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Williams College 교육 집중 탐구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Williams College 교육 집중 탐구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Copied!
17
0
0

Teks penuh

(1)

Williams College 기초교양교육 집중탐구

- 사고교육과 의사소통교육의 경우

임 선 애(대구가톨릭대학교)

1. Williams College 교육의 개요

2014년 미국 최고의 대학1)으로 선정된 윌리엄스 칼리지(이하 윌리엄스로 지칭)2)는 1793년 메사추세츠주 서북부 윌리엄스 타운에 에프라임 윌리엄스 장군이 세운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중의 하나이다. 2,000여 명의 재학생 중 거의 모든 학생들이 기숙사에서 함께 공부하고 생활하는 기숙형 소규모 대학이며, 폭넓은 교양기초교육에 힘을 기울이는 대학이다. 폭넓은 교양기초교육에 중점을 두는 대학인만큼 교육도 단일 직업 교육이 아닌 인생 전반을 준비할 수 있는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윌리엄스의 Devadoss 수학전공 교수팀이 15,600명의 졸업생 을 대상으로 전공과 직업의 상관관계를 조사 연구한 결과 그 지수가 매우 낮다는 결론을 얻은 것으로 보면, 윌리엄스가 추구하는 인생 전반을 준비할 수 있는 폭넓은 대학 교육이 다른 대 학들의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윌리엄스는 4년제 학부교육 중심3) 대학으로 학과는 없고, 인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분야 에 걸친 36개의 전공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대학이다. 각 전공들은 기초교양교과목에서 전공교 과목에 이르기까지 여러 개의 교과목을 개설해서 학생들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학생들의 선택을 존중하는 만큼 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수들의 역량이 강조되고 있는 시스템이기도 하다.

전공 단위의 학사 운영은, 학생들의 지원 여부에 따라 학과의 존폐 문제가 우려되는 학과 단 위의 운영제도를 극복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이 될 수도 있다. 학부의 학년은 봄, 가을 두 개 의 정규 학기와 겨울연구(winter study) 기간으로 구분된다. 학생들은 매 학기에 4과목을 이 수할 수 있고, 1월 동안 수행되는 겨울연구는 정규학기의 평가와는 달리 p/f로 처리되는 한 개의 프로그램을 수행해야 한다.

겨울연구에서 학생들은 독립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거나, 새로운 스킬을 배우거나, 지역사회 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을 한다. 윌리엄스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정규 학기에 열리 는 32과목을 이수해야 하는데, 그 중에 적어도 19과목에서 C 마이너스 또는 그 이상의 등급

1) 황주영, 「미 최고 대학은 윌리엄스칼리지」, 중앙일보 Korea Daily, 2014. 8. 1.(경제 매거진 포브스 가 졸업률, 수업의 질, 학생 만족도, 학비 등을 분석한 결과 ‘2014 최고 대학 순위'를 결정하는데 그 중에서 윌리엄스칼리지가 1위였다. 윌리엄스칼리지는 2014년 프린스턴리뷰와 USA투데이가 선정한 ’ 가치 있는 대학‘ 순위에서도 1위인 대학이다)

2) 이 글은 Williams College의 전반적인 교육 및 교양교육에 관한 기초자료를 조사해서 정리한 글이다.

따라서 Williams College와 관련된 내용들은 2014년 12월 현재 Williams College의 홈페이지에 게 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서술되었음을 밝힌다.

3) 미술사학과 개발경제학, 두 개 전공만 대학원 과정이 있다.

(2)

언어와 예술 사회 과학과 수학

을 받아야 한다. 또한 4개의 겨울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하고, 네 영역에 대한 배분 요구 사항을 지켜야 하고, C 마이너스 이상의 평균을 포함한 전공 요구사항과 체육 교육에 관한 요 구사항도 채워야 한다. 윌리엄스는 한 명의 교수가 7명의 학생들을 밀착 지도하는 시스템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업이 효율적으로 향상될 수밖에 없다. 이와 함께 학생과 교수 간 의 비율이 2:1로 진행되는 튜토리얼 수업은 윌리엄스가 자부심을 가질 만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윌리엄스의 장점은 학생들을 공부만 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수업 이외의 여러 활동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창의성과 인성 및 공동체성, 글로벌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을 하고 있다. 학생들이 다양한 예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으로써 창의성을 기르고, 여러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권장함으로써 인성과 공동체성을 기르는 효과를 보고 있다. 특히 윌리엄스는 기숙형 대학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대 학이다. 기숙사의 엔트리 시스템은 3학년 어드바이저 두 명이 1학년 학생 이십여 명과 한 조 가 되어 학업과 생활을 함께 하면서 한생들의 제반 역량을 기르고 있다. 작은 규모의 윌리엄 스가 미국 최고의 대학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양질의 교육덕분인데, 그들이 힘써 집중 하는 기초교양교육을 살펴보기로 한다.

2. 균형성장을 추구하는 기초교양교육

앞에서도 보았듯이 윌리엄스는 취업만이 아니라 인생 전반을 준비할 수 있는 폭넓은 대학 교육을 지향하는 대학이다. 그런 교육이념처럼 교육과정도 학생들의 역량을 여러 측면에서 고 루 균형을 가지며 기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기초교양 교과목을 선택할 때 학교가 요구하는 네 가지 분배요구사항(Distribution Requirement)을 반드시 고려하면서 선택해야 한다.

네 가지 요구사항이란 학생들이 길러야 할 네 가지 역량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데, 첫째, 한 가지 영역의 학문에만 갇히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 대한 공부 를 당부하는 배분이수 요구사항(DIVISIONAL REQUIREMENT), 둘째, 미국과 세계의 변화에 대해서 다양하게 사고하기를 권하는 다양한 탐험 제안 요구사항(THE EXPLORING DIVERSITY INITIATIVE REQUIREMENT), 셋째, 데이터를 분석하고 경제활동을 하는 데 필 요한 수리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수량적/공식적 추론 요구사항(QUANTITATIVE/FORMAL REASONING REQUIREMENT), 넷째, 학문 분야를 가로지르는 글쓰기 능력을 기르기 위한 글 쓰기 요구사항(WRITING REQUIREMENT)이다.

이 요구사항을 보면 윌리엄스가 폭넓게 교양과 전공기초 지식을 쌓으면서 다양한 관점을 확 보하고, 수리와 글쓰기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서 힘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IVISIONAL REQUIREMENT는 교과과정의 전 영역을 고루 학습하게 하기 위한 전략 중의 하나이다. 각각의 교과는 언어와 예술, 사회, 과학과 수학 등 세 영역으로 나누어지며, 졸업 할 때까지 각 영역에서 세 과목씩은 이수해야 하는데, 2학년 말까지 각 영역에서 두 과목씩은 이수해야 한다. 교과목 영역 구분을 보면 다음과 같다.

<표1:기초교양교과목 영역구분표>

(3)

아랍어, 미술사, 아트 스튜디오, 아시아연구, 중국어, 고전, 비교 문학, 언어비평, 댄스, 영어, EXPR, 1학년 세미나, 프랑스어, 독일어, 그리스어, INTR, 이탈 리아어, 일본어, 라틴어, 문학 연구, 해양연구, 음악, 러시아어, 스페인어, 연극

아프리카 연구, 미국연구, 인류 학, Arabic, 아시아연구, 중국 어, 인지과학, 경제학, 환경연구, 실험연구-EXPR, 역사, 과학의 역사, 학제간연구–INTR, 국제 연구, 일본어, 유대인연구, 정의 와 법, 라티나/노연구, 리더십 연구, 해양연구, 철학, 정치 경 제학, 정치학, 심리학, 공중보건, 종교, 과학기술연구, 사회학, 여 성, 젠더 및 섹슈얼리티연구

천문학, 천체물리학,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생물학, 화학, 컴퓨 터과학, 환경연구, 지구과학, 과 학의 역사, INTR, 해양연구, 수 학, 신경과학, 물리학, 심리학, 통계

(* 윌리엄스 칼리지 홈페이지에 수록된 교과목 뒤의 상세 설명은 생략)

각 영역에 있는 교과목들을 보면 학생들의 기초실력을 튼튼히 해 주고 교양을 넓히는 교과 목들이다. 언어와 예술 영역에서는 인문․예술적 감각을 기를 수 있고, 토론의 능력을 개발하 고, 심미적, 도덕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자의식과 창의성을 기르는 능력을 기르게 된 다. 사회 영역에서는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구조를 생각하는데, 이 과정에서 학생들 은 인식하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과학과 수학 영역에서는 과학적 사고와 기술 성취의 영향을 받은 학식 있는 시민이 되기 위한 사실적이고도 방법론적인 지식을 제공 하고, 정확하고 정량적인 추론 능력을 기르게 된다.

THE EXPLORING DIVERSITY INITIATIVE REQUIREMENT에서는 그룹 및 문화 간의 상 호 작용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 교수는 여러 가지 접근 방법을 다양하게 생각하는 능 력을 요구한다. 세계가 지니는 차이에 주목하고, 이 요구 사항의 궁극적인 목표는 미국의 다 양한 문화, 사회 그리고 역사에 대한 직접적인 참여를 준비하는 데 있다. 이 영역에서는 문화 와 사회의 비교연구, 공감적 이해, 힘과 권력, 비판적 이론화, 문화적 몰입에 대한 문제들에 다양한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QUANTITATIVE/FORMAL REASONING REQUIREMENT에서는 학생들의 수학적인 그리고 추상적인 추론의 능력을 요구한다. 형식적 방법론을 적용하고, 숫자를 편리하게 활용하고, 자 료분석에 필요한 연구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은 전문적이고 효과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하다. 상급학년으로 진학하기 전에 모든 학생들은 이 과정을 통과해야 한다.

WRITING REQUIREMENT에서는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요구한다. 모든 학생들은 두 개 의 글쓰기 집중과정을 수강하도록 요구된다. 하나는 2학년 말이며 다른 하나는 3학년 말 시점 이다. 학생들은 이 과정들을 대학과정의 초창기에 수강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따 라서 2학년 말까지 수강하는 것을 강력하게 권장하고 있다.

이 네 가지 영역의 능력을 고루 갖춘 인재야말로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융복합적이고 창의 적인 인재일 것이다. 윌리엄스의 대부분의 교과목들은 강의, 튜토리얼, 세미나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며, 교과목에 따라서는 글쓰기 집중과정을 요구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대학들도 배분 이수제를 시행하는 대학들이 많지만 기초교양교과목의 경우 대부분 수강 정원이 많아서 학습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점들이 있다. 윌리엄스는 대부분의 교과목 수강정원이 20명을 넘어 서지 않음으로써, 양질의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4)

전공 및

집중 과정 개설 교과목(수)

아 프 리 카 연구

Black Asia: From King Kong to Kung Fu and Beyond/Declining Significance of Race and Racism in U.S. Politics?/Garveyism/Representations of Racial-Sexual Violence from Enslavement to Emancipation/Fictions of African-American History(5)

미국연구

North American Apocalyptic Thought/Black Asia: From King Kong to Kung Fu and Beyond/Representations of Racial-Sexual Violence from Enslavement to Emancipation/American Modernist Fiction(4)

인류학 India’s Identities: Religion, Caste, and Gender/Emotions and the Self(2) 사회학 Declining Significance of Race and Racism in U.S. Politics?(1)

예술사 Architecture of Louis I. Kahn/Writing about Bodies(2) 스 튜 디 오

예술학

Photographic Montage and Collage/Artists’

Books/Appearance-Disappearance(3) 아 시 아 연

The Two Koreas/India’s Identities: Religion, Caste, and Gender/Gandhi:

Nationalism, Philosophy, and Legacy(3) 일본학 Confronting Japan(1)

천문학 Extraterrestrial Life in the Galaxy: A Sure Thing, or a Snowball’s Chance?(1) 생물학 Dangerous Exposures: Environment, Immunity, and Infectious Disease/

Sociobiology(2)

화학 Computational Chemistry and Molecular Spectroscopy(1) 고전학 Sex and Gender in Ancient Greece and Rome/After Rome(2)

비교문학

Reading and Writing the Body/Sex and Gender in Ancient Greece and Rome/Black Asia: From King Kong to Kung Fu and Beyond/Colonial Landscapes: Latin America’s Contemporary Environmental Literature/Confronting Japan/Lying, Cheating, Stealing: Hidden Knowledge in American Drama/Queer Temporalities/Freud and Psychoanalysis/Postcolonial Theory and the World Literature Debates(9)

컴 퓨 터 과

학 Computational Biology/Advanced Algorithms/Machine Learning(3) 경제학

Water as a Scarce Resource/Poverty and Public Policy/Inclusive Growth: The Role of Social Safety Nets/Long Term Fiscal Challenges/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5)

영어

Lying, Cheating, Stealing: Hidden Knowledge in American

Drama/Shakespearean Soliloquies & Dramatic Monologues/Black Asia: From King Kong to Kung Fu and Beyond/A Novel Education/Postcolonial Theory 3. 튜토리얼 수업을 통한 통합적인 사고교육

윌리엄스 튜토리얼(Tutorial) 수업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튜토리얼 수업을 본받아서 시행하는 제도인데, 학생 두 명과 교수 한 명이 함께 수업하는 윌리엄스가 자랑스럽 게 생각하는 수업이다. 2014-2015년에 열리는 튜토리얼 수업은 100여 개 이상이고, 이들 수 업에서는 꼼꼼한 독서와 글쓰기가 요구되고, 아이디어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벌어진다. 이 과 정에서 학생들은 비판적이고 논리적 사고가 길러지고, 글쓰기 실력 또한 늘게 된다. 대규모 교육에 반대되는 개념의 교육방법으로 수업 이후 학문적으로 놀라운 성장을 하게 된 학생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다.

<표2:2014∼2015에 개설되는 튜토리얼 프로그램 교과목>

(5)

and the World Literature Debates/Documentary Poetry/American Modernist Fiction(7)

환경연구 Colonial Landscapes: Latin America’s Contemporary Environmental Literature/The Oceans and Climate/Water as a Scarce Resource(3)

지구과학 The Oceans and Climate(1) 역사학

The Two Koreas/The Great War, 1914-1918/Fin-de-Sièecle Russia: Cultural Splendor, Imperial Decay/America in the 1970s/Fictions of African-American History/After Rome/Gandhi: Nationalism, Philosophy, and Legacy(7)

환경정책 Gandhi: Nationalism, Philosophy, and Legacy(1)

국제연구 Women in National Politics/Representations of Racial-Sexual Violence form Enslavement to Emancipation/Writing about bodies(3)

라틴연구 Queer Temporalities(1) 리더십

연구

The Great War, 1914-1918/American Political Thought/Garveyism/Biography as American History(4)

마 리 타 임

연구 The Oceans and Climate(1)

수학 Mathematics Education/Origami/Algebraic Geometry(3)

음악 Composition Ⅰand Ⅱ/Music and Meaning/Carmen, 1845-Now/Jazz Ear Training Tutorial(4)

신경과학 Nature via Nurture: The Psychobiology of Danger(1)

철학

Biomedial Ethics/Morality and Partiality :Loyalty, Friendship, Patriotism/Free Will and Responsibility/Philosophy of Religion/Violence: Its Trajectory and Its Causes/Wittgenstein’s Later Philosophy/Foucault(7)

물리학 Computational Biology/Applications of Quantum Mechanics/Classical Mechanics(3)

정치학

Wealth in America/Women in National Politics/The USA in Comparative Perspective/American Political Thought/Declining Significance of Race and Racism in U.S. Politics?/Freud and Psychoanalysis/Garveyism/Realism(8) 심리학

Nature via Nurture: The Psychobiology of Danger/Magic, Superstition, and Belief/Is it the Thought that Counts? Examining Intentions and Outcomes in Intergroup Interaction(3)

종교학 North American Apocalyptic Thought/India’s Identities: Religion, Caste, and Gender/Philosophy of Religion/Queer Temporalities(4)

스페인어 Colonial Landscapes: Latin America’s Contemporary Environmental Literature(1)

연극학 Lying, Cheating, Stealing: Hidden Knowledge in American Drama(1) 여성, 젠

더, 섹슈얼 러티연구

Women in National Politics/Sex and Gender in Ancient Greece and Rome/Actually Existing Alternative Economies/India’s Identities: Religion,

Caste, and Gender/Carmen, 1845-Now/Queer

Temporalities/Foucault/Representations of Racial-Sexual Violence from Enslavement to Emancipation/Writing about Bodies(9)

(* 밑줄 친 교과목은 1학년 대상 교과목임)

위의 표를 보면 35개의 전공과 집중과정에서 개설한 116개의 교과목이 튜토리얼 프로그램 을 제공하고 있다. 튜토리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교과목은 수강정원이 10명이다. 이 교과목 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지적 개발을 위하여 책임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 를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이 필수 코스는 아니지만 일정한 자격과 관심을 가진 많은 학생들이 선택한다. 100/200 수준의 튜토리얼 프로그램은 주로 1,2학년 학생들을 위하여 개설되고 있

(6)

다. 관심이 있는 3,4학년 학생들도 수강할 수는 있지만 1.2학년들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

300/400 수준의 튜토리얼 프로그램은 주로 3,4학년을 위해 개설되고 있다. 1,2학년이 수강해 도 되지만 등록 전에 교수자와 협의를 해야 한다.

튜토리얼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방법은 각 과목에 걸쳐서 다양하지만, 학기가 시작할 때에 교수자는 학생들이 짝을 이루도록 한다. 각 팀들은 대략 한 시간 정도 일주일에 한 번 만난 다. 대부분의 튜토리얼 과정은 그룹세미나로 학기를 시작하고 학기를 끝마친다. 그리고 몇몇 과목에서는 학생들의 독립적인 작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배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모 든 튜토리얼 학생들이 참가하는 주간 그룹미팅을 개최하기도 한다. 이러한 주간 미팅에서 학 생 각자는 해당 주의 과제와 관련하여 에세이나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해야 하고(예를 들면 텍 스트나 예술작품의 분석, 문제점에 대한 토론, 실험실습에 대한 보고서 등), 다른 학생들은 이 에 대한 논평을 준비해야 한다. 그 다음 주에는 학생들이 역할을 바꿔서 수행한다.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에 5~6개의 에세이를 작성하고(4~7페이지 분량), 정해진 짝의 작품에 대해서 5~6개의 논평을 준비해야 한다.

1988년 이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후, 학생들은 윌리엄스에서 받은 수업 중에서 튜토리얼 프 로그램 활용 수업을 가장 유익하게 생각하고, 자신들을 성장하게 해준 수업으로 선정하고 있 다. 이 프로그램은 다른 과정보다는 과제가 많지만, 크게 어렵지 않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생들이 매주 토론에서 적극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참가하도록 준비해야 한다.

그 과정에 참여하는 동안 학생들은 자신의 글쓰기와 논증의 전개 기술이 놀라운 진전을 보인 다는 것을 깨닫는다. 즉, 주제에 대한 의미의 확장, 논쟁 참여시에 구두 능력을 개발할 수 있 는 기회, 교수와 학생 간 그리고 학생들 간에 튜토리얼 프로그램이 만들어내는 지적인 유대감 에 대하여 체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학생들은 자신들의 튜토리얼 지도교수와 어드바이 저 내지는 맨토링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튜토리얼 프로그램은 일반과정, 심지어 소규모의 세미나보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더 비중을 둔다. 교수자들은 학생들이 논증을 어떻게 전개하고 제시하는가, 즉 세심하게 듣고, 토 론의 맥락에서 이들의 입장을 정리하고 자신이 쓴 글에 대해서 신속하게 설득력 있게 반응하 는 방법을 가르친다. 튜토리얼 프로그램은 분석기술, 글쓰기능력, 그리고 엄격한 대화원칙 그 리고 구두 논쟁에 참여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특별히 강조한다. 이 지도 과정에서 학생들 은 사고하기, 말하기, 글쓰기 능력이 총체적으로 길러진다.

4. 수학 관련 수업을 통한 수량적/공식적 추론교육

윌리엄스의 모든 학생들은 4학년 이전에 수학적으로 추상적으로 추론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 해서 수량적/공식적 추론과정(Quantitative/Formal Reasoning course)에서 개설되는 교과 목을 이수해야 한다. 수학 실력이 부족해서 추가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은 수학 100/101/102에 참가하여야 하는데, 이런 수업들은 QFR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이전에 이수하 여야 한다. QFR과정의 특징은 수학적 상징들의 언어로 사실들을 표현하고 명확한 답을 구하 기 위하여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주된 평가는 다단계의 수학적인, 통계적인 또는 논리적인 추론에 기초를 둔다. 120여개의 수업이 있는데, 아래의 표와 같다.

<표3:2014∼2015에 개설되는 수량적/공식적 추론과정 교과목>

(7)

전공 및

집중 과정 개설 교과목(수)

스 튜 디 오 예술학

Creating Games/Introduction to Astrophysics/Compact Stellar Remnants: White Dwarfs, Neutron Stars and Black Holes/Observational Cosmology: Observing and Modeling the Universe/Compact Stellar Remnants: White Dwarfs, Neutron Stars and Black Holes(5)

생 화 학 과 분 자 생 물 학

Biochemistry I—Structure and Function of Biological Molecules/Biochemistry II

—Metabolism(2)

생물학

Genetics/Ecology/Evolution/Neural Systems and Circuits/Integrative Bioinformatics, Genomics, and Proteomics Lab/Biochemistry I—Structure and Function of Biological Molecules/Biochemistry II—Metabolism(7)

화학

Chemistry and Physics of Cooking/Introductory Concepts of Chemistry/

Introductory Concepts of Chemistry: Advanced Section/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Organic Chemistry: Introductory Level/Integrative Bioinformatics, Genomics, and Proteomics Lab/Biochemistry I—Structure and Function of Biological Molecules/Biochemistry II—Metabolism(8)

컴퓨터 과학

Creating Games/The Art and Science of Computer Graphics/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Diving into the Deluge of Data/Data Structures and Advanced Programming/Computer Organization/Algorithm Design and Analysis/Computational Biology/Integrative Bioinformatics, Genomics, and Proteomics Lab/Principles of Programming Languages/Functional Programming and the Art of Recursion/Advanced Algorithms/Theory of Computation/Computational Graphics/Machine Learning/Operating Systems(16)

경제학

Principles of Microeconomics/Principles of Macroeconomics/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s Economics/Law and Economics/Financial Markets/Price and Allocation Theory/Macroeconomics/Econometrics/Long-Run Perspectives on Economic Growth/Global Health Policy Challenges/Games and Information/Tax Policy in Emerging Markets/Topics in Advanced Econometrics/Empirical Methods in Macroeconomics/Tax Policy in Emerging Markets/Program Evaluatio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16)

환경 연구 Energy Science and Technology/Ecology/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s Economics/Climate Changes(4)

지구

과학 Climate Changes/Structural Geology(2)

수학

Calculus I/Calculus II/Multivariable Calculus/Multivariable Calculus/Discrete Mathematics/Differential Equations/Mathematical Methods for Scientists/Linear Algebra/Mathematics Education/Protecting Information: Applications of Abstract Algebra and Quantum Physics/Introduction to Operations Research/Integrative Bioinformatics, Genomics, and Proteomics Lab/Knot Theory/The Little Questions/Probability/Origami/Real Analysis/Applied Real Analysis/Abstract Algebra/Theory of Computation/Complex Analysis/Advanced Analysis/Measure Theory and Probability/Commutative Algebra/Algebraic Geometry/Mathematical Modeling/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Additive Combinatorics(28)

통계학

Elementary Statistics and Data Analysis/Statistics and Data Analysis/Introduction to Statistical Modeling/Introduction to Operations Research/Probability/Regression and Forecasting/Statistical

(8)

Inference/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ing Change over Time/Computational Statistics and Data Mining/Modern Nonparametric Statistics(10)

신경

과학 Neural Systems and Circuits(1)

철학 Logic and Language/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Modern Physics(2)

물리학

Energy Science and Technology/Sound, Light, and Perception/Introduction to Mechanics/Electromagnetism and the Physics of Matter/Mechanics and Waves/Foundations of Modern Physics/Seminar in Modern Physics/Electricity and Magnetism/Vibrations, Waves and Optics/Mathematical Methods for Scientists/Quantum Physics/Statistical Mechanics and Thermodynamics/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Modern Physics/Computational Biology/Protecting Information: Applications of Abstract Algebra and Quantum Physics/Integrative Bioinformatics, Genomics, and Proteomics Lab/Applications of Quantum Mechanics/Classical Mechanics(18)

정치

경제학 Empirical Methods in Political Economy(1) 정치학 The Use and Abuse of Statistics in Politics(1) 심리학 Experimentation and Statistics(1)

(* 밑줄 친 교과목은 1학년 대상 교과목임)

수량적/공식적 추론과정에는 생화학과 분자생물학, 환경연구, 신경과학 등의 집중과정에서 7개 교과목을, 스튜디오예술학, 생물학, 화학 등의 전공과정에서 115개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 다. 수학 전공에서 개설한 교과목의 수가 28개로 가장 많다. 수학은 이공계통을 전공하려는 또는 전공인 학생들에게 기초가 되는 교과목이며, 인문학과 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도 교양을 함양하는 차원에서 필요한 교과목인 때문일 것이다. 지나치다 싶을 만큼 여러 개의 기 초 및 교양 교과목을 개설해서, 학생들의 선택권을 존중하는 윌리엄스의 교과과정은 우리나라 대학들이 사정이 어렵다는 이유로 기초교양 교과목을 줄이고 있는 실정과는 큰 차이가 있다.

이 과정에서 특이한 점은 철학 전공에서 추론 능력을 배울 수 있는 두 개의 교과목을 개설 하고 있다. ‘논리와 언어(Logic and Language)’ 교과목은 ‘추론과 논쟁에 대해서 공부하는 논리를 배우고, 특히 선하고 악한 추론, 강하고 약한 논쟁 그 사이의 차이 그 자체에 관심을 두고, 공식적이고 비공식적인 시스템 안에서 선한 논쟁의 덕과 악덕에 대해서 심문하고, 비트 겐슈타인의 형식 논리를 사용해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교과목이다. 이 교과목은 교수자의 강의로 진행되며, 수강정원의 제한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담당교수가 50-80명으로 정하고 있다. 윌리엄스의 수강인원은 20명을 넘지 않는 수업이 대부분인데, 이 수업은 예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교과목을 담당하는 Keith McPartland 교수는 철학전공의 Associate Professor인데, Rutgers대학교에서 학사학위, Cornell대학교에서 석사학위, Cornell대학교에서 철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대 물리학의 철학적 의미(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Modern Physics)’는 철학과 물리학 전공자들의 기초 교과목으로 ‘상대성이론과 양자이론이 지니는 철학적 의미를 탐구하 고, 그 이론들을 통해서 공간과 시간, 확률과 인과관계의 문제를 생각하는’ 교과목이다. 이 강 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은 기간 중에 1-2 페이지의 보고서를 6회 제출해야 하고, 12-15 페이지 의 보고서를 1회 제출해야 한다. 수강정원은 20명이다. 이 교과목을 담당하는 William Wootters 교수는 자연철학 전공의 Barclay Jermain Professor인데, Texas, Austin대학교에

(9)

서 물리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교과목을 담당하는 또 한 명의 Keith McPartland 교수는 철학전공의 Associate Professor인데, Rutgers대학교와 Cornell대학교에서 학사학위 와 석사학위를, Cornell대학교에서 철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윌리엄스에서는 전공 교수들이 교양, 기초, 전공 교과목을 구분하지 않고 강의를 한다. 우리 나라 대학들이 교양기초 관련 교과목을 박사과정 학생 내지는 강의의 경험이 부족한 젊은 시 간 강사들에게 맡기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5. 글쓰기 집중과정과 글쓰기 프로그램을 통한 글쓰기 교육

1) 글쓰기 집중과정

윌리엄스의 재학생들은 글쓰기 집중과정(Writing-Intensive Courses)에서 개설되는 여러 정규 교과목들과 학생들의 글쓰기를 도와주는 글쓰기 프로그램을 통해서 글쓰기 능력을 기르 고 있다. 글쓰기 집중과정에 속해 있는 교과목들은 효과적으로 글을 쓰기 위해서 학습 과정을 강조한다. 이러한 과정은 글쓰기의 상당 분량(최소 20페이지)을 포함하는데, 보통 글쓰기 집중 과정 내에 있는 여러 교과목에서 받은 개별 과제들이다. 교수자는 스타일과 논증의 문제를 중 점적으로 지도한다. 모든 학생들은 글쓰기 집중과정 안에 속해 있는 교과목 중에서 두 과목을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데, 한 과목은 2학년 말이며 다른 한 과목은 3학년 말이다. 학생들은 이 과정을 대학과정을 시작할 때 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2학년 말까지 수강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글쓰기 집중과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강화하는 데 있다. 이 과정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학기 내내 글쓰기에 대한 평가와 비평을 비롯해서 문체, 논증 등 글쓰기 전반의 중요한 사항들에 대해서 교수자의 지도를 받는다. 이러한 목표는 학기 내내 주어지는 간단한 과제, 보다 더 긴 기말과제로 연결되는 연속되는 과제와 같은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하 여 달성될 수 있다. 글쓰기 집중과정에는 학생들의 글쓰기의 기법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양한 초고 쓰기, 협의, 동료 논평 또는 수업과정에서의 토론이 포함된다. 글쓰기 집중과정에서는 학 생들은 최소한 20페이지 분량의 글을 써야 하고, 한 학기 과정 내내 강사가 학생들에게 관심 을 기울이기 위해서는 수강인원이 최대 19명으로 제한된다. 우리나라 대학들이 운영하고 있는 글쓰기 관련 교과목들의 수강인원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Oxford대학교(WIOX)의 Williams-Exeter Programme에 들어 있는 모든 튜토리얼 과정은 Williams College의 'W' 지정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다만, studio arts, 수 학, 과학 과목은 제외한다. Williams-Exeter Programme은 윌리엄스가 옥스퍼드 엑서터 대 학과 협력하여 옥스포드대학교에서 1 년간의 학습하는 프로그램이다. 옥스퍼드에 있는 윌리엄 스 연구 센터인 프라임 윌리엄스 하우스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이 프로그램은, 세계에서 가장 큰 대학 중의 하나인 옥스포드에서 지적인 생활은 물론이고, 옥스퍼드 공동체 생활에 학생들 이 최대한 통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옥스포드 튜토리얼 시스템과 옥스퍼드의 전 반적인 자원들을 세 학기 동안 사용할 수 있다. 윌리엄스에서 2014-2015에 걸쳐서 제공되는 글쓰기 집중과정에는 260여 개 강좌가 개설되고 있는데, 아래의 표와 같다.

<표4:2014∼2015에 개설되는 글쓰기 집중과정 교과목>

(10)

전공 및

집중 과정 개설 교과목(수)

아 프 리 카 연구

Travel Narratives and African History/Twentieth-Century Black Poets/Let Freedom Ring: African Americans and Emancipation/Introduction to the Music of Duke Ellington/Black Asia: From King Kong to Kung Fu and Beyond/Declining Significance of Race and Racism in U.S. Politics?/Race, Culture and Incarceration/Garveyism/Representations of Racial-Sexual Violence from Enslavement to Emancipation/Going to Ground: Considering Earth in the Arts of Africa/Fictions of African-American History(11)

미국연구

The Poetics of Place/From Pocahontas to Crazy Horse: Representations of Native Americans in Popular Culture/Let Freedom Ring: African Americans and Emancipation/1968-1969: Two Years in America/North American Apocalyptic Thought/Reel Jesus: Reading the Christian Bible and Film in the U.S.A./Black Asia: From King Kong to Kung Fu and Beyond/Modernist Regionalism/American Postmodern Fiction/Race, Culture and Incarceration/An American Family and ”Reality” Television/The American Renaissance/The Aesthetics of Transnationalism in American Literature/Representations of Racial-Sexual Violence from Enslavement to Emancipation/Latinas-os and the Media: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American Modernist Fiction/American Portraits: Capturing the Self in Word and Image/Transnationalism and Difference: Comparative Perspectives(18)

인류학 Governing Nature/Heroes, Saints and Celebrity/India’s Identities: Religion, Caste, and Gender/Ritual, Power and Transgression/Emotions and the Self(5) 사회학 Culture, Consumption, and Modernity/Declining Significance of Race and

Racism in U.S. Politics?(2)

아랍

Reading Reading: An Introduction to the Qur’an and Islam/The Texting of the Divine: Language and Imagination in Islamic Thought/Comparative Postcolonial Narratives: Novels from the Arab World, Latin-America and the Caribbean(3)

예술사

An American Family and ”Reality” Television/Architecture of Louis I. Kahn/

Writing about Bodies/Wright Writing/Going to Ground: Considering Earth in the Arts of Africa(5)

아 시 아 연 구

The World of the Mongol Empire/Bombay-Mumbai: Making of a Modern Metropolis/The Two Koreas/India’s Identities: Religion, Caste, and Gender/

War and Remembrance in Vietnam/Gandhi: Nationalism, Philosophy, and Legacy(6)

일본 Confronting Japan(1)

천문학 Great Astronomers and their Original Publications/Extraterrestrial Life in the Galaxy: A Sure Thing, or a Snowball’s Chance?(2)

생 화 학 과 분 자 생 물 학

Topics in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1)

생물학 Dangerous Exposures: Environment, Immunity, and Infectious Disease/

Sociobiology(2)

화학 Synthetic Organic Chemistry(1)

고전 The New Testament: Purpose, History and Method/Sex and Gender in Ancient Greece and Rome/The Good Life in Greek and Roman Ethics/After Rome(4)

(11)

비교문학

The Nature of Narrative/Rumble in the Jungle: Major Postcolonial Writers and Movements/Introduction to Cultural Theory/The New Testament: Purpose, History and Method/Detective Fiction/Reading and Writing the Body/The Novel in Theory/Introduction to Literary Theory/Sex and Gender in Ancient Greece and Rome/Americans Abroad/Black Asia: From King Kong to Kung Fu and Beyond/Bloody Vampires: From Fiction to Film and Fashion/Chekhov and His Time/Reading Reading: An Introduction to the Qur’an and Islam/Comparative Postcolonial Narratives: Novels from the Arab World, Latin-America and the Caribbean/Colonial Landscapes: Latin America’s Contemporary Environmental Literature/Confronting Japan/Lying, Cheating, Stealing: Hidden Knowledge in American Drama/Great Big Books/An American Family and ”Reality”

Television/Queer Temporalities/Freud and Psychoanalysis/Literature and Psychoanalysis/Postcolonial Theory and the World Literature Debates(24)

경제학 Water as a Scarce Resource/The Economics of Health and Health Care/Poverty and Public Policy(3)

영어

American Love Stories/Banned Books: The Question of Access/Literary Speakers/Rumble in the Jungle: Major Postcolonial Writers and Movements/The Ethics of Fiction/Introduction to Cultural Theory/The Nature of Narrative/Modernism/Borrowing and Stealing: Originality in Literature and Culture/The Poetics of Place/Theater and Politics/Twentieth-Century Black Poets/Vengeance/Expository Writing: The Literary Essay/Other People’s Lives:

Contemporary American Memoir/Robots, Puppets, and Dolls/We Aren’t the World: Global Anglophone Literature in the 20th Century(Gateway)/

Playwriting/Reading the Signs(Gateway)/Lyric Poetry (Gateway)/Lying, Cheating, Stealing: Hidden Knowledge in American Drama/The Irish Literary Revival(Gateway)/Graphic Storytelling(Gateway)/Introduction to Literary Theory(Gateway)/Literature of the Sea/The Art of the Long Story/Great Big Books(Gateway)/Fields of Barley, Streets of Gold: Utopia in Fiction/The Novel in Theory(Gateway)/Shakespearean Soliloquies & Dramatic Monologues/Black Asia: From King Kong to Kung Fu and Beyond/Modernist Regionalism(Gateway)/Poetry and the City(Gateway)/American Postmodern Fiction(Gateway)/Bloody Vampires: From Fiction to Film and Fashion/A Novel Education/The American Renaissance/The Abbey Theatre/Postcolonial Theory and the World Literature Debates/Hamlet/Literature and Psychoanalysis/

American Modernist Fiction/American Portraits: Capturing the Self in Word and Image(43)

환경학

Governing Nature/Colonial Landscapes: Latin America’s Contemporary Environmental Literature/The Oceans and Climate/Water as a Scarce Resource/Environmental Politics and Policy(5)

지구과학 The Oceans and Climate/Sedimentology(2)

독일어 German Comics/“Wer ist wir?”: Recent Debates over Multiculture in Germany/The New Woman in Weimar Culture(3)

역사 Travel Narratives and African History/The World of the Mongol Empire/

Bombay-Mumbai: Making of a Modern Metropolis/The Two Koreas/The First

(12)

Crusade/The Great War, 1914-1918/Fin-de-Siècle Russia: Cultural Splendor, Imperial Decay/The Fourteenth Amendment and the Meanings of Equality/From Pocahontas to Crazy Horse: Representations of Native Americans in Popular Culture/Going Nuclear: American Culture in the Atomic Age/Let Freedom Ring? African Americans and Emancipation/1968-1969: Two Years in America/America and the Sea, 1600-Present/Leadership at the American Founding/War and Remembrance in Vietnam/Comparative Latina-o Migrations/Fictions of African-American History/After Rome/Gandhi:

Nationalism, Philosophy, and Legacy(19)

과학사 Environmental Politics and Policy/Great Astronomers and their Original Publications(2)

국제연구 Bombay-Mumbai: Making of a Modern Metropolis/Gandhi: Nationalism, Philosophy, and Legacy(2)

학제간

Women in National Politics/Race, Culture and Incarceration/Representations of Racial-Sexual Violence from Enslavement to Emancipation/Writing about Bodies(4)

정의와 법 연구

Governing Nature/Senior Seminar in International Relations: Human Rights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Law(2)

라틴연구

Race in Latin American Politics/ Latinas-os and the Media: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Transnationalism and Difference: Comparative Perspectives/

Queer Temporalities/Comparative Latina-o Migrations(5)

리더십 연구

The Great War, 1914-1918/Going Nuclear: American Culture in the Atomic Age/Congress/American Political Thought/Leadership in American Political Development/Leadership and Historical Memory/Garveyism/Great Astronomers and their Original Publications/Leadership at the American Founding/U.S.

Grand Strategy(10) 마 리 타 임

연구

The Oceans and Climate/Literature of the Sea/America and the Sea, 1600-Present(3)

수학 Additive Combinatorics(1)

음악 Music, Nationalism, and Popular Culture/Introduction to the Music of Duke Ellington/Music and Meaning/Carmen, 1845-Now(4)

철학

Philosophy and Human Nature/Freedom and Society/Personal Identity/Truth, Goodness and Beauty/Objectivity in Ethics/Biomedical Ethics/Death and Dying/

Morality and Partiality: Loyalty, Friendship, Patriotism/Free Will and Responsibility/Philosophy of Religion/Violence: Its Trajectory and Its Causes/

The Good Life in Greek and Roman Ethics/Wittgenstein’s Later Philosophy/

Foucault/Antigone/Senior Seminar: Skepticism(16)

정치학

Wealth in America/Women in National Politics/The USA in Comparative Perspective/Environmental Politics and Policy/Congress/American Political Thought/Race, Culture and Incarceration/Leadership in American Political Development/Declining Significance of Race and Racism in U.S. Politics?/Oil and International Security/International Legitimation/Freud and Psychoanalysis/

Garveyism/Modern Midas? Resource Abundance and Development/Cosmology and Rulership in Ancient Chinese Political Thought/Race in Latin American Politics/Realism/U.S. Grand Strategy/Antigone/Senior Seminar in International Relations: Human Rights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Law/Senior Seminar in

(13)

International Relations: Trials and Transitions(21)

심리학

Magic, Superstition, and Belief/Early Experience and the Developing Infant/Is it the Thought that Counts? Examining Intentions and Outcomes in Intergroup Interaction.(3)

종교

The New Testament: Purpose, History and Method/North American Apocalyptic Thought/Reel Jesus: Reading the Christian Bible and Film in the U.S.A./Reading Reading: An Introduction to the Qur’an and Islam/The Texting of the Divine: Language and Imagination in Islamic Thought/India’s Identities:

Religion, Caste, and Gender/Heroes, Saints and Celebrity/Ritual, Power and Transgression/Philosophy of Religion/Queer Temporalities(10)

스페인어 Colonial Landscapes: Latin America’s Contemporary Environmental Literature/

Cervantes’ Don Quijote(2)

러시아어 Chekhov and His Time/Senior Seminar: Representations of the Caucasus in Russian Literature and Film(2)

과 학 기 술

연구 Environmental Politics and Policy(1)

연극학 Playwriting/Lying, Cheating, Stealing: Hidden Knowledge in American Drama/Hamlet/The Abbey Theatre(4)

여성, 젠 더, 섹슈얼 러티 연구

Introduction to Women’s, Gender and Sexuality Studies/The Fourteenth Amendment and the Meanings of Equality/Women in National Politics/Sex and Gender in Ancient Greece and Rome/Actually Existing Alternative Economies/

India’s Identities: Religion, Caste, and Gender/Carmen, 1845-Now/An American Family and ”Reality” Television/The New Woman in Weimar Culture/Queer Temporalities/Foucault/Representations of Racial-Sexual Violence from Enslavement to Emancipation/Writing about Bodies/Antigone/Transnationalism and Difference: Comparative Perspectives(15)

(* 밑줄 친 교과목은 1학년 대상 교과목임)

2) 다양한 글쓰기 프로그램

Williams에는 학생들의 학업을 도와주는 글쓰기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에 게 글쓰기 경험이 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확장하는 데 있음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이다. 글쓰기 프로그램의 목표는 교수진, 학과와의 지속적인 워크숍, 상담 그리고 학생글쓰기 워크숍의 진 행을 통하여 대학에서의 지적인 삶에 대한 의도적이고 유기적인 확대수단으로 글쓰기를 은력 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

① 글쓰기 워크숍

학생들을 대상으로 열리는 글쓰기 워크숍은 초기 브레인스토밍에서 최종안까지 글쓰기 과정 의 전체 단계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학생들에 의해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이다. 선 발된 튜터들은 2,3,4학년 학생으로 격식이 없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들이 어떠한 판단을 내 리도록 유도하지는 않는 훈련을 받은 학생들이다. 이들은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주제를 개

(14)

발하고, 글 전체를 구성하고 논거에 통일성을 부여, 글의 구조, 문체, 문법 등에 관한 사항을 도와준다. 수필, 실험보고서, 세미나 자료나 이들의 중간 성격의 글이든 어떠한 분야의 어떠한 글이든 가능하다.

② 글쓰기 상담

대학 도서관 로비에서 Drop-in session(예약 없이 바로 가능한 대면상담)과 hour-long appointment(장시간 예약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일요일에서 목요일까지 오전 10시에서 자정 까지, 금요일에서 토요일은 6시까지 운영된다. Drop-in session은 글쓰기에 대하여 덜 복잡 하고, 보다 구체적이 질문이 있거나, 글을 쓰다가 자연스럽게 생기는 문제에 대한 지원을 필 요로 하는 학생에게 가장 적합하다. 근무자(튜터)는 선착순으로 오는 학생들을 지도하고, 학 기 중 바쁜 때에도 도움을 받을지는 알 수가 없다. 장시간 예약상담은 사전에 온라인상으로 예약을 해야 한다. 사전예약을 통하여 학생이 선택한 튜터와 같이 상담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데, 과제를 수행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있거나 글쓰기 튜터로부터 보다 더 실제적인 피드백을 원하는 학생에게 최선의 방법이다. 글쓰기 워크숍은 매학기 마지막 날에 종료된다. 글쓰기 파 트너는 숫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학기 초에 서둘러 신청해야 한다.

③ 글쓰기 튜터 워크숍

글쓰기 튜터는 동료학생으로서 글쓰기에 재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윌리엄스 대학사회에 봉 사하는 데 성실하게 업무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선발된 학생들이다. 이들의 전공과 특수영역의 범위는 인류학에서 동물학에 이르지만, 이들은 어떠한 교과의 글쓰기도 다룰 수 있도록 능력 을 구비하고 있다. 교과의 특수적인 직관을 필요로 하는 글쓰기를 원하는 학생들은 튜터들이 올린 전공분야를 보고 튜터를 선택하면 된다.

④ 글쓰기 워크숍 자료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서 참고자료목록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자료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교수나 참고자료 사서에게 체크를 받아야 한다. 자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전과 문법자료 안내>

영어에서의 오류, 문체의 요소, 자유번역, King's English, 온라인 웹스터, 사전검색엔진, 어휘용어사 전.

<사전검색엔진>

어휘용어사전.

<인용안내>

인용안내, 문체활용을 위한 웹인용, 온라인 문체를 위한 Columbia guide, research and documentation online, Williams honor code, APA 스타일 가이드, APA 전자 참고자료 format, MLA 스타일 가이드, MLA : 웹 문서화자료.

(15)

<인터넷상의 문헌>

Bartleby Library project, barlett's Quotations, MIT classics Archive(전산자료), On-line books page, Pilot search literacy search engine, 구텐베르그 프로젝트-(구미 모든 자료 디지털화)

⑤ 글쓰기 파트너 프로그램

윌리엄스에서 제공되는 글쓰기 파트너 프로그램은 경험이 적은 필자가 여러 과정에서 글쓰 기 요구를 충족해야 하는 데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 전반적인 개선을 위해 일대일 지도를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글쓰기 파트너는 개별적인 지도를 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지도를 해주는 교사들이다. 특정 과제에 대해 학생들과 함께 생각하고 글의 질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들은 학생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맞으면서 글쓰기를 도와주는 역 할을 한다.

⑥ 교수 글쓰기 워크숍

이 과정을 신청한 교수자들이 만나서 글쓰기의 목표와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는 워크숍, 독 립적으로 작업하지만 구체적인 글쓰기 주제와 목표를 논의하기 위해서 개별적인 상담을 조정 하는 컨설팅 등의 프로그램이 있다. 교수진의 요청에 따라 글쓰기, 또는 교수관련 주제에 대 한 프로그램이 개설된다. 학과, 프로그램 또는 직원/교수진의 특별한 필요와 요구사항을 충족 하기 위해서 모든 프로그램, 워크숍, 그리고 교수세미나가 개발된다. 이전의 워크숍의 주제를 보면 ‘의미 있고 관리 가능한 글쓰기 과제’, ‘학생 글쓰기에 반응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 인 전략’, ‘학생들의 연구리포트의 질 개선하기’ 등이다.

동계 교수 워크숍 시리즈는 ‘30 minutes on Thursday’ 라는 이름하에 3개 주제를 합해서 개최된다. 각 주제발표시간은 30분으로 총 90분이며, 가장 관심 있는 주제에 하나만 참석해도 된다. 교수 워크숍의 발표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학생논문에 응답하기 (1시- 1시 30분) 과제의 틀짜기(1시 30분 - 2시) 가르치기와 학문(2시 - 2시 30분) 글쓰기와 효과적인 학생연구

수업 중 토론을 촉진하기 위한 글쓰기

영어가 외국어인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의 필요성 에세이 이면의 글쓰기

글쓰기와 효과적인 학생의 논증 의미 있는 고쳐쓰기를 위한 초안의 관리

윌리엄스 의사소통교육의 중심은 튜토리얼 수업과 글쓰기 집중코스의 교육에 있다. 기초교 양 교과목의 영역에 글쓰기 교과목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는 않지만, 글쓰기 능력을 요 구하는 수업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윌리엄스의 많은 교과목들이 요구하는 학술적 글쓰 기는 사고교육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글쓰기이다.

(16)

6. Williams College 교육의 교훈

급변하는 우리 사회가 대학 교육의 정체성과 임무에 대해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가운 데, 누군가는 대학의 몰락4)을 외치고, 또 다른 누군가는 인생을 바꾸는 대학5)의 등장을 꿈꾸 고 있다. 이런 양가적인 논의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공통점은 한국의 대학 교육이 변화해야 한 다는 데 있다. 흔히들 대학 교육이 국가의 미래를 결정한다는 말을 한다. 지금의 대학생들이 미래 사회를 구성하고 이끌어 갈 인재들이기 때문이다. 미래 사회는 IT 기술의 발달로 단순한 업무들은 자동화 시스템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다. 하지만 창의적인 작업은 사람만이 할 수 있 는 일이라는 점에서 볼 때, 대학 교육이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함은 의 심의 여지가 없다. 현재 한국 대학들이 하고 있는 학과중심 운영방식으로는 창의적인 인재를 기르기가 힘들다.

창의적발상은 한 분야의 전문지식에서 나오기보다는 여러 분야의 전문지식이 ‘융합’될 때 나오기가 더 쉽다6)고 한다면, 미국의 Liberal arts College(이하 LAC로 지칭) 교육을 참조해 볼 만하다. 대부분 작은 규모로 운영되는 LAC는 자유교양대학으로 번역되기도 하는데, 그야 말로 학문의 분야를 자유롭게 가로지르는 범교과적인 교육을 하는 학부교육 중심대학이다.

LAC를 포함한 미국대학들은 교양교육을 학부교육의 중심에 두고 폭넓은 학문분야에 대한 교 육과 전공분야의 기초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심화된 전공교육은 대학원 교육이 담당7)하도록 하고 있다. LAC는 2,000명 전후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을 운영하며 경쟁력을 키우고 있는 대학들이다. 대학의 혁신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지금, 규모는 작지만 교육의 질이 높은 LAC 교육을 탐구해 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윌리엄스 칼리지의 홈페이지에 게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글이다. 모든 내용 을 종합해 볼 때 윌리엄스의 교육이 미국의 힘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이유는 착실한 교육을 하 는 데 있음을 볼 수 있다. 인문예술, 사회, 과학과 수학 등 학문의 분야를 가로지르면서 수행 해야 하는 학습은 학생들의 사고력을 확장시키고 증진시키는 교육이 되어 복합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인재로 자라날 수 있게 해 주는 교육과정이다. 많은 수의 교과목이 글쓰기 집 중코스와 연계되어 학생들의 생각을 글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을 하고 있다. 옥스퍼드대 학과 연계된 프로그램 중 튜토리얼 프로그램은 학생과 교수 간 1:1로 진행되는 강도 높은 수 업이다. 이 수업은 학생뿐만 아니라 담당 교수의 헌신적인 노력이 없이는 불가능한 수업이다.

이 대학은 우리나라 대학들과는 달리 학과가 아닌 전공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이 특징이다.

윌리엄스에는 미술사학과 경영학만 대학원 과정이 있고, 나머지 전공들은 학부 교육만 중점적 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균형 있는 기초교양 교육을 추구하는 가운데, 윌리엄스 글쓰기 교육의 특징은 교수자들이 글쓰기 워크숍에 열심히 참여한다는 데 있다. 거의 모든 교과목 담당 교수 자가 학생들을 지도하기 위해서 글쓰기 자체에 대해서 고민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를 대상으로 동료 교수들과 토론함으로써 글쓰기 과제에 대한 지도법을 향상시킬 수 있는

4) 서보명, 대학의 몰락, 동연, 2011.

2014년 8월 18일부터 시작된 한국대학신문 특집기사 「대학이 사라진다」 시리즈의 글들.

5) 로렌 포프, 내 인생을 바꾸는 대학, 김현대 옮김, 한겨레출판, 2008.

류지성 외, 대학혁신, 삼성경제연구소, 2006.

동아일보 특별취재팀, 작지만 강한 대학, 동아일보사, 2006.

6) 손동현, 「대학 구조조정, Liberal Arts College 등장 계기될까」, 한국대학신문 Daily UNN, 2014.

9. 15.

7) 최미리, 미국과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비교, 양서원, 2001, p. 3.

(17)

기회로 삼고 있는 점도 특이하다. 적은 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지적인 성장을 확실 하게 도와주는 책임감 있는 교육방법은 우리나라 대학들이 본받을 만한 교육방법이다.

전공과 기초교양교과목의 수강정원은 구별 없이 소수로 운영되고 있는 윌리엄스의 교육은 구조개혁이라는 명분하에 교양기초교과목부터 정원을 늘리는 우리나라 대학들과는 차이가 있 다. 양질의 교육을 추구하고 있는 윌리엄스의 예들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진 정한 개혁은 제대로 된 기초교양교과목의 운영에서부터 시작되어야 그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강인구, 「미국 대학학습평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과학연구 41-2, 이화여자대학교 사 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서보명, 대학의 몰락, 동연, 2011.

손동현,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교양교육연구 3-2, 2009.

손동현,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교양교육연구 3-1, 2009.

손동현, 「한국 학부대학의 현주소와 그 발전 방향」,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학술세미나

6,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0.

손동현, 「대학 구조조정, Liberal Arts College 등장 계기될까」, 한국대학신문 Daily UNN, 2014. 9. 15.

오길영, 「대학의 몰락과 교양교육」, 안과 밖 34, 영미문학연구회, 2013.

이제봉, 「대학생 기초학력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 대학교육의 준비성 모형 중심으로」,  비교교육연구 17-1,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전일균, 「자유교양교육론의 현대적 의미」, 인문연구 49,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최미리, 미국과 한국 대학 교양교육 비교, 양서원, 2001.

다니엘 벨, 교양교육의 개혁, 송미섭 옮김, 한국학술정보, 2004.

로렌 포프, 내 인생을 바꾸는 대학, 김현대 옮김, 한겨레출판, 2008.

윌리엄스 칼리지홈페이지(http://www.williams.edu) 한국대학신문 인터넷 주소(http://news.unn.net)

Referensi

Dokumen terkait

Metode yang dilakukan pada kegiatan pengabdian kepada masyarakat ini adalah survey lokasi objek wisata Danau Shuji guna mengetahui icon wisata, sejarah ataupun tarif dari

So another reason social media plays a role is that social media can provide information and aspirations to the audience, so the higher the audience is tied to social media, it 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