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Copied!
1
0
0

Teks penuh

(1)

A Study on Toothbrush Sterilization Method

Ye-Seung Koh, Hye-Min Ko, Ye-Won Kim, Hye-In Yoon, Min-Sun Lee, Ho-Young Lee, Ye-Eun Han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Far East University, Eumseong 27601, Korea

서론 결론

칫솔 살균법에 대한 고찰

본론

참고문헌

1. 오정현 “칫솔 관리방법에 따른 세균량 조사 연구”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구 강보건학과 구강보건학전공 - .

2. 이미옥 “치면세균막 산생성도 및 칫솔관리행동별 칫솔 세균 오염도” 전주보건대 학 치위생과 한국치위생교육학지 : 4 권 제 2 , 2004, 255~263.

3. 김나경 , 조영원 , 조주희 , 주미라 , 정순정 “보관방법에 따른 칫솔의 미생물 오 염의 비교” 영산대학교 보건의료대학 치위생학과 2014, Oct, 2(1):1~8.

1. 칫솔 오염도의 심각성

칫솔은 구강점막 및 치아와 직접 접촉하면서 사용되는 중요한 구강위생도구로 사료된다 . 그러나 칫솔이 오염된 환경에 방치되어 있어 치아우식병과 치주병 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 변기 뚜껑을 닫지 않은 상태에 서 물을 내리면 최대 50 방울의 변기 물이 변기 밖으로 날아간다 . 변기 물이 튀는 거리만 해도 최대 6m 에 달한다고 하니 , 세면대 위에 올려둔 칫솔 위에 도 당연히 변기 물이 튀기 마련이다 . 대한예방치과학회지가 조사한 결과에 따 르면 ,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두고 사용한 칫솔 15 개에서 칫솔모 1 ㎟당 평균 500 만 마리의 세균이 검출됐다 .

2. 기본적인 칫솔 관리 실태

칫솔 오염도의 심각성을 보면 칫솔 관리법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가 있다 . 하지만 칫솔을 어떻게 관리를 하고 있는지 구강위생용품의 관리실태에 대한 조 사를 한 결과 좋지 않은 연구결과가 나왔다 .

사용하는 칫솔의 교체하는 주기는 1 달이 83 명 (37.4%) 로 가장 많았으며 , 3 달이상이라고 답한 대상자는 75 명 (33.8%) 이였다 . 칫솔을 살균하는 대상 자는 37 명 (16.7%) 로 나타났으며 , 살균을 하는 방법으로는 살균기를 이용 하는 대상자가 16 명 (7.2%) 로 나타났다 .

사람들은 가정에서도 칫솔을 살균하여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

먼저 베이킹소다와 식초는 컵에 한스푼을 넣고 칫솔모가 잠길정도로

3~5 분 넣어두고 자연건조 시키면된다 . 베이킹 소다와 식초 두가지 방 법을 비교한다면 베이킹 소다의 균별 살균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고 , 식초의 냄새로 인한 불쾌감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베이킹 소다 로 살균하는 것을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제안한다 .

Microwave 를 이용한 전자레인지는 칫솔을 충분한 건조 후에 1 분 정 도 돌려주게 되면 최대 98% 의 거의 완벽한 살균율을 나타내는데 건조 시간에 따라 살균율이 달라 질 수 있다 . 주의할 점은 Microwave 가 칫 솔모나 손잡이에 기계적 , 물리적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주 1~2 회의 사용을 권장한다 .

마지막으로 UV Light 를 이용한 칫솔살균기는 97% 의 사멸율이 나타 난다 . 하지만 UV Light 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 플라스틱의 탈색을 초 래할 수 있고 , 범위 내에 없는 부분은 살균이 잘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

이처럼 가정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칫솔 살균법들이 있지만 가장 좋은 방 법은 칫솔을 자주 교체해 주는것이다 .

<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는 살모넬라균 >

칫솔질은 구강 상태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하는 것이며 사용하는 칫솔 은 입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보관이 되어야 하는 물 건이다 .

보통 칫솔은 변기로 인한 세균 증식이나 습기로 인한 세균 증식이 가능한 위생적이지 않은 화장실에서 보관을 하게 된다 .

그 경우 세균이 묻은 칫솔로 입안에 세균을 집어넣는 상황이 된다 . 그로 인 한 , 구강 내 세균 및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 등으로 인해 칫솔이 오염되 며 오염된 칫솔을 통해 질병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한 칫솔에서 다른 칫솔로 세균이 옮겨가 교차 감염의 가능성도 있으며 , 칫솔 오염의 원인균으로 인 해 전신질환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

따라서 본 논문팀에서는 칫솔의 보관방법에 따른 오염정도를 파악하고 올 바른 칫솔 보관법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고찰하고 현재 시중에 판매되 고 있는 칫솔 살균기의 살균효과 , 또 그 외의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칫솔살 균법 , 그에 대한 효과도 우리 삶이랑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칫솔의 올바 른 관리와 구강질환 예방을 위해 여러 논문들을 통해 다루고자 한다 .

Referensi

Dokumen terkait

 위치 추적 : watchPosition 메소드  getCurrentPosition 메소드의 인자와 의미가 같음  위치정보 바뀔 때마다 watchPosition 의 콜백함수 실행  추적 중지 : clearWatch 메소드  watchPosition 메소드가 반환한 ID 값을 clearWatch 의 인자로 사용하여

Diesel Oil 디젤유 벙커 A DC Direct Current 직류 DPA Differential Pressure Alarm 차압 경보 DPIA Differential Pressure Alarm with Indicating 차압 경보 및 지시 DPS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차압 스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