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3> 지자체 단체장 설문지
지자체 인권제도 현황 및 이행과정에 대한 설문 조사
(지자체 단체장)
안녕하십니까?
한국인권재단은 유엔 세계인권선언 50주년 기념사업위원회를 기반으로 1999년 설립된 비 영리 민간재단입니다. 한국인권재단은 인권이 사회 모든 영역에서 중요한 가치가 되는 열 린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기업, 지자체(도시), 개발협력(ODA), 인권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서 인권 연구와 담론의 심화, 인권문화의 확산과, 리더십 양성 등의 활동을 통해 인권 친 화적 가치와 문화를 사회적으로 확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기관은 국가인권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지자체 인권제도 현황과 개선과제연구』 를 수행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인권기본조례가 제정된 지자체(2016년 4월 기준, 광역 16개, 기초 70개, 전체 86개)를 전수 조사하여 인권제도의 현황 및 이행 과정을 분석하고, 지자체의 효과적인 인권증진을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익명으로 처리되는 조사결과는 통계적 목적 이외에 활용되지 않습니다. 개별 지자체에 업 무 성과에 대한 평가와 무관함을 알려드립니다. 귀하의 자료는 보다 안전하고 행복한 인권 친화적 지역 공동체를 만드는데 소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바쁘시더라도 빠짐없이 응답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7월 한국인권재단
◎ 연구책임자 : 이성훈 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 ([email protected])
◎ 문의 사항 : 나혜수 한국인권재단 펠로우 ([email protected], 02-360002) 자료번호 : A1-2016-0015
자 료 명 : 지자체 인권제도 현황 및 이행과정에 대한 설문조사, 2016 : 지자체 단체장
지역 : ________________ 단체장 : _________________
[지자체 인권 제도에 관한 인식]
1. 귀하의 지자체에서 인권기본조례가 언제 제정되었습니까? ________년 _______월
2. 귀 지자체의 인권기본조례는 누구의 발의로 제정되었습니까?
① 지방자치단체장 발의
② 지방의회 의원 발의
③ 주민발의
3. 인권기본조례가 귀하의 재임 중 제정되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4. 귀하의 취임 이전에 인권기본조례가 제정되었다면, 귀하는 인권기본조례의 필요성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하십니까?’
① 매우 동의한다
② 대체로 동의한다
③ 보통이다
④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
⑤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5. 귀하는 인권기본조례 제정의 가장 큰 의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우선순위 2가지를 선택해 주십시오.
1) _____________ 2) ____________
① 지자체 단체장의 인권보장 책무 확인
② 지자체 단체장의 이미지 개선을 위한 선언적•상징적 의미
③ 인권정책 및 사업의 법적 근거 마련
④ 국가인권위원회 표준조례안의 권고 이행
⑥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 공약이행
⑦ 기타 ( )
6. 다음의 지역 구성원들은 지역 인권정책의 중요성을 어느 정도 인식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매우 높다
대체로 높다
보통 이다
약간 낮다
매우 낮다
1) 지방자치단체의 인권담당 공무원 ⑤ ④ ③ ② ①
2) 지방의회 의원 ⑤ ④ ③ ② ①
[정책 및 사업 계획 과정]
7. 귀하는 주로 어떤 방법으로 지역의 인권 현안을 파악하고 계십니까? 우선순위 2가지를 선택해주십시오.
1) _____________ 2) ____________
① 여론조사 실시
② 학계나 연구소의 연구결과
③ 지역 언론의 보도 내용
④ 지자체 홈페이지, 게시판 등을 이용한 여론 수집
⑤ 지역 시민(주민) 및 단체와의 대화
⑥ 위원회의 회의 결과
⑦ 업무 담당 공무원의 보고
⑧ 기타 ( )
8. 귀하가 인권정책의 수립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의견을 청취하는 집단이나 개인은 누구 입니까? 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2가지를 선택해주십시오.
1)______________ 2)___________
① 중앙정부의 방침/지침
② 인권담당부서
③ 지방의회 의원
④ 인권(시민)단체
⑤ 학자
⑥ 지역 언론인
⑦ 지역주민여론
⑧ 타 지방자치단체장
⑨ 기타 ( )
[인권 제도(사업)에 대한 평가 및 효과성 인식에 대한 항목]
9. 귀 지자체의 인권 정책과 사업이 전반적으로 적절하게 시행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아주 적절하게 시행되고 있다
② 적절하게 시행되고 있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미흡하게 시행되고 있다
⑤ 아주 미흡하게 시행되고 있다
10. 귀하의 선거공약으로 제시하신 인권정책ㆍ사업 중 가장 중요한 것 2가지만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공약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공약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0-1. 귀하의 인권 관련 공약은 추진이 잘 되고 있습니까?
① 잘 되고 있다. (사유 : ________________________ )
② 계획 중이다.
③ 잘 안 되고 있다.
10-2. 인권 관련 공약이 추진이 잘 안 된다면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예산부족
② 담당자의 업무 부담
③ 전문가집단 협력 미비
④ 주민 및 단체 협력 부족
⑤ 기타 ( )
11. 최근 3년간 (2013. 5. 1. – 2016. 4. 30) 귀하의 지자체에서 시행한 인권 사업을 모두 체 크해 주십시오.
12. 귀 지자체는 공무원 인권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12-1. 공무원 인권 교육이 어떤 효과가 있다고 평가하십니까? (복수 선택 가능)
① 인권감수성이 향상되었다
② 인권분야의 전문적 지식이 향상되었다
③ 지역인권현안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다
④ 인권행정의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⑤ 인권분야의 전문성이 향상되었다
⑥ 기타 ( )
실시여부 1) 인권기본계획수립을 위한 연구 용역 실시 ① O ② X
2) 인권기본계획 수립 ① O ② X
3) 인권기본계획 시행 및 평가 ① O ② X
4) 인권실태조사 실시 ① O ② X
5) 인권위원회 구성/설립 ① O ② X
6) 인권위원회 운영 ① O ② X
7) 공무원 인권교육 ① O ② X
8) 시민(주민)인권교육 ① O ② X
9) 시민참여사업 (예: 인권지킴이단, 인권논문 공모) ① O ② X
10) 시민단체지원사업 ① O ② X
11) 인권문화증진사업 (예: 인권영화제, 인권탐방) ① O ② X
12) 대외협력사업 ① O ② X
13) 인권침해 상담 및 인권구제 ① O ② X
14) 인권영향평가 ① O ② X
15) 인권기초자료 발간 ① O ② X
16) 인권홍보물 발간 및 배포 ① O ② X
12-2. 인권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2개 복수응답)
① 인권 조례에 의무사항으로 지정한다
② 예산을 충분히 확보한다
③ 인권교육 담당자를 지정한다
④ 인권 전문가 집단과 협력을 강화한다
⑤ 업무연관성에 따른 교육 내용을 다양화한다
⑥ 인권 교육의 참여를 의무화한다
12-3. 귀하는 인권교육을 수강한 적이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개선 및 발전방향]
13. 귀하는 지역의 인권 발전을 위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우 선순위로 2가지를 선택해주십시오.
1) _____________ 2) ____________
① 공무원 및 주민 인권교육 확대
② 지자체에 인권전담부서 설치
③ 지자체 인권위원회의 활성화
④ 인권침해 상담 및 인권 구제 (인권 보호관) 제도 도입
⑤ 인권 정책과 사업의 확대
⑥ 인권 관련 예산 증액
⑦ 지역 언론의 지속적인 관심
⑧ 다른 지자체와의 협력 강화
⑨ 기타 ( )
[일반 사항]
1.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① 남자 ② 여자 ③ 기타
2. 귀하의 연령은 몇 세입니까?
만 ( ) 세
3. 귀 지자체의 지역단위는 무엇입니까?
① 광역자치단체(본청) ② 기초자치단체(시•군•구)
4. 귀하가 지방자치단체장으로서 재직한 총 기간은 어느 정도나 되십니까?
________년 _______월 (연임여부 □ )
* 설문에 끝까지 응답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