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Techno Leaders Diges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Techno Leaders Digest"

Copied!
16
0
0

Teks penuh

(1)

TLD ASTI 위원 여러분의 공간입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독자엽서에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스마트폰으로 찍어보세요!

통권 254

2011.03.11

05

ASTI_ yes KISTI 02

KISTI 지원 탐방 1편 - 부산울산경남지원

STAR-value system을 활용한 R&D기술의 경제적 성과 예측/관리/평가

ASTI_핫이슈Ⅰ

04

KISTI 기업 지원 사업 성과 발표

ASTI_핫이슈Ⅱ

KISTI와 함께 더욱 저력 있는 기업으로! (주)동신유압

KISTI 소식, ASTI 동정

15 16

HOT BOX WHAT’ S NEW ASTI_해외동향정보 07

시장동향 _ PC시대의 종언

_ 2020년의 리튬이온 2차전지 가격 전망 기술동향_ 근육피로 감지센서로 운동선수의 부상 방지

_ 형광 영상 기술을 활용한 암세포 제거

_ 광학컴퓨터, 반도체 분야에 응용가능한 안티-레이저 개발 _ 육백만불의 사나이 팔다리가 현실로, 빛이 인간과 기계를 연결 정책동향 _ 중국과학아카데미, 12차 5개년 계획에 포함된

8대 과학기술전략 분야

_ 중국, 국가과학기술계획 80%이상이 산학연 결합 구현에 성공 _ 미국, 2011년 국가 나노테크놀로지 전략 계획

_ IAEA(국제원자력기구), 2012~2017년 중기 전략

Ti p _ 공부 잘하는 방법 : 시험을 봐라

T echno - Leaders’ Digest

http: / / asti.kisti.re.kr

http://asti.kisti.re.kr

254호최종 2011.3.8 1:59 PM 페이지2 G4-1G(Mac 2) 2540-PDF 2438DPI 175LPI T

(2)

ASTI_ 핫이슈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은 1972년에 개소해 지금까지 40년 가까이 부산·울산·경남 지역 과학기술진흥을 도모하고, 중소기업 및 연구자들에게 과학기술정보 조사·

분석서비스를 수행해 오고 있다. 부산울산경남 지역은 전국 산업체의 20.9%가 밀집해 있고, 기업연구소의 14.3% 그리고 43개의 대학이 소재하고 있어 산학연이 유기적인 생태계를 이룰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올 1월 새롭게 부임한 강현무 부산울산경남 지원장은

“지역적으로 분산돼 있는데다 업력이 오래된 토종기업이 다수라서 정보수요도 많고 요구하는 서비스 수준도 높지만, 젊고 능력 있는 연구원들이 탄탄하게 자리 잡고 있어 매년 상당한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울산경남지원은 KISTI 내에서도 상당히 뛰어난 부서로 인정받아, 혁신사례경진대회 최우수상(2007), 개원 7주년 기념 우수부서상(2008), 업무개선 과제제출 우수상(2008), 개원 9주년 기념 우수부서상(2010) 등 다수의 수상을 한 바 있다.

부산울산경남지원, 바로 이런 곳!

<부울경 지역 현황>

<부울경 지역별 전략산업>

지역 산업체 기업 연구소 ASTI 위원

부산 3,996 626 516

울산 1,235 202 482

경남 6,536 833 645

계 11,766 1,661 1,643 (전국대비) (20.9%) (14.3%) (14.4%

)

지역 전략산업

부산 해양바이오, 기계부품, IT융합, 원자력산업, 해양로봇 울산 자동차, 정밀화학, 조선해양, 환경 경남 지식기반기계, 바이오, 지능형 홈, 로봇, 방위산업

적지 않은 ASTI 위원들이 갖고 있는 궁금증들이다. TLD는 위원들의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핫이슈 코너를 통해 KISTI 6개 지원(부산울산경남지원, 서울지역팀, 경인지원, 충청지원, 호남지원, 대구경북지원)의 특징과 인력구성, 자체사업 등을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지원은 지역밀착형 정보지원, 특히 ASTI 사업 집중지원을 추진하는 KISTI 정보분석본부 산하 부서다.

TLD 254호에서는 지원탐방 첫 번째 순서로, 부산울산경남지원을 소개한다.

KISTI 지원 탐방 - 1편

부산울산경남지원

” ”

ASTI 위원으로 등록하면서, KISTI가 중소기업 운영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은 알았습니다. 그런데 구체적으로 누구에게 연락해 어떤 지원을 받아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KISTI 각 지원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사업이 있다고 들었는데,

이런 사업에 지원을 받고자 할 경우 어떻게 해야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3)

2011. 03. 11 | 통권 254호쪾3

앞으로 부산울산경남지원은?

강현무지원장은 앞으로 부산울산경남지원이 KISTI 6개 지원은 물론이고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모든 국가사업들의‘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특히 부산울산경남 지역 산학연 각 주체들이 KISTI의 적극적인 정보지원과 더불어 유기적인 지식생태계를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으며, 이를 통해 대학과 중소기업 간 성공적인 기술이전이 다수 도출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해 출범한 그린수소산업연구회를 내실화하고, 부산과 경남지역에 가칭 원자력부품연구회, 방산부품연구회를 각각 구축하는데도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부산울산경남 지역에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지식생태계가 뿌리내리도록 하겠으며, 지원을 몇 건 했다는 수치가 아닌 고객의 직접적인 성과를 가지고 인정받는 조직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연구원에게 도움을 요청할까요? (연구원 소개)

상기 사업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KISTI 홈페이지 (http://www.kisti.re.kr) 및 NDSL(http://www.ndsl.kr) 공지사항에서 제공한다.

지자체 협력 중소기업 맞춤형 정보지원사업

부산울산경남지역 4개 지자체(부산시, 울산시, 창원시, 김해시)와 협력해 지역 내 400여개 중소기업에 맞춤형 과학기술정보를 제공하고, 지식정보 활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찾아가는 정보활용 상담 및 세미나를 개최하는 사업이다.

울산 전략산업 기술 매트릭스 및 시장동향 조사지원사업 울산지역 전략산업(정밀화학, 환경) 로드맵을 보다 효율적 이고 정확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해당분야 기술 및 시장 동향을 조사해 제공하는 사업이다.

경상대 산학협력단 기술기획 및 기술동향 지원사업 단순 정보조사를 넘어 정보분석 보고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경상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해당 지역 중소기업 에게 맞춤형 기술특허동향보고서를 제공하고 있다.

수송기계 안전편의 부품 기업지원사업

부산울산경남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에어백, 시트, 브레이크 등 자동차 안전편의 부품에 대한 기술·시장·

특허분석을 해 주는 사업이다.

중소화학기업 R&D 기술시장동향 조사분석 지원사업 2011년에 신설된 사업으로, 한국중소화학기업협회 소속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시장분석보고서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이다.

부산울산경남지원만의 자체 프로젝트

인력(업무) 전공 경력

강현무 지원장

부울경지원 총괄책임 토목공학,

공업교육 과학기술정보 조사·분석, 개별기업 유망아이템발굴지원, 수소연료전지 관련 보고서 발간 및 DB 구축

김병정 책임기술원

경남지역 고객지원 전자공학 과학기술정보 조사·분석, 신발 기술정보 DB구축, 종합기업정보서비스망 운영, 신기술사업타당성분석, 기술로드맵 작성

서성호 선임연구원

부산지역 고객지원 기계공학 과학기술정보 조사·분석, 정책기획, 신기술사업타당성분석, 기술로드맵 및 특허맵 작성, 기업별 맞춤형 특허분석

정현상 선임연구원

울산지역 고객지원 고분자공학 과학기술정보 조사·분석, 디스플레이 R&D, 정밀화학 무역역조현황 플랫폼개발, 신기술사업타당성분석, 기술로드맵 작성

김태현 인턴연구원 전기공학 전기전자분야 정보조사 및 프로젝트 참여 김청현 인턴연구원 기계공학 기계금속분야 정보조사 및 프로젝트 참여 손수영 행정원 환경공학 행정 및 사업 업무지원

KISTI 지원 탐방 - 1편, 부산울산경남지원

1 1 . .

2 2 . .

3 3 . . 4 4 5 5 . . . .

취재 및 정리: 김희정(홍보협력팀)

254호최종 2011.3.8 1:59 PM 페이지3 G4-1G(Mac 2) 2540-PDF 2438DPI 175LPI T

(4)

ASTI_ 핫이슈Ⅱ

KISTI는 다양한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업무를 지원해왔다.

본 코너에서는 그동안 KISTI의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내용과 사업의 성과를 소개한다.

(주)비엠인터내셔널은 1982년 창립하여 트롤 전개판 및 트롤 어구의 개발을 주도해 온 글로벌 메이커로써 특히 트롤 전개판에 관해서는 국내 유일의 개발 업체이다. “트롤이라고 하면 보통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지만 우리가 흔히 즐겨 먹는명태나조기등많은수산물들은이러한트롤어법에의해어획되는 것으로써 한 척의 배가 트롤 그물을 끌고 트롤 전개판이 그물을 좌우로 펼쳐 어획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됩니다. 요즘같이 구제역이나 조류 독감 등으로 인해서 먹거리가 마땅찮은 지금 청정 먹거리를 공급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비엠인터내셔널은 이러한 트롤 어업에서 사용하는트롤전개판, 트롤그물을개발하고생산하는전문메이커입니다.”

(주)비엠인터내셔널의 박성호 대표는 KISTI의 슈퍼컴퓨터를 통한 발 빠른 신제품 개발이 곧 시장을 선도하는 힘이라고 말했다. 또한“외국의 경우 많은 연구소들이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자금이나 인력에서 부족한 중소 기업은이러한지원이나협력연구가매우중요하다”고덧붙였다.

“KISTI는 든든한 우군이고 앞으로도 개발 단계에서부터 시장 조사까지 다양한 지원을 통해서 개발 기술이 사장되지 않도록 효과적인 연계 지원을 계속 유지하여 주셨으면 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KISTI와의 파트너쉽을 유지하고 싶고 강소 중소기업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사업들이 확대되어나갔으면합니다.“

■ 첨단장비활용 기술개발사업과 슈퍼컴퓨터 (주)비엠인터내셔널의 사업분야인 트롤 전개판은 수중에서 전개되면서 거친 해저 면과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접촉을 통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과 복원성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대형 어망을 예망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전개 성능이 확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복합적인 해석이 필요 하고 개발과정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된다.

많은 개발자들이 모델링 개발에 있어 해석에 의존하는 개발 특성상 슈퍼컴퓨터를 한 번쯤은 생각해 보았을 것인데 (주)비엠인터내셔널의 부설 연구소인 해양기술개발연구소도 마찬가지였다.

방법을 찾던 중 중소기업청의 첨단장비활용 기술 개발사업에 대해 알게되었고, 슈퍼컴퓨터라는 강력한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임을 알고 사업을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독창적 아이디어와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족한 하드웨어와 인적 구성으로 선도 적인 융복합 제품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KISTI는 이러한 부분에서 해결책을 제시해줍니다. KISTI와의 공동 연구의 매력은 슈퍼 컴퓨터라는 강력한 하드웨어를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가 집단과 해석적 결과를 검토해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슈퍼컴퓨터 활용 결과

2009년 (주)비엠인터내셔널의‘유체-구조 연계 해석을 통한 트롤 전개판의 최적화 모델 개발’

이라는 과제를 통해서 개발된 제품명 Hipd2-P 모델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이 제품은 현재 러시아, 뉴질랜드 등지에서 매우 호평 받으며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 이는 내구성과 제품 성능을 근본적으로 향상시키고 독창적 아이디어가 시장에 어필되었기 때문이다.

기업명 : (주)비엠인터내셔널(http://www.bminternational.co.kr) 대 표 : 박성호 주 소 : 부산광역시 강서구 다대동 1512-2 Tel. 051-266-8035 Fax. 051-266-8036

사업분야 : 트롤 어구, 트롤 전개판, 각종 어구, 수산 해양 구조물 수행사업 : 첨단장비활용 기술개발사업(중소기업청)

KISTI 기업 지원 사업 성과 발표

KISTI와 수행한 과제소개 및 결과

(5)

2011. 03. 11 | 통권 254호쪾5

취재 및 정리 :

ASTI_yesKISTI

S S T T A A R R : S S ci. & T T ech. info. A A nalysis for R R &d

STAR-value system을 활용한

R&D기술의 경제적 성과 예측/관리/평가

KISTI가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과제를 소개합니다. ASTI위원들에게 기회의 장이 되기 바랍니다.

무한경쟁시대의도래에따라국내R&D 투자는 공공부문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점점 확대되고 있다. 연구개발(R&D) 투자가 경제활동의 핵심적 경쟁 수단으로 부각되고, 경제적 성과를 중시하는 기술확산정책에 발맞추어 연구개발된 기술의이전 및 확산에 의한 사업화 연계 또한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술개발투자의 사후적 경제 효과 분석은 물론이고 투자효율성 제고를 위해 선정과정에서부터 사전적 경제성 평가를 통해 효율적인 자원배분체제의 구축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R&D 기술의 가치평가를 통한 R&D 성과의 예측을 비롯하여 산업화 촉진을 위한 전방적·선도적 정보지원 체제 구축이 필요해 지고 있다.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R&D 사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가 바로 연구 과제 및 사업 평가·선정체계의 개선방안을 연구 하는 것이다. 연구개발사업의 평가 및 선정은 성격상 본질적으로 어려운 작업이다.

연구개발사업의 실제적인 평가는 상업화된 이후에나 객관적인 자료가 나올 수 있다. 그러나 개발에서 상업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연구개발사업의 성과는 개발활동 자체의 내적 요인뿐만 아니라 외부요인에 의한 영향도 받는다.

특히 평가자의 주관과 편견이 평가 및 선정과정에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평가와 선정 작업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R&D 사업의 효과

성과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방법은 평가 및 선정 단계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다.

문제는 R&D 투자안을 선정하기 위한 평가를 행함에 있어 불가피하게 불확실성이 개입된다는 점이다. 본질적으로 연구개발투자는 미래를 위한 사전 투자의 개념으로 그 연구성과를 누구도 장담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미국을 비롯한 모든 선진국에서는 대부분의 연구개발사업 시행 이전에 사업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분석을 실시 하여 연구개발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경제적 지표로서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는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서는 반드시 경제적 타당성분석을 해야한다는 경제 기본논리에 입각한 것으로서 한정된 자원 으로써 최대의 부의 창출을 도모하고자 하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논리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김훈철 외, 1998). 따라서 R&D 투자의사 결정의 효과성 제고 및 R&D성과의 확산을 촉진 하기 위해 중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R&D성과 및 기술가치에 대한 평가가 긴요해진다.

더욱이 공공부문의 R&D와 같이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성과의 회수에 많은 시간과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는 경우 이를 평가모형에 반영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론의 확보가 요구 된다 .

STAR-value system (www.itechvalue.org) 개요

254호최종 2011.3.8 1:59 PM 페이지3 G4-1G(Mac 2) 2540-PDF 2438DPI 175LPI T

(6)

ASTI_yesKISTI

정량적 측면에서 가치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접근방법은 수익 접근법, 비용접근법, 시장접근법, 실물옵션법 등이 있지만, 공공 부문 R&D의 성과평가를 위한 정량적 가치평가모형은 기본적으로 수익접근법을 근간으로 한 실물옵션법이 가장 유용한 것으로 여겨 진다.

비용접근법의 경우 R&D 투자안에 대한 대체원가를 구한다 하더라도 대체원가와 향후 성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시장접근법의 경우 공공부문 R&D의 성격상 시장에 유사한 비교대상이 있거나 거래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유용성이 떨어진다. 수익접근법의 경우 R&D 초기에는 개발기간, 상용화기간 등의 예측기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대한 위험할인율의 산정이 매우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국내에서 기술가치 평가는 주로 이미 개발이 완료된 기술의 담보대출과 기술이전 및 거래를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존 평가방법만으로는 R&D초기 단계에서 부터의 기술가치를 평가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KISTI는 공공부문 R&D의 결과물이 향후 기업으로 이전되고 상업화된다고 가정하고, 미래 시장에서 얻게 되는 기대 수익을 전제로 가치를 산정하는 수익접근법의 논리를 근간으로 하고, R&D의 속성상 미래 성과가 매우 불확실하기 때문에 미래 불확실성을 기대성과로 반영하는 실물옵션(Real options)의 논리를 보완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KISTI의 STAR-value 모델의 특징

R&D는 본질적으로 미래의 불확실성을 내포한 투자활동이며, 비록 R&D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결과물이 산출되더라도 그로부터 경제적인 수익이 창출되기까지는 또다른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R&D 평가모형에는 어떤 방식으로든 미래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방안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R&D 프로젝트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각의 R&D 프로젝트가 어떤 목적과 특성을 가졌는가를 분석해야 하고, 그 특성에 맞는 R&D의 기술가치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KISTI(2002)의 R&D의사결정 모델(STAR 시스템으로 구조화 하여 구현됨)은 공공부문 R&D 투자의사결정시에는 개별 R&D

프로젝트가 가지는 가치 뿐 아니라 다수의 R&D 프로젝트중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 STAR 시스템 에서 활용하고 있는 R&D 기술의 가치평가 시스템(STAR-value)은 다음과 같이 Black-Scholes 모델(1973년 Fisher Black과 Myron Scholes가 공동으로 개발)과 이항분포 모델(1979년 John C. Cox, Stephen Ross, Mark Rubinstein이 개발)을 구조화하여 시스템화한 것이다.

1. KISTI 모델(블랙숄즈 모델)

KISTI가 2001년에 제시한 기술가치평가 모형(KISTI-모델)은 상업화를 전제로 한 R&D 기술의 가치평가 모형으로 블랙-숄즈(Black- Scholes)의 옵션모형을 활용하고 있다.

블랙-숄즈의 모형은 수식이 난해하여 이해하기 힘들며, 다기간 모형 으로의 확장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지만, 모형 자체는 매우 단순하며 옵션가치 계산이 용이하다. 특히, 미래의 불확실성은 미래 현금흐름의 변동성이라는 지표 하나로 대응되기 때문에 현실적인 적용이 쉽다는 장점을 가진다.

2. 이항분포 모델

KISTI가 2002년 R&D 의사결정 지원의 일환으로 제시한 R&D 기술의 가치평가 추가 모형이다. 기술개발후 R&D 프로젝트가 종료되는 1단계 의사결정형 R&D도 있는 반면, 기술개발 후 상업화 및 대량 생산까지 이어지는 3단계 의사결정형 R&D도 존재한다. 개별 R&D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내재된 위험도 다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이항분포모형을 통해 미래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항분포모형은 다기간의 일반모형으로 현실이 어느 정도 복잡 하더라도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녔기 때문에, 개별 R&D의 특성에 맞추어 미래 불확실성을 모형 내에 반영할 수 있다.

3.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2003년에는 이렇게 제시된 평가모형의 불확실성에 대한 보완을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R&D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범위로 추정하여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STAR-value system의 활용

본 STAR 시스템은 효과적인 R&D 의사결정 지원 및 R&D 성과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긴요한 R&D기술의 가치평가 방법을 근간 으로 한 의사결정지원 정보지원시스템이다. R&D 의사결정 단계 분석,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지원 모형설계 및 R&D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평가모형에 있어서 정성-등급 평가모형과 옵션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기술가치평가 모형인 계량-정량 평가모형을 접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R&D의 경제적 성과와 관련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보다 많은 수요자들에게 정보활용의 혜택을 주는데 기여하고, 기업의 R&D 활동뿐만 아니라 국가 연구개발사업 연구 성과의 체계적인 관리 및 기술평가를 통한 사업화 이전을 촉진 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R&D 의사결정 시스템으로의 활용이 기대 되고 있다.

R&D 기술의 가치평가 모형

<블랙-숄즈 모형을 변형한 실물옵션모형>

V = 실물옵션의 가치(기술의 가치) S = 기술기여이익의 현재가치 X = 상업화를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기술개발 및 적용 비용 r = 무위험 이자율

T = 상업화를 시도할 수 있는 기간 σ = 기대이익의 변동성 N(d) = 표준정규분포의 d보다 적은

편차가 발생할 확률(누적확률)

의사결정형1단계 기술개발 후 종료 (예 : 공공부문

R&D)

투자비용의 현재가치

만기시 S > X 일 위험중립확률 만기시 S > X 일 때, S의 기대값 (위험중립확률을 이용하여 얻게 되는 기대치)

(7)

2010. 12. 24 | 통권 249호쪾5 2011. 03. 11 | 통권 254호쪾7

ASTI_해외동향정보 시장동향

IT업계에 몸담고 있다면 눈이 휘둥그레질 뉴스가 연이어 터져 나왔다. 하나는 스마트폰 판매대수가 PC를 넘어섰다는 소식이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지난해 4분기 처음으로 스마트폰 출하량이 1억9000만대로, PC 9210만대를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이 추세라면 올해 연간 기준으로 스마트폰이 PC를 처음으로 앞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스마트폰은 3억 2000만대가 팔리면서 3억4600만대가 팔린 PC를 턱밑까지 추격했다.

다른 하나는 같은 시기 노트북·태블릿 등 모바일PC 부문에서 애플이 HP의 아성을 넘어섰다는 뉴스였다. 디스 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애플은 4분기 아이패드 출하량이 1020만대를 기록하면서 노트북PC 930만대를 파는 데 그친 HP를 앞질렀다. HP는 세계 PC시장 1위를 달리는‘PC의 대명사’로 불리는 업체다.

두 뉴스는 시장이 보내는 새로운 시그널이다. IT시장을 주도했던 PC(퍼스널 컴퓨터)가 물러나고 새 주인이 그 자리를 채우고 있다는 신호다. PC는 80년대부터 무려 30년 동안 IT산업의 중심이었다. 그렇게 30년을 풍미했던 PC도 서서히 IT역사의 한편으로 물러날 준비를 하고 있다.

바로 수십 억대에 달하는 스마트폰 때문이다. 세대교체의 전조는 이미 2~3년 전부터 시작됐으며 올해는 판세가 확실히 바뀔 것으로 보인다. 결국 IT는 에니악으로 출발해 수 만대의 메인 프레임, 수십만 대 소형컴퓨터 이어 수억 대의 PC, 다시 수 십 억대규모의 스마트폰까지 공교롭게 단말기 크기에 반비례해 진화해 왔다.

IT패러다임에 따라 그 주인공도 바뀌었다. 에니악에 이어 IBM, 컴팩, 델과 HP,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 순으로 바통을 이어 받았다. PC를 이을 스마트폰 시대도 예외는 아니다.

시장이 변하면 항상 새로운 영웅이 출현한다. 여러 시나리오는 많지만 스마트폰 무대의 진짜 주인공이 누가될 지는 여전히 안개 속이다. 지금까지 스마트폰을 둘러싼 경쟁은 탐색전 수준이었다. 이제 흥미진진한 본 게임, 진검 승부의 막이 올랐다. PC가 스마트폰에‘IT제왕’자리를 내주는 원년인 2011년, 올해는 분명 IT시장을 가르는 분수령이 될 것이다.

PC시대의 종언

원문 : http://www.etnews.co.kr 출처: http://mirian.kisti.re.kr 작성: 유선희 책임연구원/산업정보분석실

중 템 은 n x, 한

를 - 형 며 의 는

D 는 량 D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내재된 위험도 다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이항분포모형을 통해 미래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항분포모형은 다기간의 일반모형으로 현실이 어느 정도 복잡 하더라도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녔기 때문에, 개별 R&D의 특성에 맞추어 미래 불확실성을 모형 내에 반영할 수 있다.

3.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2003년에는 이렇게 제시된 평가모형의 불확실성에 대한 보완을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R&D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범위로 추정하여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STAR-value system의 활용

본 STAR 시스템은 효과적인 R&D 의사결정 지원 및 R&D 성과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긴요한 R&D기술의 가치평가 방법을 근간 으로 한 의사결정지원 정보지원시스템이다. R&D 의사결정 단계 분석,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지원 모형설계 및 R&D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평가모형에 있어서 정성-등급 평가모형과 옵션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기술가치평가 모형인 계량-정량 평가모형을 접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R&D의 경제적 성과와 관련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보다 많은 수요자들에게 정보활용의 혜택을 주는데 기여하고, 기업의 R&D 활동뿐만 아니라 국가 연구개발사업 연구 성과의 체계적인 관리 및 기술평가를 통한 사업화 이전을 촉진 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R&D 의사결정 시스템으로의 활용이 기대 되고 있다.

<이항분포 모형>

R&D 특성

의사결정형1단계 선택

기술개발 후 종료 (예 : 공공부문

R&D)

“기술개발- 상업화”의

의사결정2단계

“기술개발- 상업화시도- 대량생산”의 3단계의사결정 의사결정형2단계 3단계

의사결정형 1차년도초

10048 14780

217141

10034

320240

14767

680

310 460

6817

2차년도말

3차년도말

1차년도말

R&D 투자가치 실물옵션가치 u

u

u

u

u u

d d

d

d d d

254호최종 2011.3.8 1:59 PM 페이지3 G4-1G(Mac 2) 2540-PDF 2438DPI 175LPI T

(8)

ASTI_해외동향정보 시장동향

2020년의 리튬이온 2차전지 가격 전망

자동화설비의 선진화로 인건비와 폐기물량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 활물질 등 원료물질의 가격은 부속품가격 등 생산량 증대에 따른 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2020년도는 리튬이온 2차전지를 장착한 자동차의 연간 생산대수가 1,100만 대가 될 것으로 예상 되고 있다. 기업별로 7,300만의 셀과 1,100만 개의 2차전지 팩을 생산한다고 가정하면 kWh당 셀 생산비는 60% 내려가 270~330달러가 되고, kWh당 15kWh 2차전지 팩 생산비는 360~440달러가 될 전망이다.

생산량 증대에 따라 생산비가 총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셀 생산비의 경우 69%에서 46%로 낮아지고 팩 생산비는 77%에서 52%로 낮아진다. 활물질과 부속품 등 생산량에 민감하지 않은 부분의 비율은 셀에서는 31%에서 54%로, 팩에서는 23%에서 48%로 증가한다.

또한 15kWh 2차전지 팩 가격은 2009년의 16,000달러에서 2020년에는 6,000달러로 감소할 전망이다.

미국 에너지부(DOE)의 셀 생산비 목표는 250달러이지만 이 목표의 실현을 위해서는 혁신적인 2차 전지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2차전지 가격은 생산량의 증가와 함께 하락하고 있다. 양산효과와 습득효과로 부속품가격도 내려가고 제조시설비와 감가상각비도 하락하고 있다.

출처: http://www.reseat.re.kr

<kWh당 NCA 셀의 가격> <배터리 팩의 kWh당 가격>

출처 : BCG

<2009년부터 2020년 사이, 배터리 가격의 하향추세 예상>

(9)

입을 수 있는 컴퓨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특히, 건강상태를 모니터하고 환자의 상태를 체크하는 보건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한가지로 근육 피로도를 감지해 운동선수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착용형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수들은 훈련하는 동안 근육 피로도를 자각증세에 의존해 인식한다. 때문에 잘못된 피로도의 인식은 근육의 좌상과 부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기기는 근육의 피로도를 체크해 운동자가 확인할 수 있어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시스템은 sEMG(surface- electromyography) 전극을 사용하여 근육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며, 고니오미터(goniometer)를 사용해 운동 학적인 근육 피로도를 측정한다. 근육으로부터 나오는 작은 떨림이나 진동을 감지하고, 이 신호들을 증폭해 선 마이크로시스템즈가 개발한 Sunspot 플랫폼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대 디지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실험을 통해 피로도를 1~10까지의 크기로 나눴고, 피로도가 10에 가까울수록 더 빨리 피로해지거나 피로로 전환될 수 있다. 만약 운동자의 피로도가 피로로 전환되는 시점에 도달하면 경고를 주어 쉬도록 한다. 개발의 다음 단계는 좀 더 개별적이며, 휴대할 수 있는 기기를 만드는 것으로, 이미 아이폰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 중 이라고 한다.

2011. 03. 11 | 통권 254호쪾9

ASTI_해외동향정보 기술동향

원문: http://www.theengineer.co.uk/

출처: http://mirian.kisti.re.kr

암 종양은 주변의 정상 조직과 색이나 밀도 면에서 확연히 다르지만 주변에 퍼져있어 건강한 세포 속에 숨어 있는 암세포들을 발견하기 어렵다.

때문에 의사들은 대개 종양 주변 2~3㎝를 더 제거한다. 그럼에도 수술 후 검사를 통해 추가로제거된 조직의 절단면에서 암세포가 발견되면 2차 수술이 불가피하다. 유방암 환자의 경우 약 20%가 이 때문에 재수술을 받고 있다.

GE는 자신들이 개발한 형광 이미징 기술이 이의 해결법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구체적으로 의사들은 수술 전 GE의 시스템을 활용, 환자의 정맥에 형광 염료 용액을 주입한다. 그러면 이 용액이 종양 주변의 암세포를 찾아 흡착된다. 이후 환부에 적외선을 비추면 암세포가 형광색으로 빛을 발해 암세포를 더 세밀하고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현재 GE 생체의학연구소 캐슬린 보브 박사팀이 이 시스템을 이용한 쥐 실험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환자들이 추가수술의 위험부담을 크게 덜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

형광염료 주입 및 염료의 암세포 흡착

?

적외선을 비춰 종양 주변의 빛나는 암세포 포착

?

암 세포 완벽히 제거 원문: http://www.popsci.com

근육피로 감지센서로 운동선수의 부상 방지

형광 영상 기술을 활용한 암세포 제거

254호최종 2011.3.8 1:59 PM 페이지5 G4-1G(Mac 2) 2540-PDF 2438DPI 175LPI T

(10)

ASTI_해외동향정보 기술동향

미국 예일 대학의 연구진이 빛을 내보내는 레이저가 아니라 레이저 빛을 흡수하는‘안티-레이저’를 개발 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광자를 사용하는 광학 컴퓨터나 신개념 영상의학 장비 등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의 연구 결과는 2월 18일자 사이언스 저널에 발표되었다. 연구진은 최근 실제로 안티-레이저 기능을 하는 결맞음 완전 흡수체(coherent perfect absorber, CPA)를 제작하였다.

이 장치는 레이저 생성하는 대신에 입사하는 레이저 빔을 흡수하고 그것을 열이나 전기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특정한주파수를 가진 두 개의 레이저 빔을“손실 매체”역할을 하는 실리콘 웨이퍼의 양쪽에 각각 비추었다. 이 웨이퍼는 빛을 정렬시켜 완전히 포획하고, 빛이 전후로 무한 진동을 거듭하게 해 열로 변환되도록 한다. 실험적 한계

때문에 연구진은 레이저 빛의 99.4%만 흡수할 수 있었다. 이론적으로 CPA는 입사되는 빛의 99.999%를 흡수할 수 있다고 한다. 그들이 제작한 CPA는 단순히 개념을 증명하는 시제품에 불과하다. 좀 더 정교한 CPA를 제작하면 이론적 한계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진은 CPA가 빛으로 작동하게 될 광학 컴퓨터의 광학 스위치, 검출기 및 다른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다른 응용으로는 방사선 분야 이다. CPA의 원리는 치료 목적으로 인체 조직의 작은 영역에 전자기파를 입사시키는 데도 이용될 수 있을 것 으로 보고 있다. 또한 공동과 손실 매체를 약간 변형 시키면 차세대 CPA는 가시광선의 빛뿐만 아니라 광섬유 통신에 사용되는 특정한 적외선 주파수도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광학컴퓨터, 반도체 분야에 응용가능한 안티-레이저 개발

- 레이저의 입사빔을 거의 완전히 흡수할 수 있는 안티-레이저를 개발

< 안티-레이저에서 입사되는 빛 파장은 궁극적으로 흡수될 때까지 전후로 무한히진동한다>

<안티레이징>

원문: http://www.physorg.com/

출처: http://mirian.kisti.re.kr/

interference Absorbed light wave

Energy out Absorbing

material Resonator

mirror Light in Light in

(11)

미국의 TV시리즈‘육백만불의 사나이’의 로봇 팔은 인공 팔이 아닌 사람 팔처럼 자연스럽게 움직인다. 그러나 현실에서의 로봇 팔은 동작이 제한되며 사용자는 자기 팔이 무엇을 만지고 있는지도 느낄 수 없다. 그러나 신경 주변에 광섬유를 이식하는 새로운 방법은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의수/의족이 뇌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예전에 과학자들이 외과적으로 신경계에 전극을 이식했지만, 이 이식은 몇 달 이내에 이식 거부 반응을 일으키고 신체 조직에 상처를 주었다. 그 후 2005년에 뉴런에 적외선을 비추어 자극함으로써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미 국방성 고등연구계획국은 남 메소디스트 대학의 공학자들이 주도 하는 프로젝트에 미화 4백만 달러(약 48억원)를 지원하기로 하였는데, 이 프로젝트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신경과 인공 팔다리를 연결하는 것 이다.

이 프로젝트팀은 유연한 유리 또는 고분자 광섬유가 단단한 전극보다는 더욱 인체 친화적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게다가 광섬유는 여러 신호를 동시에 전달하는데, 이는 전기를 통해서 전달하는 것보다 10배나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더 많은 정보를 더 빨리 전송하면 인공 수족이 보다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프로젝트팀은 쥐의 뒷다리를 자극하기 위하여 광섬유 이식 실험을 할 예정이다. 만약 이것이 성공한다면 로봇 팔은 육백만불의 사나이의 팔처럼 우아하게 움직일 수 있을 것이라고 크리스텐슨 박사는 말한다.

2011. 03. 11 | 통권 254호쪾11

ASTI_해외동향정보 기술동향

<인공신경>

<인공 신경이 이식된 인공팔 예상도>

감각 신경

의수가 공과 접촉하면 팔에 있는 광섬유가 자극을 받아서 모스 부호와 같은 패턴으로 적외선을 방사한다. 이 광학적 메시지는 감각 신경을 유사한 패턴으로 자극하여 두뇌로 하여금 의수가 동그란 물체를 접촉하였음을 인식하도록 한다.

운동 신경

공을 잡는 것을 생각하면 뇌로에서 운동 신경으로 전기적 신호를 방출 한다. 이 신호가 신경에 부착된 광섬유에 도달하면 광섬유 내부의 수천 개의 구(sphere)가 변형된다. 광섬유의 빛의 패턴 변화는 의수로 하여금 공을 잡도록 지시한다.

인공 신경 작동 원리

원문: http://www.popsci.com 출처: http://mirian.kisti.re.kr/

육백만불의 사나이 팔다리가 현실로, 빛이 인간과 기계를 연결

254호최종 2011.3.8 1:59 PM 페이지7 G4-1G(Mac 2) 2540-PDF 2438DPI 175LPI T

(12)

ASTI_해외동향정보 정책동향

원문: http://news.sciencenet.cn/

출처: http://www.now.go.kr

중국과학아카데미, 12차 5개년 계획에 포함된 8대 과학기술전략 분야

중국과학아카데미는‘12차 5개년 계획’기간 동안‘지속 가능한 에너지와 자원, 선진소재와 그린스마트제조, 정보통신네트워크, 생태계 고부가가치농업과 바이오산업, 건강보건, 생태계환경보호와 발전, 우주항공해양능력의 도약, 국가와 공공안전’등 8개 분야에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중국과학아카데미에서 발표한 위의 8개 시스템 구축의 과학기술전략은 다음과 같다.

1. 지속가능 에너지와 자원 시스템

재활용이 가능한 에너지원을 이용한 발전과 선진원자력의 규모화, 석탄의 청정고효율 발전기술 활용, 심층자원탐측설비의 연구개발 및 응용 등 3개의 전략적 과학기술문제

2.선진소재와 그린스마트제조 시스템

고품질 기초원자재 그린설비 및 고성능복합소재연구개발 설비, 자원의 고효율 청정순환이용, 센서 제조기술 등의 분야

3.정보통신네트워크 시스템

‘post IP’네트워크시범, 물류네트워크기술, 저비용고효율의 정보통신기기시스템연구 및 응용 등

4.생태계 고부가가치농업과 바이오산업 시스템

동식물의 품종에 대한 분자설계, 바이오 제조 및 신 생물산업 등 분야의 전략적 과학기술

5. 건강보건 시스템

주요 만성질병의 조기진단과 시스템적 예방, 인지과학 및 정신 건강, 배아세포와 재생의학, 저비용건강의학기술 등 4개의 전략적 과학기술

6. 생태계환경보호와 발전 시스템

중국 석탄에너지의 순환 및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 연구, 역내 환경 시뮬레이션과 유역환경관리시스템연구 및 응용, 전략 생물자원의 보호와 이용 및 생물다양성 등의 분야

7. 우주항공해양능력의 도약 시스템

우주과학, 해양탐사능력 발전, 지구과학시스템과 지구 및 역내환경 관측기술시스템 등

8. 국가와 공공안전 시스템

공간변화감지, 사회계획과 평행관리 등의 전략적 과학문제 해결방안

원문 : http://www.iaea.org 출처 : http://www.now.go.kr

중국, 국가과학기술계획 80%이상이 산학연 결합 구현에 성공

중국 기업의 기술혁신의 주체로서 입지가 더욱 강해졌다. 2009년 국가과학기술지원계획의 95%, 국가과학기술중대전문프로젝트의 50%, 국가하이테크연구발전계획(863계획)의 35%이상이 기업이 주도적으로 나서 일궈낸 성과이며 그 중 80%이상의 프로젝트는 산학연이 결합·협력해 창출해냈다. 국가기술혁신공정 등의 지원 정책에 힘입어 중국기업의 R&D투자는 매년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혁신능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09년 중국 사회 전체의 R&D 지출금액은 5,802억 위안(645조 7,626억 원)이었는데 이중 기업이 출자한 금액은 전체의 70% 이상을 기록했다. 국가과학 기술진보상을 수상한 프로젝트 중 68%는 기업이 적극 참여하였거나 완성시킨 프로젝트다.

그리고 과학기술부가 국가자본위원회, 전국공업분회 등과 함께 4차례에 걸쳐 550곳의 기업을 혁신형 기업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는 등 혁신형 기업건설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산업

분야에서 특허원이 적극적으로 시장수요를 파악하고 과학기술혁신을 주도하여 산업기술혁신의 선두주자로 성장하였다.

2009년 특허원이 확보한 국가재정 중 과학기술경비로 책정된 금액은 71억 위안(7조 9,023억 원)인데 반해, 특허원이 시장에서 벌어들인 과학기술성 수입은 233억 위안(25조 9,329억 원)에 달한다.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이 능동적으로 경제사회발전을 지원하고 기업과 R&D에 협력하고 있다. 산업기술혁신연맹의 구축도 큰 효과를 거두어 자동차의 경량화, 컴퓨터수치제어기기의 정밀화, 반도체발전 등 56개의 연맹이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산업기술 혁신연맹은 전략적 신흥산업과 여러 중점진흥산업에서 1100여 곳의 핵심기업과 주요대학 및 과학연구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연맹에 가입된 기업이 2009년 영업이익을 7조 위안(7,791조 원) 이상 기록 하기도 하였다.

(13)

2011. 03. 11 | 통권 254호쪾13

ASTI_해외동향정보 정책동향

미국, 2011년 국가 나노테크놀로지 전략 계획

미국 연방정부 프로그램인‘국가 나노기술 계획(NNI,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은 나노 과학 및 기술 R&D를 조정·지원하고 정부 부처 간 의사소통 및 협력 활동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이다.

NNI에서 세운 2011년 목표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계적 수준의 나노기술 R&D 프로그램 촉진

상업적이며 공공이익적인 상품에 신기술 전달 강화

나노기술의 진보를 위한 교육 자원, 숙련된 인력지원 등을 위한 인프라스트럭처 개발과 유지

나노기술의 책임감 있는 개발을 지원

단일 연구원, 다수 연구원 및 다학문적 연구팀, 집중 연구 센터 등 대상에게 국내외 프로그램의 형태로 R&D를 지속적으로 지원한다.

셋 이상의 NNI 회원국에 의해 각각 지원되는 광범위한 학문간 나노기술 계획을 최소 다섯 개 개발한다.

학계, 산업계 및 다른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루어진 나노과학·기술연구를 발굴하고 지원한다.

혁신을 위한 성과지표의 개발 노력과 함께 주요 국가의 연구결과와 연관된 미국의 나노기술 R&D 프로그램의 수행을 평가하는 양적 기준을 개발한다.

향후 5년 동안 나노 제조 기술 연구에 대한 NNI의 투자를 두 배로 늘림으로써 상업화 촉진에 필수적이며 실행 가능한 나노 제조 기술 방법을 개발한다.

나노기술 기반의 상업화와 공공 및 민간 파트너십 관련 지원을 확대한다.

나노과학기술연구결과의 상업적 상품이전 가속화를 위한 국가 공동 연구 시설, 협력 연구 센터, 지역 계획을 설립 하고 유지한다.

연방 정부는 중소기업을 포함한 나노기술 기반의 기업체 들이 정부의 R&D 재정과 규제 환경을 이해하도록 지원 한다.

지속가능한 상업화 및 기술 이전과 나노기술 기반 상품·공정에 관련된 국가 간 교류에 국제적 참여를 증가시킨다.

숙련된 나노기술 인력의 교육, 훈련 및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 개발, 지원 및 유지한다.

산업계, 학계, 비영리 기관, 주 및 연방 기관들이 사용하는 위한 물리적 R&D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한다.

제품의 수명 주기에 나노물질의 안전 평가를 결합해 책임감 있는 개발과 나노기술의 지속가능성을 촉진한다.

인류의 보건과 지구의 환경을 보호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나노기술 개발사례를 발굴·지원한다.

원문 : http://nano.gov/

출처 : http://now.go.kr/

목표 1

목표 2

목표 3

목표 4

254호최종 2011.3.8 1:59 PM 페이지9 G4-1G(Mac 2) 2540-PDF 2438DPI 175LPI T

(14)

14쪾Techno-Leaders’Digest

ASTI_해외동향정보 정책동향

우리는 시험을 단지 그 사람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생각해왔다.

하지만 그 상식을 바꾸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시험은 학습을 도우며 수많은 다른 학습방법들보다 학습 습득력을 증진 시킨다고 한다. 1월21일 자 Science 저널의 Express 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에게 한 문단을 읽게 한 후 무엇을 읽었는지에 대해 연상하며 종이에 적게 하는(retrieval practice) 간단한 시험을 치렀을 때 다른 방법으로 공부한 학생들보다 읽은 문단에 대해 일주일 후에 50%정도 더 많은 정보를 기억하고 있었다고 한다. 무엇을 배웠는지 물어보는 것은 좀 더 쉽게 지식을 상기하고 재구성하게 하여 이해를 돕는 것으로 예상된다.

공부 잘하는 방법 : 시험을 봐라

0.8

A

0.7 0.6 0.5 0.4 0.3

연상기법 상기시험 단답형 시험 정답율

열거형문장

0.5

C

0.4 0.3 0.2 0.1 0.0

연상기법 상기시험 개념 맵 시험 정답율

0.8

B

0.7 0.6 0.5 정답율

0.5

D

0.4 0.3 0.2 정답율

[ ]

연속형문장

[ ]

<연상기법(concept mapping)보다 상기시험(retrieval practice)공부법이 학습효과가 높다>

T i p

원문 : http://www.nytimes.com/

출처 : http://mirian.kisti.re.kr/

IAEA의 2012-2017 중기 전략은 최근의 기술 경향과 새로 나타난 니즈,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 등에 관한 고찰을 토대로 프로그램들 간의 우선과제를 파악하여 이 기간 동안 IAEA의 활동 로드맵을 제시하여 준다.

중기 전략은 다음 6대 전략적 목표를 중심으로 조율 및 상호 강화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1. 원자력 발전의 접근성 강화 2. 원자력 S&T와 응용의 진흥 강화 3. 핵 안전성과 안보 강화

4. 효과적인 기술 협력 제공

5. IAEA의 안전장치 및 검증 활동의 효율 강화 6.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경영과 전략적인 계획 제공

IAEA는 인류와 사회 경제적 발달의 기본적 니즈를 해결하는 데 있어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원자력 기술/응용의 장점을 강화하는 역할과 회원국의 역량 구축을 촉진하는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즉, IAEA는 회원국들의 핵 과학 경쟁력의 구축을 지원하고, 실제 응용에 필요한 고등/원자력/방사능 기술을 육성하는 일을 비롯해 원자, 분자 및 핵에 관하여 객관적이고 확실한 정보를 제공하며,

원자력 과학 시설의 건설과 활용에 관하여 조언할 계획이다.

또 IAEA는 기술의 발전에 관한 정보를 확산시키고 시너지 효과 촉진을 위해 필수적인 포럼도 계속 개최할 계획이다. 또한 고유의 부가 가치를 갖는 제품과 기술에 대한 접근성도 보장할 계획이다.

IAEA는 회원국들 간에 쌍방 혹은 지역적인 협력을 장려하여, 다양한 니즈를 효과적이고 시의 적절하게 충족시킬 계획이다.

TC(Technical Cooperation, 기술 협력)프로그램은 미국과 다자 기구, 지역 개발 기구, 그 밖의 유관한 정부 간 그리고 비 정부 기관과의 협력을 발전시켜 상보성을 보장한다.

또 IAEA는 기술협력기금(Technical Cooperation Fund)에 충분하고 예측 가능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예산외 기여금을 동원해 회원국들이 쏟아내는 니즈와 요구에 부응할 계획이다.

TC프로그램을 강화하기 위한 우선과제는 회원국에 제도와 인적 자원을 개발하고 이해당사자들이 원자력 기술을 안전하게 응용해 개발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이다. 또 국가와 지역의 개발 전략에서 원자력 기술과 응용이 지닌 장점, 회원국의 개발 프로그램에서 원자력 응용의 지속 가능성, 다른 지역 기관 /세계 개발 기관들과 형성한 효과적이고 관련성 있는 협력 관계, IAEA의 정규/TC프로그램과의 부합성, TC프로그램의 산출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 등을 중심으로 성과를 평가할 계획이다.

IAEA(국제원자력기구), 2012~2017년 중기 전략

원문: http://www.iaea.org 출처: http://www.now.go.kr 254호최종 2011.3.8 1:59 PM 페이지10 G4-1G(Mac 2) 2540-PDF 2438DPI 175LPI T

(15)

“2009년까지 내리 8년 동안 사세가 기울었습니다. 1967년에 창립한 이래 오로지 사출성형기 하나만을 만들어 온 전문기업이 었지만, 10여 년 전부터 시작된 중국산 사출기의 저가공세에는 배겨낼 수가 없더군요. 하지만 강력한 기술혁신으로 오랜 슬럼프를 툭툭 털고 일어섰습니다. 이제는 타제품(국산) 보다 10%~15%

이상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저희 제품을 사려면 4~5달 씩 기다려야 할정도로우수성이많이알려졌어요.”

얼마 전 새로 부임한 김병구 대표이사는 (주)동신유압이 매우

‘저력’있는 기업이라는 말로 인터뷰를 시작했다. (주)동신유압은 대형 사출성형기를 비롯해 전동식·초미세 발포성형의 MuCell 전용·전력을 40% 이상 절약할 수 있는 초절전형·국내 최초 타이바 분리 록 방식의 PRO-DIMAⅡ 3000t급 사출기 등을 개발·양산해 온 사출성형기 전문기업이다. 최근에는 환경 분야 및 자동차, 항공, 우주 등 최첨단 전자분야로도 사업 영역을 넓혀 가고있다.

“저희 기업 사출기의 강점은 무엇보다 매우 뛰어난 정밀도 입니다. 20미터 가까운 초대형 사출성형기도 ±0.1mm 이상 오차가 생기지 않습니다. 이런 정밀도 덕분에 지난해부터 까다롭기로 유명한 국내 최대기업인 S사에 직접 납품을 하고 있어요. 심지어는 저희 제품 때문에 S사의 제품기준까지 바뀌었습니다. 기존에는 오차범위 ±0.5mm 이내면 A급 제품으로 인정해줬는데, 이제 ±0.1mm 이내에 들어야 인정해준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현재 국내에서 그만한 정밀도를 맞출 수 있는 기업은저희밖에없습니다.”

김 대표이사는 기술혁신에 이어 경영혁신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것이 국가기관 활용이다.

기존에는 국책과제 수주 얘기를 들으면 그저 남의 일이라고만 여겼고, KISTI 같은 국가기관이 과학기술·산업 정보를 제공해 준다고 해도 이를 지원받을 여력조차 없었다. 그러나 이제 어떤 중소기업보다 국가기관을 잘 활용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는것이다.

“정부가 중소기업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 의외로 상당히 많더군요. 이것들만 잘 활용하면 기업이 다음 단계로 점프업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KISTI가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사업계획서 쓰는 것이 정말 곤욕이었는데, 이제 KISTI가 제공해 주는 전 세계 기술정보, 동향 정보 덕분에 더 이상 사업계획서가 겁나지 않습니다. 앞으로 우리가 어떤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해야할지 가이드라인을 잡는 데도 큰 도움이 되고요. 특히 부산지역 중소기업을 담당하고 계신 부울경지원서성호팀장님의경우, 어떤정보가필요하다고 말씀만 드리면 바로 바로 정확히 저희가 원하는 정보를 주셔서 정말큰도움이되고있습니다.”

김 대표이사는 2011년 신년화두로 청와대가 선정했던‘일기 가성(一氣呵成, 일을 단숨에 매끄럽게 해낸다는 뜻)’처럼 재도약의 에너지가 모아졌을 때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사세를 탄탄하게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신항 웅동배후 단지 지역에 새롭게 2만평에 달하는 넓은 회사부지를 확보하고, 2013년입주를목표로사옥이전도추진하고있다.

“지금의 성장세를 계속 이어가 내실 있는 기업을 만들고 싶습니다. 같은노력으로보다많은부가가치를생산하는효율적인 기업으로 만들어서 직원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KISTI 그리고 ASTI의 도움이 무엇 보다중요합니다.”

지금처럼 특정 정보가 필요할 때 신속하게 맞춤형 정보제공을 받는 것은 물론이고 (주)동신유압이 보유한 기술이 과연 어느 정도 사업성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중소기업 R&D기획지원 사업’참여, 그리고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도 꼭 활용해보고 싶다고 김병구 대표이사는 말했다. 더불어“(주)동신유압의 일기가성이 곧 KISTI와 ASTI의 일기가성이 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는 말도덧붙였다.

HOT BOX HOT BOX

(주)동신유압(http://www.dongshin.net) ㅣ 주소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749-2 Tel. 051-320-8700 / Fax. 051-324-2405 ㅣ 사업분야 : 사출성형기 개발·제조

KISTI와 함께 더욱 저력 있는 기업으로!

(주)동신유압

2011. 03. 11 | 통권 254호쪾15 취재 및 정리 : 김희정/홍보협력팀 254호최종 2011.3.8 1:59 PM 페이지11 G4-1G(Mac 2) 2540-PDF 2438DPI 175LPI T

(16)

KISTI

KISTI 소식

(주)크레진, 전도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컴파운드 개발 및 공급 돌입

경북 과정협 소속 크레진(대표 김경웅)은 차세대 소재분야 전문기업으로 다중벽탄소나노튜브 (MWCNT)를 이용한 전도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컴파운드를 개발해 본격적인 공급에 들어갔다.

이번에 개발한 CNT 플라스틱 컴파운드는 주로 반도체 페이퍼 트레이나 전자파 차폐 및 정전기 방지플라스틱소재등으로활용될수있다. 또한섬유분야에적용하면전자파를차폐하고정전기를 방지하는 기능성 의류로도 활용이 가능하다(문의처:김창규/대구경북지원).

전진바이오팜(주), 일본 최대 방제회사(SEMCO)와 독점계약 체결

대구 과정협 소속 전진바이오팜은 페퍼민트와 레몬 등 식물 추출물질을 원료로 하는 친환경 조류기피제(제품명 닥터 배트) 생산 기업으로, 2009년에 NEP(신기술우수제품)인증, 2010년말 독일, 영국, 일본, 싱가포르 통관 기준 획득하여, 금년 초부터 해외 현지 법인을 통해 14개국에 대한 조류기피제 수출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3월 8일 일본 최대 방제 회사(SEMCO)와 독점계약을 체결해 셈코의 현지 4천개 지점에 대한 조류기피제 론칭행사를 가질 예정이다(문의처: 우종태/대구경북지원).

(주)에스엠에스, 대구경북지방 중소기업청 모범중소기업 선정

대구 과정협 회원사인 (주)에스엠에스(대표 서미숙)는 저장장치 데이터 영구삭제, 개인정보보호 등 정보보안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지난 2월15일 대구경북지방중소기업청의 모범중소기업으로 선정 되었다(문의처: 이동원/대구경북지원).

제주지역협의회 김광명 수석부회장, (사)제주바이오기업협회 회장 취임

이번에 선출된 김광명 신임회장(59)은“제주 바이오 산업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여, 장기적으로 제주 바이오산업 분야 수출 1조원 시대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를 위해“그동안 구축된 인적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수출진흥본부·수출기업협의회 등 관련 기관이나 단체의 협조를 통해 바이오산업 분야 수출 2000억원 달성에 최선의 노력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청정 제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디자인 경쟁력과 이에 걸맞는 품질경쟁력을 확보하겠다며 회원사의 적극적인 협조와 도민들의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ASTI 제주지역 협의회 수석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회장은“ASTI 협의회 위원들의 협조가 더욱 필요한 시기임을 강조하고 제주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해 전국 ASTI 협의회 위원님들의 관심·지원·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KISTI 이종숙 책임연구원, 대전시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선정

대전시는‘이달의 과학기술인상’수상자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이종숙(44) 책임연구원을 선정했다. 수상자로 선정된 이 연구원은 국제표준 기반의 국내 슈퍼컴퓨터·클러스터 공동활용 도구인 그리드 서비스 패키지 개발과 산업체 기술이전 등 국내 정보통신 분야 선진화에 크게 기여했다. 또 세계최초로 장애가 발생하여도 슈퍼컴퓨터, 고성능 컴퓨터를 통합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국내 과학기술을 한 단계 발전 시키고 그 우수성을 널리 알린 점 등이 높이 평가됐다.

KISTI 홍보관 재탄생

KISTI가 2012년 개원 50주년을 맞아 새로운 개념의 홍보관을 구축했다. 그동안 정체성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공간 이미지의 일관성이 부재 했던 기존 홍보전시 방식에서 탈피해 KISTI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 성과, 역사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중심의 전시 공간 으로재탄생시켰다. KISTI는개별적으로운영되던홍보관체제를정비하고통일성과체계를갖춘홍보관을구상, 작년4월기획을시작해3개월간의 공사를 마치고 최근 일반에 공개했다. 홍보관은 크게 3개 코너로 나눠져 있으며 ▲KISTI의 어제와 오늘을 보여주는‘역사 코너’▲‘KISTI가 꿈꾸는 내일’▲KISTI의 주요 역할과 성과를 소개하는‘KISTI가 만드는 오늘’코너이다.

KISTI, 중소기업청과 첨단설계 및 디자인으로 중소기업 돕는다.

KISTI가 지난달 24일 중소기업청이 발표한‘디지털 설계혁신 센터(DDIC)’구축사업에 한축을 담당한다. 중소기업을 위한 첨단 설계지원을 원활히 수행하기위해현재경기·경남청등두개의지방중기청에설치된디지털설계혁신센터를대구·경북지방청등5곳에추가로설치·운영할계획이다.

특히 부산·울산지방청과 인천지방청에 설치예정인 디지털 설계혁신센터는 KISTI의 초고성능 슈퍼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연결돼, 지방에서도 중소 기업 M&S 사업 참여과제 등 대용량의 설계분석 작업을 빠른 시간 안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각 센터는 KSITI의 전문연구원과 중소 기업청이 보유한 연구인력 및 지역의 교수, 전문가를 유기적으로 연결해 중소기업 지원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ASTI

ASTI 동정 WHAT’S NEW

기사와관련해서궁금한점이있으신분은연락바랍니다. 발행일 2011년3월11일(통권254호)

| 등록번호 대전광역시다01252 |

발행인 박영서

|

편집인 박찬진 발행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 주 소 305-806 대전광역시유성구과학로335

크레진 김경웅 대표

조류기피제“닥터배트”

크레진이 개발한 전도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컴파운드

에스엠에스의‘i-safer’솔루션 실행화면

과학기술정보협의회홈페이지(http://asti.kisti.re.kr)를많이이용해주시기바랍니다.

Referen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