

T

=300°K에서 실리콘 진성 반도체의 캐리어 농도

n

i=1.5×1010cm-3

• 진성 반도체는 상온에서의 캐리어 농도(

n

i=1.5×1010cm-3)가 실리콘 원자의 농도 (5×1022cm-3)보다 매우 작으므로, 전류가 아주 작아 그 용도 또한 매우 제한적이다.

 

 

 

kTg

E

e BT

n i

32 2

(10)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반도체란반도체란 무엇인가무엇인가??

• 불순물 농도

N

D=2×1016cm-3인 N형 반도체의 전자농도

n

n=

N

D+

n

i

N

D 정공농도

p

n

n

i2/

N

D=11.25×103cm-3

 n n >> p n

• 불순물 농도

N

A=1017cm-3인 P형 반도체의 정공농도

p

p=

n

i+

N

A

N

A 전자농도

n

p

n

i2/

N

A=2.25×103cm-3

 n p << p p

• N형 반도체에서는 전자의 농도가 정공의 농도보다 매우 크므로 전자가 다수 캐리어가 되고, P형 반도체에서는 정공의 농도가 전자의 농도보다 매우 크므로 정공이 다수 캐 리어가 된다.

(11)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반도체란반도체란 무엇인가무엇인가??

계수 확산

:

전자의

전하량

:

전자의

10 6 .

1

19

D

n

C

q  

(12)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반도체란반도체란 무엇인가무엇인가??

이동도 정공의

전자와 각각

농도 정공의

전자와 각각

: ,

: ,

전하량

:

전자의

10 6 .

1

19

p n

p n

C q

전도율

저항율

n

n

p

p

q  

  

도핑을 선택하여 반도체의 전도율을 조절할 수 있다.

(13)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PN PN 접합접합 다이오드다이오드

영역에

(14)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PN PN 접합접합 다이오드다이오드

(15)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PN PN 접합접합 다이오드다이오드

(16)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PN PN 접합접합 다이오드다이오드

(17)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PN PN 접합접합 다이오드다이오드

(18)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DC DC 해석과해석과 등가모델등가모델

(19)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DC DC 해석과해석과 등가모델등가모델

(20)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DC DC 해석과해석과 등가모델등가모델

(21)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DC DC 해석과해석과 등가모델등가모델

(22)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DC DC 해석과해석과 등가모델등가모델

(23)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DC DC 해석과해석과 등가모델등가모델

(24)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DC DC 해석과해석과 등가모델등가모델

(25)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DC DC 해석과해석과 등가모델등가모델

(26)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DC DC 해석과해석과 등가모델등가모델

(27)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DC DC 해석과해석과 등가모델등가모델

(28)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DC DC 해석과해석과 등가모델등가모델

(29)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소신호소신호 등가회로등가회로

(30)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소신호소신호 등가회로등가회로

(31)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소신호소신호 등가회로등가회로

바이어스 점 (bias point) Q점 (quiescent point) 동작점 (operating point)

(32)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소신호소신호 등가회로등가회로

(33)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소신호소신호 등가회로등가회로

(34)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소신호소신호 등가회로등가회로

(35)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의

다이오드의 소신호소신호 등가회로등가회로

(36)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37)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38)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39)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40)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41)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42)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43)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44)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γ

in - V

V  2 Vin 2Vγ

Vγ

2

Vγ γ 2 V

2

(45)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46)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47)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48)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회로응용회로

(49)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제너다이오드와

제너다이오드와 그그 응용응용

(50)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제너다이오드와

제너다이오드와 그그 응용응용

(51)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제너다이오드와

제너다이오드와 그그 응용응용

(52)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제너다이오드와

제너다이오드와 그그 응용응용

(53)

E-mail: [email protected] http://web.yonsei.ac.kr/hgjung

제너다이오드와

제너다이오드와 그그 응용응용

Referensi

Dokumen terkait

•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 Vairachilai S, Vamshidharreddy 6731 - 6737 o Requires SubscriptionPDF • Experimental and Numerical

Key words: creativity, social work practice, phenomenology, program development, policy development, Filipino social work Introduction In Issue 2013 of this journal, the study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