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번호 : A1-2016-0078
자 료 명 재난안전산업 현황 및 발전방안에 관한 설문조사: , 2016
재난안전관리를 위한 민간기업 연계 및 산업육성 방안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은 국무조정실 산하 한국행정연구원에서 2016 년도 수행 중인 재난안전관리를 위한 민간 『 기업 연계 및 산업육성 방안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작성된 것입니다. 』
최근 사회적으로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재난안전관리의 효과성을 제고하고자 다양 , 한 측면에서 민간기업의 참여가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재난안전 산업의 발전에 대한 논의가 ,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설문은 재난안전 관련 산업체의 현황 및 산업 환경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 . 여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
본 설문의 문항은 귀하의 사업 추진 과정 상의 현황과 문제점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대한 필요 , 성 및 의견을 묻고자 구성되었습니다 바쁘시더라도 잠시 시간을 내시어 협조해 주시면 대단히 . 감사하겠습니다 본 조사의 결과는 향후 국가정책 수립 시 필요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 귀하의 응답내용은 통계법 제 조 비밀의 보호 에 의해 비밀이 완전히 보장되며 또한 연구 이외의 33 ( ) ,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년 월 한국행정연구원 2016 7
본 조사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다음으로 문의하여 주십시오.
※
조사 주관 한국행정연구원 오윤경 부연구위원
:
조사 담당 포커스컴퍼니 연구본부 김희숙 차장 : ㈜
기관 현황
기관명
1. 2. 기관 설립년도 년
기관 3. 소재지
서울
1) 2) 부산 3) 대구 4) 인천 5) 광주 6) 대전
울산
7) 8) 세종 9) 경기 10) 강원 11) 충북 12)충남
전북
13) 14) 전남 15) 경북 16) 경남 17) 제주
업 종 4.
제조업
1) 2) 건설업 3) 도매 및 소매업 4) 운수업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5) , , 6) 금융 및 보험업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7) , 8)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9) 10) 협회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 기타
11) (__________________________) 경영조직
5. 형태
개인사업체
1) 2) 회사법인 민간기업- 3) 회사법인 공기업- 회사 이외 법인
4) 5) 국가 지방자치단체, 6) 비법인단체 기타
7) (__________________________) 종사자수
6. 1) 1 ~ 4명 2) 5 ~ 9명 3) 10 ~ 19명 명
4) 20 ~ 49 5) 50 ~ 99명 6) 100 ~ 299명 7) 300명 이상 년
7. 2015 총 매출액
십조 일조 천억 백억 십억 일억 천만 백만
단위 원 ( : )
응답자 정보
사업 추진 현황 및 문제점 Part 1.
귀사는 재난안전산업 분야 외 다른 사업 분야를 겸업하고 있습니까
1-1. ?
재난안전산업만 전업으로 하고 있음
① ② 다른 사업분야를 겸업하고 있음
1-1-1. (1-1 ②응답자만) 귀사의 겸업 사업 분야를 모두 체크해 주세요
① 제조업 ② 건설업 ③ 도매 및 소매업
④ 운수업 ⑤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 ⑥ 금융 및 보험업 ⑦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연구개발, ( ) ⑧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⑨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⑩ 협회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 ⑪ 기타(___________)
귀사의 주 수요기관 거래처 는 어디입니까
1-2. ( ) ?
중앙부처
① ② 지자체 ③ 공공기관 ④ 민간 기업
공기업
⑤ ⑥ 개인 ⑦ 기타(___________)
1-2-1. (1-2 , ① ②응답자만) 귀사와 정부 간 협력 형태는 다음 중 어느 유형에 해당합니까? 정부사업 위탁 및 연구용역 수행 민간투자 공동투자 주 소비자 정부에 납품
① ② R&D ③ ( ) ④ ( )
사회공헌활동 기타
⑤ ⑥ (___________)
1-2-2. (1-2 , ① ②응답자만) 귀사의 수입 중 정부와의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입니까? 전체 매출액의
_____________________%
귀사가 취득한 특허보유나 인증 전문기관 지정 등에 관한 사항을 기
1-3. , 재해 주십시오.
해당사항 없음 ( 다음 문항으로 이동)
① →
특허보유나 인증 현황 있음 ( 아래 내용 상세 기재)
② →
구분 2013-2015년
획득건수 총 보유 건수 내용
해당 내용을 상세히 기재해 주세요
( )
특허 관련 보유 현황
①
인증 현황
②
전문기관 지정 현황
③ 기타
④
재난안전산업이란
※ 법제도 및 학문적으로 합의된 정의는 없으나, 2015년 12월 도입된 통계청의 재난 안「 · 전산업 특수분류 에 따라」 , 7대 안전유형과 관련한 산업 영역을 의미합니다
대 안전유형 방재 소방 시설물 및 건설안전 수송안전 산업안전 생활안전 위험물 안전
- (7 ) , , , , , ,
한국표준산업분류에 근거하여 제조업 안전용품 기기 및 장비 운송장비 건설 설계 감리업 도소매업
- , ( , , ), · · , ,
시스템 개발 및 관리업 관리 서비스업으로 구분 ,
다음 재난안전산업 부문의 업종에 해당되는 곳을 모두 선택하고 선택하신 업종의 전체 매출액을 기재해 주시
1-4. ,
기 바랍니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대표업종
가지 (1 )
영위업종 중복 ( )
안전용품 제조업 1.
안전용 섬유제품 의복 및 신발 제조업
11. , 111. 피난용 섬유제품 제조업
안전용 의복 제조업 112.
안전용 신발 제조업 113.
안전용고무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2. ‧ 121. 안전용 고무제품 제조업
안전용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122.
안전용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13.
안전용 유리용품 제조업 131.
안전용 내화요업제품 제조업 132.
안전용 암면 및 유사 제품 제조업 133.
안전용 콘크리트 제품 제조업 134.
안전용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14. 141.안전용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안전용 기기 및 2.
장비 제조업
재난대응용 장비 및 기기 제조업
21. 211. 화재 대응기기 및 안전용 물품 취급장비 제조업
재난대응 로봇 제조업 212.
안전용 통신 영상 기기 및 장비 제조업
22. , 221. 안전용 통신기기 제조업
안전용 영상장비 제조업 222.
안전용 정밀 광학 및 관련 기기 제조업
23. , 231. 안전위험 측정 분석 기기 제조업, 안전위험 제어기기 제조업 232.
안전용 광학 및 신체보호기기 제조업 233.
안전용 전기기기 및 장비 제조업
24. 241. 비상전력 생산용 기기 및 장치 제조업
기타 안전용 전기기기 제조업 242.
안전용 운송장비 3.
제조업 31. 안전용 운송장비 제조업 311. 안전용 자동차 제조업 안전용 선박 건조업 312.
안전시설 건설
4. ,
설계 감리업,
안전 기반시설 및 재해 예방복구 공사업
41. 411. 안전 기반시설 공사업
안전 기반시설 보강공사업 412.
재해 예방 및 복구공사업 413.
안전시설 전문 공사업
42. 421. 소방 안전시설 공사업
전기 안전시설 공사업 422.
통신 안전시설 공사업 423.
안전시설 설계업 43.
안전관련 건축물 설계업 431.
안전관련 토목 시설물 설계업 432.
안전관련 기계설비 설계업 433.
소방시설 설계업 434.
전기시설 설계업 435.
통신시설 설계업 436.
안전시설 감리업
44. 441. 안전관련 건축물 감리업
안전관련 토목 시설물 감리업 442.
안전관련 기계 및 건물설비 감리업 443.
안전 관련 제품 5.
도소매업
안전 관련 제품 도매업 51.
안전용 섬유의복 등 관련 용품 도매업 511. ,
안전 관련 장비 및 기기 도매업 512.
안전 관련 운송 장비 도매업 513.
안전용 건축자재 및 기타 상품 도매업 514.
안전 관련 제품 소매업 52.
안전용 가전제품 소매업 521.
안전용 의복 및 섬유제품 소매업 522.
안전용 건설자재 및 전기용품 소매업 523.
안전용 기타상품 소매업 524.
안전시스템 개발 6.
및 관리업
안전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업
61. 611. 재난안전관리 프로그래밍 서비스업
재난안전관리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업 612.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및 관리업
62. 621. 안전예방 시스템 구축업
안전대응 시스템 구축업 622.
사물인터넷 활용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업 623.
안전 관리 7.
서비스업
안전시설 관리서비스업 71.
사회기반시설 안전관리 서비스업 711.
가스시설 안전관리 서비스업 712.
전기시설 안전관리 서비스업 713.
소방시설 안전관리 서비스업 714.
승강시설 안전관리 서비스업 715.
기타 안전시설 시험검사 서비스업
716. ·
안전예방 및 위험물품 보관 서비스업 72.
경비 및 경호서비스업 721.
보안시스템 서비스업 722.
재해감시시스템 서비스업 723.
위험물품 보관업 724.
안전보험 서비스업
73. 731. 재해보험서비스업
안전 컨설팅 서비스업
74. 741. 재난심리 상담 서비스업
재난관리 컨설팅 서비스업 742.
년 단위 원 2015 ( : )
귀사에서 재난안전사업 추진 과정 중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순서대로 개만 선택해 주세요
1-5. ? 2
순위 순위
1 _______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_______, 산업체의 영세성
① ② 법 제도 미비· ③ 규제의 복잡성 중복 등( ) ④ 아이템 및 기술력 부족 우수한 인력부족
⑤ ⑥ 정보부족 ⑦ 수요 및 시장 부족 ⑧ 기타(___________)
다음 사업단계 중 현재 귀사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단계는 어디입니까
1-6. , ?
시장조사
① ② 제품개발 ③ 서비스 기획 ④ 연구개발
생산
⑤ ⑥ 판매 유통마케팅 , ⑦ 마케팅 ⑧ 서비스 내용 ( : ) 기타
⑨ (___________)
1-6-1. OO 단계에서 느낀 구체적인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국내 재난안전산업 시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1-7. ?
업체 간 과다경쟁
① ② 협소한 시장규모 ③ 국내 대기업의 시장 독점 및 불공정 경쟁
정부지원정책 부족
④ ⑤ 기술력 부족 ⑥ 정보 부족
⑦ 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정부지원 정책에 대한 수요 조사 Part 2.
전반적인 재난안전산업 육성을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분야는 무엇입니까
2-1. ?
정책자금 융자 지원,
① ② 전문인력 지원 ③ 기술 및 연구개발 지원
판로 마케팅 등 사업화 지원,
④ ⑤ 수출 및 해외사업 지원 ⑥ 인증 지원
정보 지원 정책 산업동향 등( , )
⑦ ⑧ 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정부가 재난안전 관련 산업체에 대한 지원 사업을 실시할 경우 다음 중 귀사가 가장 관심이 있거나 지
2-2. ,
원받고자 하는 사업은 무엇입니까?
재정지원
① ② 컨설팅 지원 ③ 네트워크 구축 지원
인력 지원
④ ⑤ 벤처센터 등 공간 지원 ⑥ 민간 투자유치지원
인증 및 우수 재난안전산업체 지정 등 제도 운영
⑦ ⑧ 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
사업 단계 및 단계별 수행내용
< >
시장조사
⇨
/서비스기획제품개발⇨
연구개발 생산/⇨
판매 유통 마케팅(, 국내 해외// )정보 확보 -
자원 확보 -
시장 전망 -
설비투자규모 -
서비스범위 규모
- ·
타당성 분석 -
인력확보 -
기술력 -
자원 확보 -
인력 확보 -
자금 -
홍보 -
시장 확보 -
해외 판로 확보 -
시장조사 제품개발 서비스기획/ / 연구개발 생산/ 판매 유통 마케팅 국내 해외, / ( / ) 응답자만
(1-6 , , ① ② ③ ) (1-6 , ④ ⑤응답자만) (1-6 , ⑥ ⑦응답자만)
① 시장 전망의 어려움
② 정보 확보의 어려움
③ 시장 현황파악의 어려움 시장 진출 타당성 분석의 어려움
④
인력확보 어려움
⑤
기타(___________)
⑥
① 수요 예측의 어려움
② 원자재 등 자원 확보 어려움
③ R&D 및 생산 자금 확보의 어려움 기술력 확보 어려움
④
인력확보의 어려움
⑤
기타(___________)
⑥
① 국내판로 및 유통망 개척의 어려움
② 해외판로 및 유통망 개척의 어려움
③ 해외진출에 있어 언어장벽 및 현지정보 확보의 어려움 경쟁자 대비 가격 경쟁력 확보의 어려움
④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의 어려움
⑤
기타(___________)
⑥
다음은 정부가 일반적으로 산업 육성을 위해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예시입니다 재난안전 관련 기업
2-3. .
에 대해 다음의 프로그램이 만들어진다면 귀사에서 가장 활용하고 싶은 정책을 순위별로 개만 선택해, 3 주세요.
순위 순위 순위
1 _______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_______, 3 _____________________, 중소기업 참여우대
① ② R&D사업 신규진입 지원 ③ 미취업자 교육 연계, 인력채용보조금
④ ⑤ 재직자 교육 ⑥ 기술전문가 파견
인사 직무컨설팅 /
⑦ ⑧ 경영컨설팅 지원 ⑨ 투자연계 지원
해외마케팅 지원
⑩ ⑪ 산학연협력 지원 ⑫ 기술사업화 지원
⑬ 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재난안전 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정책사업을 실시할 경우 다음 중 어떠한 업체에 대해 집중적으로
2-4. ,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년 미만 창업업체 2
① ② 기본성장률이 낮은 영세업체 ③ 매출액 등 성장률이 높은 우량업체
재난안전산업을 전업으로 하는 업체
④ ⑤ 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국내 재난안전산업 시장 실태를 감안할 때 사업 컨텐츠 아이템의 사업화 성공을 위하여 지원해야 하는
2-5. , /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년 년 미만 1 -2
① ② 2 -3년 년 미만 ③ 3 -4년 년 미만 ④ 4 -5년 년 미만 년 이상
5
⑤
다음의 재난안전산업 분야 중 정부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순서대로 개만
2-6. , ? 2
선택해주세요.
산업분류별 지원 필요 분야 순위 순위
2-6-1. : 1 ___________, 2 ___________
안전용품 제조업
① ② 안전용 기기 및 장비 제조업 ③ 안전용 운송장비 제조업
안전시설 건설 설계 감리업, ,
④ ⑤ 안전 관련 제품 도소매업 ⑥ 안전시스템 개발 및 관리업
안전관리 서비스업
⑦
안전유형별 지원 필요 분야
2-6-2. : 1순위 ___________, 2순위 ___________
방재
① ② 소방 ③ 시설물 및 건설안전 ④ 수송 안전
산업 안전
⑤ ⑥ 생활 안전 ⑦ 위험물 안전
국내 재난안전산업 시장 실태를 감안할 때 귀사의 사업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금융지원 정책은
2-7. ,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융자예산 증액
① ② 금리인하 ③ 상환기간 연장 ④ 무담보 신용대출
환경산업 투자펀드 조성
⑤ ⑥ 기타(_______________)
재난안전 분야의 해외진출을 위해 확대되었으면 하는 지원서비스를 순서대로 개만 선택해주세요
2-8. 2 .
순위 순위
1 _______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_______
구분 프로그램 예시
수주지원 사업
① 타당성 조사 국제공동 실증화 사업 등,
마케팅 지원 사업
② 수출기업화 전시회 상담회 등, /
해외진출정보 제공
③ 홈페이지 설명회 각종 가이드북 등, ,
수출지원 컨설팅
④ 수출지원 상담센터 등
현지 애로사항 해소 지원
⑤ 해외 재난안전관련 협력센터 등
외교적 지원
⑥ 각종 재난안전관련 협력 행사 등
기타 ( )
⑦
년 월 개최된 제 회 재난안전산업 박람회의 기여 정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각 분야별
2-9. 2015 11 1 ?
로 기여정도에 따라 점에서 점까지 평가하여 주십시오1 5 .
재난안전산업 전망 및 향후 계획 Part 3.
선진 재난안전사업과 비교할 때 현재 국내 재난안전산업의 경쟁력 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3-1. , ?
국내 경쟁력이 매우 낮다
① ② 국내 경쟁력이 낮은 편이다 ③ 비슷하다 → 문3-2로 국내 경쟁력이 높은 편이다
④ ⑤ 국내 경쟁력이 매우 높다
3-1-1. (3-1 , , ,① ② ④ ⑤ 응답자만)그렇다면 선진국의 재난안전산업 경쟁력을 , 100%라고 가정하였을 때, 현재 국내 재난안전산업의 경쟁력 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우리가 선진국보다 높다면 100% 이상으로 선진국보다 낮다면 , 100% 보다 낮게 응답해 주십시 오. ____________________%▶
향후 국내 재난안전산업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3-2. ?
산업체의 영세성 해소
① ② 우수한 기술인력의 확보 ③ 좁은 시장에 따른 치열한 경쟁 해소 정부의 정책적 지원 확대
④ ⑤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 ⑥ 기타(_______________)
앞으로 재난안전산업 육성 정책은 다음 중 어떠한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3. ?
국내외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강화
① ② 기 개발기술의 사업화
국내 재난안전 수요 창출 노력
③ ④ 재난안전 관련 수출기업 수 확대
공공기관 대기업 등과 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⑤ ⑥ 타 부처 지원사업과 연계를 통한 맞춤형 융복합 지원 서비스
⑦ 기타(_______________)
다음은 재난안전산업의 기반 조성을 위한 정책방안입니다 정부가 각 정책방안을 추진할 필요성에 대해
3-4. .
동의하시는 정도에 따라 점에서 점까지 평가하여 주십시오1 5 .
문 항
전혀 필요하지
않다
필요하지
않다 보통이다 필요하다 매우
필요하다 재난안전산업진흥기금 가칭 의 설치( )
① ① ② ③ ④ ⑤
재난안전산업 지원 전문기관 설치 및 제도 마련
② ① ② ③ ④ ⑤
재난안전산업 전문인력의 양성
③ ① ② ③ ④ ⑤
재난안전산업 법제도 기반 강화
④ ① ② ③ ④ ⑤
재난안전 관련 인증제도 도입
⑤ ① ② ③ ④ ⑤
재난안전기업체 등록제 운영
⑥ ① ② ③ ④ ⑤
재난안전산업 주기적 통계 및 동향 정보 제공
⑦ ① ② ③ ④ ⑤
분 야
전혀 기여하지
않는다
기여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약간
기여한다
매우 기여한다 홍보
① ① ② ③ ④ ⑤
판로개척 국내( )
② ① ② ③ ④ ⑤
판로개척 해외( )
③ ① ② ③ ④ ⑤
네트워크 구축
④ ① ② ③ ④ ⑤
정보 수집
⑤ ① ② ③ ④ ⑤
재난안전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신생기업들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다음의 각 요인들이 신생
3-5. .
기업의 참여를 방해하는데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동의하시는 정도에 따라 점에서 점까지 평1 5 가하여 주십시오.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초기 투자비 과다
① ① ② ③ ④ ⑤
기존 시장의 견고한 관계
② ① ② ③ ④ ⑤
낮은 브랜드 인지도
③ ① ② ③ ④ ⑤
규모의 경제에서 열위
④ ① ② ③ ④ ⑤
제품 서비스 차별화 능력 열위/
⑤ ① ② ③ ④ ⑤
인허가 등 시장진입 규제
⑥ ① ② ③ ④ ⑤
최근 민간에 의해 제공하는 안전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있습니다 예 안전기준에
3-6. . ( :
부합하지 못하는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 안전 감리 인증 등의 부실 시행 등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 , )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재난안전관리는 본질적으로 공공의 영역이므로 최소한의 기능을 민간이 수행하도록 해야 함,
①
재난안전관리에 참여하는 민간업체 선정 기준을 강화하여 선별하고 제한적으로 참여하게 해야 함
②
가능한 많은 재난안전관리 기능을 민간이 수행하도록 하되 정부의 관리감독 기능을 강화해야 함 ,
③
재난안전산업이 아직 초기라 발생한 문제일 뿐 시장이 성숙하면 자연적으로 해결될 것임,
④ 기타
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귀사는 향후 년간 재난안전관련 차기 사업 아이템에 대하여 얼마나 준비하고 계십니까
3-7. 3 ?
준비 완료되었다
① ② 현재 구체적으로 준비 중이다 ③ 아직 구체적이지는 않지만 중비 중이다 필요성은 인지하나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
④ ⑤ 아직 준비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3-7-1. (3-7 , , ① ② ③ 응답자만) 귀사의 재난안전사업 아이템의 원천은 무엇입니까 모두 선택해 주세요? 수요 부처 및 지자체
① ② 수요 기업 및 단체 ③ 공공연구소 ④ 학계 ⑤ (_________) 3-7-2. (3-7 ④ 응답자만) 차기 사업 아이템을 준비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시장의 불확실성
① ② 자금 부족 ③ 전문 인력 부족 ④ 관련 규제 ⑤ (________)
귀사는 향후 년간 인력채용 계획이 있습니까
3-8. 1 ?
채용계획 있음
① ② 현 인력 규모 유지 ③ 감축 계획
3-8-1. (3-8 ① 응답자만) 향후 년간 몇 명의 신규인력을 채용할 예정입니까1 ? 인 미만
5
① ② 5 -9인 인 ③ 10 -14인 인 ④ 14 -19인 인 ⑤ 20인 이상
3-8-2. (3-8 , ② ③ 응답자만) 귀사가 향후 년간 신규채용 계획이 없는 이유는 무엇 때문입니까1 ? 규모 대비 과잉 인력 상태이기 때문
① ② 매출 등 경영실적이 크게 개선되지 않아서
경기가 크게 개선될 것 같지 않아서
③ ④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