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新시험구 4개 지역에서 천적곰팡이 신규적용 및 모니터링

(1) 천적곰팡이 적용(2021.5.26.)

· 건강목을 대상으로 나무직경 30㎝ 이하는 천공 수 1개로 5cc 주입, 30㎝이상은 천공 수 2개로 10cc주입

· 천적곰팡이 적용 대상목은 최종 150본으로 확정하고 모니터링 실시 (2) 1차 모니터링(2021.7.13.)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150본에서 신규 감염 및 고사는 0본

· 깔떼기트랩 조사: 솔수염하늘소 등 매개충 0개체확인, 톱하늘소 등 기타곤충 4종 확인 - 7월 중순임에도 불구하고 소나무재선충 매개충을 확인할 수 없었음

(3) 2차 모니터링(2021.8.26.)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150본에서 신규 감염 및 고사는 0본

· 깔떼기트랩 조사: 솔수염하늘소 등 매개충 0개체확인, 루이스방아벌레 다수 확인 [그림 17]

- 루이스방아벌레 유충은 소나무류 고사목에 기생하는 하늘소, 바구미류, 나무좀류 및 비단벌레류의 강력한 포식자로, 솔수염하늘소와 같은 매개충의 애벌레 밀도를 감소시키는 조절자의 역할을 함

트랩1: 늦털매미 10 트랩2: 늦털매미 9, 루이스방아벌레 3

트랩3: 늦털매미 13, 루이스방아벌레 2 트랩4: 늦털매미 5, 루이스방아벌레 5

트랩5: 늦털매미 3, 루이스방아벌레 3 트랩6: 늦털매미 20, 검정하늘소 4

[그림 17] E 시험구 깔떼기트랩 포획현황(2021.8.26.)

(4) 3차 모니터링(2021.9.30.)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150본 중 처리목 1본(138번) 신규감염 확인 [그림 18]

· 깔떼기트랩: 매개충 미확인, 유지매미 및 검정오이잎벌레 다수 확인

[그림 18] E 시험구 천적곰팡이적용 138번 처리목 감염현황

(5) 4차 모니터링(2021.10.27.)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149본 중 신규고사목 3본(35, 37, 38번) 확인 [그림 19]

· 9월 30일 신규감염목 138번은 고사 확인, 따라서 E 시험구 내 건강목 150본 중 4본이 고사됨

· 깔떼기트랩: 매개충 미확인, 옻나무바구미, 검정오이잎벌레 다수 확인

[그림 19] E 시험구 내 고사목 발생 및 시료채취 현황(2021.10.29.)

나) F 시험구(연안 지역) 모니터링 결과 [부록 3]

(1) 천적곰팡이 적용(2021.5.26.) [그림 20]

· 건강목을 대상으로 나무직경 30㎝ 이하는 천공 수 1개로 5cc 주입, 30㎝이상은 천공 수 2개로 10cc주입

· 천적곰팡이 적용 대상목은 최종 150본으로 확정하고 모니터링 실시

[그림 20] F 시험구 전경(2021.8.23.)

(2) 1차 모니터링(2021.6.20.)

· 1차 모니터링은 관할 사무소 분소에서 수행함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150본에서 신규 감염 및 고사는 0본

· 깔떼기트랩 조사: 솔수염하늘소 5개체 확인으로 현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음을 확인 [그림 21]

[그림 21] F 시험구 매개충 포획 현황(2021.6.20.)

(3) 2차 모니터링(2021.7.14.)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150본에서 신규 감염 및 고사는 0본

· 깔떼기트랩 조사: 솔수염하늘소 9개체 확인으로 현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음을 확인

(4) 3차 모니터링(2021.8.23.)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150본에서 신규 감염 및 고사는 0본

· 깔떼기트랩 조사: 솔수염하늘소 15개체 확인으로 현 지역에서 활동 확인 [그림 22]

트랩1: 솔수염하늘소 3. 알락하늘소 1 트랩2: 솔수염하늘소 4

트랩3: 솔수염하늘소 8 트랩4: 한국 미기록 무당벌레 1종 [그림 22] F 시험구 깔떼기트랩 현황 (2021.8.23.)

(5) 4차 모니터링(2021.9.30.)

· 3차 모니터링은 관할 사무소 분소에서 실시함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150본에서 신규 감염 및 고사는 0본 확인

· 깔떼기트랩 조사: 매개충 조사는 누락됨

(6) 5차 모니터링(2021.10.29.)

· 4차 모니터링은 관할 사무소 분소에서 실시함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150본에서 신규 감염 및 고사는 0본 확인

· 깔떼기트랩 조사: 매개충 조사는 누락됨

다) G 시험구(육지 지역 1) 모니터링 결과 [부록 4]

(1) 천적곰팡이 적용(2021.5.26.)

· 건강목을 대상으로 나무직경 30㎝ 이하는 천공 수 1개로 5cc 주입, 30㎝이상은 천공 수 2개로 10cc주입

· 천적곰팡이 적용 대상목은 모두 건강목으로 소나무 24본, 해송 54본, 잣나무 222본 최종 300본으로 확정하고 모니터링 실시 [그림 23]

[그림 23] G 시험구 천적곰팡이 적용 현황(2021.5.26.)

(2) 1차 모니터링(2021.9.8.)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300본 중 신규 감염 및 고사는 0본 확인

· 깔떼기트랩 조사: 본 지역 매개충 조사는 유인목+페로몬트랩 조사 병행하여 실시 - 5월 13일: 북방수염하늘소 2개체

- 6월 10일: 북방수염하늘소 1개체 - 7월 16일: 솔수염하늘소 2개체 - 7월 26일: 솔수염하늘소 2개체 - 8월 9일: 솔수염하늘소 1개체 - 8월 30일: 솔수염하늘소 1개체 - 9월 6일: 솔수염하늘소 2개체

(3) 2차 모니터링(2021.10.30.)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300본 중 신규 감염 및 고사는 0본 확인

· 깔떼기트랩 조사: 본 지역 매개충 조사는 유인목+페로몬트랩 조사 병행하여 실시 - 9월 13일: 솔수염하늘소 1개체

- 9월 23일: 솔수염하늘소 1개체

라) H 시험구(육지 지역 2) 모니터링 결과 [부록 5]

(1) 천적곰팡이 적용(2021.5.26.)

· 건강목을 대상으로 나무직경 30㎝ 이하는 천공 수 1개로 5cc 주입, 30㎝이상은 천공 수 2개로 10cc주입

· 천적곰팡이 적용 대상목은 모두 건강목으로 소나무 196본, 잣나무 4본 최종 200본으로 확정하고 모니터링 실시 [그림 24]

[그림 24] H 시험구 천적곰팡이 적용 현황(2021.5.26.)

(2) 1차 모니터링(2021.9.8.)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200본 중 신규 감염 및 고사는 0본 확인

· 시험구 외 인근에서 신규 감염의심목 3본 확인 [그림 25]

[그림 25] G 시험구 인근 신규감염의심목 현황(2021.9.8.)

· 깔떼기트랩 조사: 본 지역 매개충 조사는 유인목+페로몬트랩 조사 병행하여 실시 - 5월 13일: 북방수염하늘소 5개체

- 5월 26일: 북방수염하늘소 7개체

- 6월 10일: 솔수염하늘소 9개체, 북방수염하늘소 4개체 - 6월 28일: 솔수염하늘소 4개체, 북방수염하늘소 1개체 - 7월 16일: 솔수염하늘소 26개체, 북방수염하늘소 2개체 - 7월 22일: 솔수염하늘소 4개체, 북방수염하늘소 1개체 - 7월 26일: 솔수염하늘소 3개체

- 8월 9일: 솔수염하늘소 13개체 - 8월 20일: 솔수염하늘소 7개체 - 8월 30일: 솔수염하늘소 18개체 - 9월 6일: 솔수염하늘소 7개체

(3) 2차 모니터링(2021.10.30.)

· 천적곰팡이 적용 건강목 200본 중 신규 감염 및 고사는 0본 확인

· 시험구 외 인근 신규감염목 3본 소나무재선충 검경결과 양성판정(사무소 진행)

· 깔떼기트랩 조사: 본 지역 매개충 조사는 유인목+페로몬트랩 조사 병행하여 실시 - 9월 13일: 솔수염하늘소 9개체

- 9월 23일: 솔수염하늘소 4개체

마) 新시험구 4개 지역 모니터링 결과 요약 (1) 신규 감염 및 고사율

추가 시험구 시험구 특성 처리구

건강목 감염·고사 전환목 감염 및 고사율 E 시험구

(섬 지역) 소나무재선충병 혼재지역

(화도와 유사지역) 150본 4본 2.7%

F 시험구

(해안 지역) 시험구 건강목 지역

2㎞ 주변 재선충 발병 150본 0본 0%

G 시험구

(육상 지역1) 시험구 건강목 지역

2㎞ 주변 재선충 발병 300본 0본 0%

H 시험구

(육상 지역2) 시험구 건겅목 지역

1㎞ 주변 재선충 발병 200본 0본 0%

계 800본 4본 0.5%

· 4개 시험구 중 시험구 내 천적곰팡이 적용 시험목의 신규 감염 및 고사 진행은 E 시험구에서 4본이 최종적으로 확인됨

· 그 외 나머지 3개 시험구 내 시험목의 신규 감염 및 고사진행은 0본임

· H 시험구의 경우 시험구 외 인근지역에서 소나무재선충 신규발생으로 추후 시험구 내 확산여부 지속 모니터링 필요

(2) 新시험구 내 매개충 활동

· E 시험구

- 본 지역은 기존 소나무재선충병 발병지역으로 고사목과 생존목이 혼재되어 있는 지역으로, 시험구 내 1~3년 이상 경과된 고사목의 존재로 솔수염하늘소의 발생이 당연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깔때기트랩(페로몬 포함)에 포획된 개체는 없었음

- 본 지역에서 루이스방아벌레의 개체가 다수 발견. 루이스방아벌레는 애벌레 시기에 소나무 고사목에 기생하는 하늘소류, 비단벌레류, 바구미류, 나무좀류 등의 천공성딱정벌레의 강력한 포식자임

· F 시험구

- 본 지역은 연안지역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이 만연한 인근 섬과 근접한 지역이며, 시험구 내에는 과거 방제이력이 있고, 인근 지역은 소나무재선충병이 확산되고 있는 지역임

- 매개충은 솔수염하늘소만이 6월 중순부터 8월말 까지 확인됨

· G 시험구

- 본 지역은 육지지역으로 시험구는 능선부를 따라 소나무, 곰솔, 잣나무 혼재지역에 설정되었으며, 주변 골짜기 지역은 간헐적인 소나무재선충 발병 이력이 있음

- 본 지역은 시기적 차이가 있긴 하지만, 북방수염하늘소와 솔수염하늘소 2종의 매개충이 혼재되어 출현함을 확인

· H 시험구

- 본 지역은 육지지역으로 시험구는 능선부 경사가 거의 없는 탐방로 주변으로 설정이 되었으며,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혼재 지역으로 과거 발병 이력이 있음

- G 시험구와 마찬가지로 북방수염하늘소와 솔수염하늘소 2종의 매개충이 혼재되어 출현 확인함

3) 신규 감염 및 고사목 내 재선충 및 천적곰팡이 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