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3050, 자연과 함께! 미래와 함께!”
UNGC 10대 원칙
이행보고서
UN Global Compact Communication on Engagement
2017. 11.
목 차
Ⅰ. UNGC 지지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국립공원관리공단 소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Ⅲ. UNGC 10대 원칙 이행활동 및 성과 · · · · · · · · · · · · · · · · · 4
1. 인권(Human Right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 노동(Labou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3. 환경(Environme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4. 반부패(Anti-Corrupti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Ⅰ UNGC 지 지 문 UNGC 지 지 문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와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하는 지역으로 우리나라 전체 생물종의 45%, 멸종위기종의 65%가 서식하고 있는 자연생태계의 보고이며, 각종 문화재가 소재한 역사․문화공간이자 국민 누구나 즐겨 찾는 최고의 관광․휴양공간으로서 후대에 길이 계승되어야 할 소중한 유산입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1987년 설립된 이후 국립공원 자연생태계, 자연·문화경관 및 지형·지질자원을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고 국민이 쾌적한 자연환경에서 건강하고 여유있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 왔으며, 2017년
‘국립공원 지정 50주년, 공단 창립 30주년’
및 신청사 개청을 맞아 새로운 도약의 첫 걸음을 내딛었습니다.우리 공단은 글로벌 수준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다하기 위해 UN Global Compact(UNGC) 10대 원칙을 적극 지지하고 인권․노동․환경․반부패에 관한 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금번 이행보고서(Communication on Engagement)는 201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활동내용을 담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이행보고서 발간을 통해 이행 성과를 투명하게 알리고 이해관계자 여러분의 소중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우리 공단은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UNGC 10대 원칙을 적극 지지하고 실천함 으로써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를 열어가는 데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의 변함없는 성원과 지속적인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7. 11. 20.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
Ⅱ 국 립 공 원 관 리 공 단 소 개 국 립 공 원 관 리 공 단 소 개
1 설립목적
❍ 국립공원관리공단법 제1조에 의거, 국립공원 등의 자연생태계, 자연·문화경관 및 지형·지질자원을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고 국민이 쾌적한 자연환경에서 건강하고 여유있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함
2 주요연혁
❍ 1987. 07. 01. 국립공원관리공단 설립 (건설부 산하)
❍ 1988. 06. 11. 변산반도, 월출산국립공원 지정
❍ 1991. 04. 23. 건설부 산하에서 내무부 산하로 이관
❍ 1998. 02. 28. 내무부 산하에서 환경부 산하로 이관
❍ 2008. 01. 16. 경주국립공원 관리권 인수
❍ 2013. 03. 04. 무등산국립공원 지정
❍ 2016. 08. 22. 태백산국립공원 지정
3 주요업무
❍ 국립공원 등의 보호 및 보전
❍ 국립공원의 야생동식물 보호 및 멸종위기종의 복원
❍ 국립공원 시설의 설치 유지 관리 및 운영
❍ 국립공원 이용에 관한 계도, 생태체험사업
❍ 재난관리, 시설사용료징수, 청소, 지질공원 관리 운영
❍ 정부·지자체 사업의 위탁 수행 등
※ 22개 국립공원 중 한라산을 제외한 21개 국립공원 관리
4 조직 인력 (2017. 6. 30. 기준)
❍ 조직 (본부 7처 6실, 29사무소, 1연구원, 4연수원, 1기술원, 1사무국, 1항공대)
❍ 인력 - 정규직
(단위 : 명)
구 분 합계 임원
일 반 직 특
정 직
운 영 직
별도
1급 2급 3급 4급 5급 6~8
정원급
정 원 1,255 5 22 41 109 172 278 373 117 138 - 현 원 1,250 5 25 43 109 171 277 361 115 120 24 과부족 △5 - 3 2 - △1 △1 △12 △2 △18 24
- 계약직
(단위 : 명)
합 계
계약직 정부일자리 창출 사업
소 계 무기계약
기간제 소 계 자연환경 해 설 사
국립공원 지 킴 이
정원 현원
1,142 260 260 196 64 882 361 521
Ⅲ UNGC 10대 원 칙 이 행 활 동 및 성 과 UNGC 10대 원 칙 이 행 활 동 및 성 과
1 인권(Human Rights)
❚원칙 1: 국제적으로 선언된 인권 보호를 지지하고 존중해야 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인권존중 실현을 위해 헌법 제10조 및 세계인권 선언 등 다양한 인권관련 선언과 정책을 지지합니다.
인권보호 관련 공단규범
윤리헌장 우리는 임직원 개개인의 인격을 존중하고, 공평한 기회 부여를 통해 갈등과 격차를 해소하여 사회통합을 선도한다.
윤리강령
국제연합(UN) 글로벌콤팩트(Global Compact)의 10대 원칙 및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인 ISO26000 지침을 지지하고 준수한다.(제22조)
임직원행동강령
임직원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지연·혈연·학연·종교 등을 이유로 특정인에게 특혜를 주거나 특정인을 차별해서는 아니 된다.(제7조)
인사규정
직원의 형의 선고, 징계처분 또는 이 규정이 정하는 바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그 의사에 반하여 휴직·강임 또는 면직을 당하지 아니한다.(제61조)
단체협약 공단은 공단 내에서 조합원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거나 훼손해서는 아니된다.(제88조)
주요
성과 ▪현재까지 인권에 관련된 민원이 제기된 사례가 없음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열린고용 확대, 소외계층 지원, 사회공헌활동 확대 등 사회적 약자의 인권을 존중하는 사회책임 경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습니다.
열린고용을 통한 사회적 책임 이행
❍ 열린고용 실적
구 분 여성 장애인 청년 고졸 지역인재
채 용 인 원 27명 1명 68명 17명 61명
주 요 사 항 채용인원의 37% 전형단계별 5%
가점부여
전년대비 45%
증가 채용인원의 23% 채용인원의 84%
주요 성과
▪사회형평적 열린고용으로 남-여, 신-구세대, 수도권-지역 등 균형 잡힌
인력체계 확립소외계층을 위한 생태복지 나눔 활성화
구 분 대 상 사 업 내 용
생 태 나 누 리
취 약 아 동
∙
오대산‘자연으로 떠나는 행복여행 ’등 자연학습 및 체험(99회 4,668명)
장 애 인∙
무장애탐방로 등과 연계한 자연 체험기회 제공(86회 4,224명)실 버 세 대
∙ ʻ레인저와 함께하는 북한산둘레길 트레킹 ’등 건강 증진(37회 1,384명)
다문화・한부모가정 ∙
다도해해상 ‘청산에 살어리랏다’등 한국문화 체험(34회 1,666명)
임 산 부
∙ ʻ도봉산자락 따라 떠나는 둘레길 도보여행’등 힐링프로그램(2회 80명)
소 방 관
∙ ʻ월악산 캠핑스쿨 ’등 자연을 통한 정서 순화(2회 84명)
알 콜 중 독 자
∙ ʻ돌피니와 함께 떠나요’등 자연을 통한 심신 정화(2회 81명)
재 가 암 환 자∙ ʻ자연 한 자락, 문화가 있는 경주’자연 속 힐링프로그램(1회 40명)
외 국 인 근 로 자∙ ʻ희망 찾아 떠나는 한려해상국립공원’등 국내 문화 정착 유도(6회 188명)
인터넷중독자 등∙ ʻ지리산 반달가슴곰과 함께 걸어보아요 ’, ʻ덕유산 숲 속 여행 ’등 자연 체험(5회 200명)
건 강나 누 리
아 토 피 등 환 경 성 질 환 자
∙
울산대병원, 지자체 보건소 등 환경부, 지역 의료기관 연계프로그램(88회 3,908명)∙
수원시 환경성질환 아토피센터 등 예방・관리센터 연계 프로그램(21회 664명)
주요 성과
▪
5.42억원의 후원금으로 12,625명에게 생태나누리 서비스 제공- 2009년 서비스 시행이후 후원금 총 40.93억원, 서비스 수혜자 총 126,788명
▪
2.8억원으로 4,572명의 환경성질환자에게 건강나누리 서비스 제공- 2009년 서비스 시행이후 사업비 총 13.3억원, 서비스 수혜자 총 21,730명
사회공헌활동 확대를 통한 취약계층 지원
분야 추진내용
수 혜 자 맞 춤 형
봉 사 활 동
∙
농산물 수확, 모내기, 제초작업 등 농산어촌 일손 돕기 152회∙
주택 보수, 환경 개선, 방역 소독 등 주거・생활환경 개선 활동 123회
∙
자생식물 증식, 학습 지원, 예술 공연 등 직원 재능기부 61회∙
세계환경디자인 박람회 등 지역행사 지원 41회소 외 계 층 지 원
∙
노인, 유아, 장애인 돌보미 서비스 및 외부활동 보조 182회∙
취약계층 생필품, 밑반찬 및 급식 지원 329회∙
사회복지시설 자원봉사 113회 등 자원봉사자 사회공헌프 로 그 램 운 영
∙
소외청소년 캠핑 프로그램천미만미 운동전개
∙
임직원이 매월 급여에서 천원미만 또는 만원미만의 자투리 금액을 자발적으로 기부 - 직원 1,083명이 참여하여 25백만원 모금주요 성과
▪
공헌활동 2,574명 참여(전년 2,054명 대비 25.3%↑)
▪
봉사참여 29,447시간(전년 29,082시간 대비 1.25%↑)▪
국립공원 자원봉사자 참가자 70,213명(전년 57,627명 대비 21.8%↑)▪
국제 구호활동 성금, 다문화가정 지원 등- 2012년 천미만미 시행이후 총 92백만원 모금, 9개 기관・단체 지원
❚원칙 2: 인권 침해에 연루되지 않도록 적극 노력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내 · 외부고객 등 이해관계자들의 인권보호 및 인권침해 예방을 위해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안전한 일터 조성
❍ 산업안전보건 관리강화: 안전관리 외부전문기관 위탁관리 - (사)대한산업안전협회 산업안전관리자 위탁 : 32개 사업장 - 근골격계질환 정밀검진 127명(누계 1,011명)
- 근골격계질환 예방시설 구축 10개소 (누계 25개소)
주요 성과
▪
2016년 근로자(직원, 공원사업 참여자) 산업재해 만인율 감소 - 2015년 4.19 → 2016년 0%소통문화 활성화를 통한 내부직원 고충해결 노력
소통채널명 주요내용
온 라 인
∙
CEO 메신저 상시 운영∙
CEO ‘ʻ공감 KNPS메시지’∙
CEO와 직원간 수시대화 채널∙
CEO ʻ공감KNPS경영활동알리미ʼ 문자(154회)∙
소통마당 게시판∙
인사VOB∙
Hot-line∙
업무시스템내 직원 자유의견 게시 창구(11건)∙
인사(전보 등)관련 개인고충 상담 해결(37건)∙
상시 소통을 위한 직통전화 및 온라인 채널오 프 라 인
∙
CEO 현장간담회∙
CEO-직원 런치타임∙
상임임원 현장방문 소통∙
노조위원장 지회간담회∙
CEO 현장방문 및 직원과의 대화(55회)∙
CEO와 직원간 오찬간담회(69회)∙
상임임원 현장직원 대화(115회)∙
대내외 노동환경 및 주요 노사이슈 공유(14회)∙
고충처리위원회 운영∙
멘토링 제도 운영∙
분기별 찾아가는 개인고충 상담(4회)∙
간부-신규직원 멘토링(73개조) - 고충상담 및 적응지원주요 성과
▪
직원만족도 전년대비 향상 - 2015년 81.2점 ⇒ 2016년 82.2점성희롱 방지조치 및 예방활동
❍ 성희롱 방지조치 및 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예방교육 - 전문강사 초빙 교육 실시 (상·하반기 각 1회)
- 사이버교육 및 시청각 교육 실시 (사이버연수원 강의콘텐츠 제공)
❍ 성희롱 고충상담창구 설치 및 고충상담원 지정·운영
❍ 고충상담원 전문교육 이수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집합교육-14시간)
❍ 성희롱 고충심의위원회 구성
❍ 성희롱 방지조치 및 폭력 예방교육 이행여부 점검
주요
성과
▪
왜곡된 성 인식·문화개선을 통한 인권보호 및 인권침해 예방
사회적 약자대상 탐방서비스 확대
대상 추진내용
아 동
∙
환경성질환 어린이 대상 ‘건강나누리 캠프’ 운영 - 아토피피부염 환아 등 4,572명 혜택교 통 약 자 (노인, 장애인)
∙
휠체어 이용자들을 위한 오감만족 체험 프로그램 운영(6회, 153명) - 무장애 탐방로 내 계곡 접근을 위한 램프 조성(월악산)∙
무장애 탐방로 6.3km(9개소) 확대 조성- 무장애탐방로 등과 연계한 자연 체험기회 제공(86회, 4,224명)
∙
야영장 내 무장애 영지 확대(3개소)- 교통약자의 야영, 휴양의 체류형 여가활동 공간 제공
∙
연수원, 주차장, 화장실 등 BF(Barrier Free) 대외인증시설 확대(1→6개소)∙
탐방약자를 위한 국립공원 VR(가상현실) 서비스 제공(77,079명 이용) 다 문 화외 국 인
∙ ‘청산에 살어리랏다’
등 한국문화 체험(34회 1,666명)∙
다문화 해설사 채용을 통한 외국어 탐방프로그램 서비스 확대주요 성과
▪
소외계층 복지향상에 기여한 공로로 인터넷기자협회 ‘사회공헌상’ 수상▪
무장애탐방로 확대 및 정비로 교통약자 323만명 혜택▪
아시아태평양장애인연합회 ‘특별대상’ 수상2 노동(Labour)
❚원칙 3: 실질적인 결사의 자유 및 단체교섭권을 인정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헌법, 노동관계법, ILO 기본정신에 의거 노동조합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권을 보장하고, 조합원의 경제적 ·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노동조합 현황
❍ 설립일: 1988. 12. 26.
❍ 최초 단체협약 체결: 1989. 4. 3.
❍ 현 집행부 (제13대) 임기: 2015. 2. 1. ~ 2018. 1. 31.
❍ 조합원수: 1,051명 (가입대상 입원 1,118명의 94%)
노사간 신뢰와 협력을 통한 노사관계 구축 및 다각적 실천 노력
구분 주요 추진실적
상생협력 노사문화 정착
∙일 ・학습 병행제 운영(24명)
∙
근로시간면제자 최소인원 운영(4명), 비정규직 무기・정규직 전환(128명)∙
노사관계 평가‘우수’ 수준, 가족친화 및 노사문화 우수기관 인증(’15~’18년)
노사공동 책임경영 강화∙
일가양득 참여기관 인증(6.10.), 노사 사회적책임 실천 협약(11.7.)∙
격오지 등 직원 범죄・안전사고 예방시설 구축(7개 분야) 노사이슈 공감대 형성및 갈등예방
∙
노사 전담 소통채널 ‘사전 실무협의회’ 신규 구성・운영(수시)∙
상향식 현장소통채널 ‘현장노사발전협의회’ 운영(4회, 86건 처리) 노무관리역량 강화∙ ’16년 노무교육 18개 과정, 총 4,842명 이수(’15년 比
4,080명↑) 정부기준 임금협약 체결∙
정부 가이드라인 3% 준수 임금협약 체결(9.22.)주요 성과
▪
직원만족도 개선: 2015년 81.2점 ⇒ 2016년 82.2점▪
노사협력지수 향상: 2015년 88.0점 ⇒ 2016년 88.2점▪
노사문화 우수기관 인증 유지(고용노동부)▪
가족친화 우수기관 인증 유지(여성가족부)❚원칙 4: 모든 형태의 강제노동을 배제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근로기준법, ILO 협약, 취업규칙, 단체협약 등 준수를 통해 강제노동을 금지하고 있으며,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단 강제노동 금지 규정
구분 관련내용
복 무 규 칙
∙
직원의 1주간 근무시간은 점심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으로 하며, 1일 근무시간은 9시부터 18시가지로 한다.(10조)∙
임신중 여자직원에게는 시간외 근무 및 휴일근무를 명할 수 없다.(제12조)단 체 협 약
∙
노동시간은 1일 8시간, 주 5일, 주 40시간을 기준 노동시간으로 한다. (제56조)∙
근로조건은 근로자와 사용자가 동등한 지위에서 자유의사에 따라 결정한다.(제57조)
인 사 규 정
∙
직원이 합당한 사유로 휴직을 원하는 경우에는 임용권자는 휴직을 명할 수 있다. (제64조)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경영 강화
구분 주요내용
유 연 근 무 제
확 대
∙
유연근무제 운영 확대- 시차출퇴근제 운영 확대(2015년 307명
→
2016년 389명, 26.7%↑) - 탄력근무제 유형 추가 도입 : 근무시간 선택(3명)- 스마트 워크 : 전 직원 재택전자결재 계정 보유 → 가정에서 업무처리 가능 연가, 휴가제도 개선
정 시 퇴 근 장 려
∙
연가저축제도, 장기재직휴가제도, 자기개발휴직제도 신설∙
매주 수요일 「가족의 날」 운영 가 족 친 화조 직 문 화 조 성
∙
이전기관 가족친화 프로그램 참여 4회, 14명∙
가족수기 공모전(11.23.), 가족친화경진대회(12.1.), 가족사진 공모전(6.9.)∙
직원휴양소 이용개선・확대 15개소 24실(’15년 13실 대비 11실 ↑
)모 성 보 호 양 성 평 등
∙
36개월 미만 영유아 보육직원 연고지 100% 배치∙
부부직원(35쌍) 동일 생활권 근무 95% 배치∙
육아휴직 49명(여성 46명, 남성 3명), 출산용품 지원 40명∙
여성육아휴직기간 확대(1→
3년), 육아휴직자 대체인력 지원 17명주요 성과
▪
가족친화 우수기관 재인증(여성가족부)▪
일터혁신 ‘우수’ 수준 달성(노사발전재단)❚원칙 5: 아동노동을 효율적으로 철폐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ILO에서 채택한 ‘ 아동노동 착취금지 협정 ’ 을 준수합니다.
아동노동 원천 차단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 신규임용 시 신원조회 등을 통해 아동노동 가능성 원천 차단
- 직원 연령분포
구분 15세
미만 15세~
30세미만 30세~
40세미만 40세~
50세미만 50세~
60세미만 60세
이상 계
인원 0명 350명 604명 628명 566명 300명 2,448명 비율 0.0% 14.3% 24.7% 25.7% 23.1% 12.3% 100.0%
※ 10대 직원의 경우 다음연도 고등학교 졸업예정자임
❚원칙 6: 고용 및 업무에서 차별을 철폐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열린 채용을 통해 성별·학력·연령·출신 등을 이유로 지원자를 차별하지 않으며, 업무에 있어서도 공정한 기회를 부여하고 양성평등 문화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열린고용 등 사회형평적 채용 확대
주요
성과
▪능력중심 열린고용을 통해 사회형평성 강화 및 우수인재 확보
양성평등 문화 구축 노력 강화
❍ 여성채용·승진 목표제 실시
- 정부 양성평등채용 목표(채용인원 30%) 초과 달성 : 27명(37%)
- 여성관리자 승진인사 확대 노력 : 25명(7%)
❍ 대체인력 채용
- 출산 및 육아휴직에 따른 대체인력 지속 채용(17명)
· 경력단절 여성 전일 근무자와 차별적 처우 금지 및 고유직무 부여
❍ 여직원 역량개발 교육 확대
구 분 교 육 과 정
2급 이상
∙
장기 위탁교육 1명(서울대) 3~4급∙
여성중간관리자 리더십교육 14명 5급 이하∙
여성중간관리자 리더십교육 8명∙
셀프리더십 12개 과정(139명)경력단절
∙
여성리더의 일-삶(가정) 균형과 성공전략 교육 6명 전 직급∙
소통교육(스마트한 그녀의 유연한 직장) 192명∙현장직무 극복을 위한 현장교육(안전산행, 응급조치)(26명)
주요 성과
▪
정부의 양성평등 채용 목표 초과 달성(37%)▪
여성관리자 확대 : 2015년 21명 → 2016년 25명(19%↑
)고졸자 학력 차별이 없는 공정한 기회 제공
채 용 승진자격 보 상 육 성
∙
서류원서에 병역필 제외∙
NCS 기반 스펙초월 직무중심 채용∙
규정, 심사승진 자료상 학력 관련 조항 없음∙
채용 후 4년 경과 시 대졸 신입 6급 도달, 급여 동일∙
고졸 맞춤형 프로그램∙
학위취득을 위한 역량 계발비 지원비정규직의 정규직(무기계약직) 전환 및 처우 개선
❍ 비정규직 고용안정
- 무기계약직 전환 128명 및 직접채용 6명
❍ 비정규직 고용안정
- 직무·임금체계·임금수준 개선 * 임금수준 10% 상승
주요 성과
▪비정규직 고용개선(정규직 전환)으로 차별없는 조직 구현
- 실질적 비정규직 고용률 1% 미만(조직 업무추진력 강화)3 환경(Environment)
❚원칙 7: 환경문제에 대한 예방적 접근을 지지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우리나라 대표적 ‘보호지역 ’이자 후손에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유산인 국립공원의 훼손을 예방하고 생태계 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생물자원 보고인 해상·해안국립공원 보전체계 확립
구 분 추진내용
해 양 자 원
정 밀 조 사
∙
해양자원 조사 인프라 구축(390톤급 해양연구선 신규 건조)∙
생태계조사단(자체 조사전문인력)을 활용한 무인도서 정밀조사- 무인도서 22개소 신규생물종 13종(멸종위기종 6, 신종후보 1, 미기록 6) 발굴
∙
조사율 전년대비 43% 향상(318→456개소)
특 별 보 호 구 역 지 정
・
관 리∙
도서・연안을 대상으로 해양 특별보호구역 32개소, 5.2㎢ 신규 지정- 풍란, 장수삿갓조개, 섬개개비 등 멸종위기종 서식지이면서 낚시객 입도 등 교란요인이 상존한 지역을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
・관리
해 상
・
해 안 공 원현 장 관 리
기 반 구 축
∙
환경부 협의, 현장 토론 등 의견조율(7회)을 통한 낚시행위 제한지역 설정 - 정밀 조사결과를 근거로 주요 서식처 및 산란처∙
해상・해안공원 불법행위 특별단속팀 운영 등 현장단속 지원 확대- 해상
・해안공원 특별단속팀 확대 운영(’15년 3회, 36건 단속→’16년 8회, 50건 단속)
- 언론사 동행취재를 통해 불법행위 집중단속 홍보(KBS, MBC 등 106건 언론보도)∙
넓고 취약한 지역을 효과적으로 순찰하기 위해 해상・해안공원 관리장비 과학화
- 무인기(드론) 해양순찰대 운영- 해양 순찰선 2척(다도해 60톤, 변산반도 5톤) 건조 착수
- (호주 벤치마킹)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VMS)을 활용한 해상
・해안공원 관리
주요 성과
▪
국가보호종, 신종・미기록종 13종 및 멸종위기해양생물 4종 서식지 19개소 발견
▪해상 ・
해안공원 현장관리 기반 구축으로 단속 실적 전년대비 46.9% 증가(162→238건)
▪해상・해안공원 안내체계 개선으로 만족도 21.6% 향상(69.4 →
84.4점)특별보호구역 지정 및 국유화 확대를 통한 핵심서식지 보전
추진내용 추진실적
특 별 보 호 구 역 지 정
・
관 리∙
복주머니란, 날개하늘나리 등 멸종위기종 서식지 5개소 확대 지정(300,000㎡) ※특별보호구역 지정 절차핵심종 서식지 기초 조사 (전문가의견 수렴)
토지소유자 및 관할지자체 등 이해관계자 협의
지형도면 작성 및 환경부 검토
지정, 공고 (홈페이지 등)
핵심서식지 보전을
위 한
사 유 지 매 수
∙
자연생태계 보전 및 사유재산권 침해 해소를 위해 사유지 매수 예산 증액 (50→70억원)
∙
사유지 매수 및 관리업무 처리 지침 개정을 통해 감정평가 신뢰도 확보 및 예산낭비 예방∙
민원 등을 통해 파악한 사유지 매도 대상지(58.5㎢
) 중 핵심지역 우선 매수(4.3㎢)인위적 훼손요인 최소화
❍ 출입금지위반행위 중점 관리
- 올바른 산행문화 확산을 위한 착한 산악회 인증제* 확대
* 착한 산악회 인증제: 지자체가 지정한 ‘우수 음식점’이 매출 상승됨을 착안, 공단이 인증한 건전한 산악회의 회원 수 증가 효과를 예상하여 산악회가 착 한 산행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기 위한 제도
- 자율레인저 확대 운영(23개 사무소 총 423명)
- 취약시기 및 장소에 사전예고집중단속제 운영 등 홍보 강화
❍ 서식환경 훼손 최소화를 위한 공원시설 및 불법시설 관리체계 개선 - 유어장 시범사업 추진 : 거제시 도장포
- 탐방로 적정성 평가 : 미래 탐방수요 예측, 탐방로 입지적정성 평가제도 도입 등 관리방안 마련
- 대집행 비용 징수 방안 마련 : 공단 최초 행정대집행 비용 14백만원 징수(불법시설에 대한 자진철거 유도로 고질적 문제 해결)
주요 성과
▪
출입금지위반행위 1,005건 사전 예방(1,011건 신고 접수 및 계도, 6건 단속)▪
주민 및 지자체 개발 압력에 대한 합리적 대응으로 공원자원 훼손 저감▪
불법시설 발생 건수 전년대비 46.2% 감소(26→14건)
생태계 교란 저감 및 예방
❍ 생태계 교란 외래생물 집중 관리
구분 주요내용
육 상 생 태 계
∙
지역주민, 자원봉사자 협조를 통해 생태계교란식물 718,474㎡ 제거∙
생물학적 방제 면적 2배 이상 확대(29,550→68,835㎡
)로 효율적인 방제 시행 - 생물학적 방제지역 효과검증(생태계교란식물 서식면적 58% 제거 효과)∙
지역사회 및 외부 전문 포획단체와 협업을 통해 적극 제거(43회, 566명) - 생태계교란어종퇴치협회, 농어촌공사, 한국구조협회, 지역주민 등 - 포획량 전년대비 9%(1,811마리) 증가(20,087→21,898마리)
∙
생태계를 교란하는 들고양이 등 야생화된 동물 및 꽃사슴 등 방사・방목동물 적극 구제
- 들고양이 278마리, 꽃사슴 등 108마리해 양 생 태 계
∙
도서지역 방목염소(IUCN 100대 악성 외래종) 구제 전년대비 2.8배 증가(60→168마리)
- 백야도, 대덕도 2개 무인도서 방목염소 완전퇴치∙
기수역 생태계교란식물 갯줄풀 조기발견과 지역사회 협업을 통해 완전제거(12,395㎡)∙
유해해양생물 아무르불가사리 등 3,450개체 제거∙
아까시나무 등 해안사구 생태계교란 식물 1,600㎡ 제거❍ 기후변화에 대한 체계적 대응방안 마련
대응기반 마련 (~
’15년)
공원관리 체계 구축 (’16~
’17년)
공원관리 강화
(’18~
’19년)
추진목표∙
기후변화 적응정책 방향 수립 및 신규 업무개발 - 현장중심, 공원업무 연계∙
기후변화 역량 강화 - 상설교육, 전문인력 양성∙
국립공원 기후변화 적응 계획 수립 시행 - 생태・탐방・재난・시설∙
아고산대 침엽수림 모니터링 - 원인분석 및 대체서식지 발굴
∙
기후변화 조사연구 거점인 Super-site 2개소 운영∙
기후변화 적응계획 이행 및 환류∙
기후변화 민감지역 집중관리-고지대
・
도서・
연안・
습지 등∙
기후변화 조사연구 및 정보 공유 강화∙
기후변화 적응강화로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및 생물다양성 증진주요 성과
▪
육상생태계 생물학적 방제 및 지역사회 협력 등을 통하여 확산 예방 및 생태계 건강성 향상▪
도서지역 염소 구제 전년대비 2.8배(60→
168마리) 증가로 인한 도서지역 생태계 건강성 회복 기여▪
국립공원 특성에 맞는 업무 추진체계 및 적응대책 수립으로 체계적 대응기반 마련▪
기후변화 취약지역(아고산 생태계 등) 모니터링 수행 및 기후변화 취약종 유전자원 확보(6종 65,604립)를 통해 기후변화에 의해 훼손된 지역 복원 기반 마련❚원칙 8: 환경적 책임을 증진하는 조치를 수행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핵심생물종 보전, 훼손서식지 복원 및 서식지 관리 역량 강화 등 환경적 책임 증진을 위해 노력함으로써 자연과 사람이 함께 행복한 국립공원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국내 멸종위기종 보전을 위한 체계적인 증식·복원사업 추진
❍ 멸종위기동물 복원 거버넌스 구축
- 관리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반달가슴곰 복원율 전년대비 12%p 증가 - 대국민 곰 충돌 예방 강화, 정기 주민간담회 시행 등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한 지지기반 마련
- 유전적 다양성 증진, 백두대간 중심의 산양 생태축 복원을 통한 산양 복원율 전년대비 6%p 증가
[멸종위기동물 복원 현황]
(2016. 12. 31. 기준)
구 분 사업개시 복원 대상지 방사개체 자연적응 비 고
반달가슴곰 2004년 지리산 38마리 45마리
(야생출산 26)
32마리 야생 출산
(폐사 3, 회수 3)
산 양 2006년 월악산 22마리 66마리
(기존개체 15) 자연증식 27마리 여 우 2012년 소백산 32마리 15마리 자연적응 및 실험방사
❍ 멸종위기식물 자생지 조사 및 증식·복원 강화
- 고유 자생지를 보호하기 위한 미확인 자생지 발굴 확대
· 미조사지역 중심의 집중조사로 14종 35개 신규 자생지 확인
· 분포예측모델링 확대(2→4종)로 자생지 신규 발굴(7개소 1,000개체 이상)
· 국립공원 내 멸종위기식물 외 희귀식물 보전·보호를 위한 현황 조사 - 고유자생지 훼손이 예상되는 지역에 보호시설 설치를 통한 자생지 보호 강화
· 지리산 세뿔투구꽃, 설악산 날개하늘나리, 월출산 끈끈이주걱 자생지 등
- 증식기술 확보 및 자생지 복원을 통한 멸종위기식물 보전
· 자연 인위적 요인에 의한 절멸 대비 증식 복원 유전자원 및 증식기술 확보
* (유전자원 확보) 43종 중 37종(86.0%) 유전자원 확보(GSPC 권고수준 11%p 초과 달성)
* (증식기술 확보) 43종 중 18종(41.8%) 증식기술 확보(GSPC 권고수준 22%p 초과 달성)
· 기후변화, 산사태, 산불 등으로 절멸가능성이 높은 멸종위기식물 자생지 내 복원(4종 2,078개체)
주요 성과
▪
멸종위기동물 원종확보, 자연적응훈련 프로세스 개선 및 지역인식 제고 등을 통해 복원율 9%p 향상(69→78%)
▪
산양 복원사업 확대(공원별→
백두대간 생태축 중심)▪
2016년 공단 인지도 조사결과, 종복원 사업이 주요 정책 지지도 1위 달성▪
공원 내 미확인 자생지 집중조사 및 분포예측모델링 확대 등으로 자생지 신규 발굴 (총 14종 35개소 발굴)▪
고유자생지 훼손 예방을 위해 위험지역 16개소 보호시설 설치(’14년 이후 85개소 설치)▪
멸종위기식물 유전자원 86.0%(37종), 증식기술 41.8%(18종) 확보▪
자체 생존력 향상과 절멸 위험 해소를 위해 풍란 등 4종 2,078개체 자생지 내 복원훼손 서식지 복원 강화
❍ 야생생물 서식지 보호를 위한 훼손지 복원
- 야생생물 서식의 저해요소인 샛길, 폐도, 해안사구, 계곡 내 인공 구조물 등 공원 내 훼손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복원 추진
복원율 독립훼손지 및 샛길 해안사구 계곡 인공구조물 기타(폐도 등) 44.8%
(완료량 / 목표량)
41.2%
(79,121 / 192,000㎡)
40.6%
(14,000 / 34,500
㎡
)65.0%
(13 / 20개소)
36.2%
(11,113 / 30,700㎡)
❍ 로드킬 예방 활동, 발생유형 및 지형 등을 고려한 맞춤형 저감시설 설치·운영
구 분 추진실적
차 량 운전자 인식 개선
∙
로드킬 빈번 발생구간 65개소 내비게이션 안내동물 충돌 예방
∙
차량불빛 반사판 448개소, 야생동물 출현주의 안내판 191개소 설치 야 생동 물
이동 수요 저감
∙
양서류 대체 산란장 조성(6,190㎡), 보호 펜스・울타리 설치(13,921m)
차량 충돌 예방∙
생태통로 12개소, 도로변 탈출 경사로 등 간이통로 52개소 운영2차 피해 예방
∙
양서・파충류 배수로 추락예방 및 탈출시설 93개소 운영 신 규도 입
이동경로상 은신처 제공
∙
야생동물 이동 경로에 차폐물 및 관목류 식재로 야생동물 은신처(비오톱) 제공 (로드킬 62% 감소, 13→
5건)❍ 건강한 물환경 조성을 통한 수생태계 보전
구 분 추진실적
모 니 터 링
∙
주기적인(연 3회 이상) 계곡수(228개소) 모니터링 실시∙
오수처리시설 방류수 모니터링 및 관리(141개소)∙
점오염원 현황 파악(2,590개소) 및 현장 관리 오 염 원관 리
∙
계곡 내 인공보 철거를 통한 수생태계 연결성 강화(총 13개소, ’16년 4개소)∙
노후화된 사찰 오수처리시설 설치 지원(총 113개소, ’16년 4개소)∙
월악산 폐광산 하부 계곡 수질개선을 위해 자체개발한 수질정화시설 7개소 설치・운영주요 성과
▪핵심생태축 중심의 유형별 맞춤형 훼손지 복원사업을 통해 전년대비 12.6%p 향상
(32.2→
44.8%)▪맞춤형 저감시설 설치, 라디오 방송을 통한 운전자 인식개선 등으로 로드킬 발생량
50% 이상을 차지하는 다발공원 내 발생량 13% 감소(102→
89건)▪계곡수 수질 “매우좋음”
100% 달성서식지 관리역량 강화
❍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통한 생물종 보전 강화
- 분야별 상태 및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공원관리 정책 수립 등 과학적 자원관리에 활용
∙
생태계 건강성 평가 : 국립공원 생태계의 보전상태를 1~5등급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만든 평가체계- 평가결과 : 매우건강 = 5등급, 관리시급 = 1등급
- 평가지표 : 종다양도, 멸종위기종, 생태계교란종, 서식지파편화, 수질
❍ 국립공원 생태계조사단 운영을 통한 생태계 건강성 증진
- 분류군별(식물, 포유류 등) 내부 전문가(90명)의 자원조사를 통해 생물다양성 증진
주요 성과
▪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의 공원관리 환류로 ’16년도 좋음(2등급) 달성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실시(’16년도 2등급 달성) 및 시행
❚원칙 9: 환경친화적인 기술의 개발과 확산을 촉진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국립공원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에 적합한 환경친화적 기술의 도입과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불법산행 사전 예방 강화
구분 주요내용
무 인 계 도 시 스 템
∙
(운영확대) 샛길 개소당 위반 밀도가 높은 설악산, 지리산, 오대산 등 13개 공원 49개소 추가 설치∙
(운영개선) 공원 현장관리 맞춤형 장비 도입 - 안정적 전원공급 : 태양광, 풍력 및 배터리 활용 - 오작동 개선 : 레이더복합센서, 자동조명(야간)- 실시간 대응 : 종합관제로 모든 직원 대응과 행위자와 양방향 소통 가능 - 설치 용이 : 이동형 시스템 도입으로 현장여건 변화에 따라 대응 용이 무 인 기
(드론)
∙
(운영확대) 18개 사무소 20대 추가 도입(전 공원)∙
(운영개선) 전담조직(드론순찰대) 편성 및 전문인력 양성주요 성과
▪출입금지위반행위 3,911건 사전 예방(3,952건 계도, 41건 단속)
▪공원관리 과학화로 951명 순찰인력 대체효과(무인계도시스템 246명 + 무인기 705명)
자연친화적 무장애 공원시설 확대 도입
~’13년(도입)
’14~’16년(정착) ’17년~(확대)
∙
국립공원 UD(Universal Design) 가이드라인 마련・적용
∙
탐방로 등급제 도입매우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매우어려 움
∙
무장애탐방로 조성(10개소)∙
무장애탐방로 중장기조성계획(’14년)에 따라 지속 확대 (10
→
30개소)∙
국내 최초! 야영장 내 무장애 영지 도입 및 확대(9개소)∙
BF(Barrier Free) 대외인증시설 확대(6개소)∙
2017-2021 중장기 경영목표 반영 [탐방약자를 배려한 탐방환경 개선]구분
’16년 ’21년
무장애 탐방로 30개소 66개소무장애영지 9개소 47개소 BF대외인증 6개소 32개소
주요 성과
▪
무장애 공원시설 확대 및 다양화로 탐방약자 이용기반 마련(무장애탐방로 323만명 이용) - 제16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 공존상 수상!(주왕산 무장애탐방로)- BF인증 화장실, 제18회 아름다운화장실 동상 수상!(내장산 금선교화장실)
4 반부패(Anti-Corruption)
❚ 원칙 10: 부당취득 및 뇌물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부패에 반대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임직원의 부패행위 예방을 위해 윤리헌장 · 윤리 강령·임직원행동강령 등 윤리규범을 운영하고 있으며, 반부패·청렴 시책 추진을 통해 일체의 부정 · 부패행위 척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윤리경영 실행 체계
윤리규범 및 제도 (Code of Conduct)
(Compliance Check 전담조직 Organization)
공감대 형성 (Consensus by Ethic Education)
∙
윤리헌장, 윤리강령∙
임직원행동강령∙
공익신고처리규칙∙
내부공익신고 운영에 관한 지침 등∙
윤리경영 전담: 성과관리실 - 사회책임위원회∙
반부패・청렴 전담: 감사실 - 반부패추진기획단,반부패
・청렴TF, 청렴옴부즈만
∙
윤리・청렴교육∙
청렴컨설팅∙ 「윤리 KNPS」
실천 프로그램∙
청렴 거버넌스경영진의 윤리경영 실천 리더십
경영진의 의지표명
∙
윤경CEO서약식 참여(’16.3.)- 공단의 윤리경영 실천의지 공표, ‘윤리경영이 경쟁력의 원천이다.’
∙
언론사 인터뷰(’16.5.)-
‘공단의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공정하고 청렴한 조직 경영을 강조’
대·내외 여건을 반영한 부패방지 제도 개선
외부환경 반영 내부의견 반영
∙
임직원행동강령 개정(청탁금지법 반영)∙
인사규정 개정(인사업무 개선) - 금품 등의 수수 금지 명확화- 외부강의 등의 사례금 수수 및 횟수 제한 규정 도입 등
- 인사위원회에 감사 또는 감사실 직원 참여
∙
공익신고처리규칙 개정(공익신고자보호법 반영)∙
감사시행규칙 개정(인사업무 개선) - 신변보호제도 적극 활용 안내 규정 신설- 신고자 구조금 제도 적극 활용 안내 등
- 일상감사 대상 확대(임용, 포상, 징계 등 주요인사)
∙
법인신용카드사용지침 개정(권익위 권고과제 반영)∙
허가및협의업무처리에관한규칙(허가업무 개선) - 법인카드 사용금지‘유흥업종 ’에 대한 명확한 기준제시
-의무 제한업종이 아닌 기타주점에서 음주목적 사용 제한
- 구체적인 행위허가 검토 지침 제시
- 허가 거부 처분에 대한 이의제기 절차 신설
구 분 주요내용 및 실적
제도 정비
∙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금지 서약서 징구(임직원 매년 1회 이상)∙
위반행위 신고를 위한 청탁등록시스템 구축(e-감사, 홈페이지 내)∙
청탁방지담당관 지정・운영(감사실장-행동강령책임관 겸직)∙
청탁등록 대상 업무 및 청탁유형 설정(19개 부서/27개 업무/35개 유형) 교육 및 홍보∙
외부 전문가 강의 및 사이버 의무교육 시행∙
청탁금지법 대응 가이드라인 제작・전파(Q&A, 사례집, 게시판 등) 이행 점검∙
직원 외부강의・회의 등 이행실태 모니터링(상/하반기)∙
명절, 인사철 등 기동감찰반 집중 운영(11회) 등청탁금지법 준수체계 마련으로 반부패·청렴경영 실행력 강화
주요 성과
▪
청탁금지법 위반사항 ZERO▪
외부강의 자진신고 전년대비 28% ↑(242→309건)▪
금품수수 자진신고 전년대비 150% ↑(4→10건)부패 사각지대 해소 및 투명한 업무 정착 노력
분야 개선사항
허 가 업 무
∙
업무처리 기준 명확화: 허가및협의업무처리에관한규칙 개정으로 담당자별 재량권 남용 차단∙
전문정보 및 해석이 필요한 행위허가 건에 대해 업무자문단 구성・운영
∙
민원인 알권리 보장 : 행위허가 전-중-후 알림서비스 제공(298건)인 사 업 무
∙
인사규정, 감사시행규칙 등 개정을 통한 인사 공정성 제고∙
전보인사 기준 사전 공개(관련 조항 단체협약서에 반영)∙
인사개선 아이디어 발굴(전보인사 우선순위 기준점수제 도입으로 청탁방지) 예 산 집 행∙
법인(클린)카드 사용 금지 대상 구체적 제시∙
카드 분할결제 등 비정상적 이용행태 모니터링 강화 업 무 지 시공 정 성
∙
임원 및 간부직원(1, 2급) 대상 청렴행동수칙 제정∙
공정한 직무수행을 해치는 지시의 판단기준 및 해당 유형 명문화∙
신고자 익명성 보장 Help-line(외부위탁 신고 시스템) 운영주요 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