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립공원 소나무재선충병 발병지 내 보호종(천연기념물, 멸종위기 야생생물)서식 확인

· 팔색조는 천연기념물 제 204호이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지정 보호종으로 종과 함께 서식지 보존이 중요함

→ 2021년 6월 거제시 일운면 일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지역에서 팔색조 및 서식지가 발견되었으나, 별도의 보호방안에 대한 사전협의 없이 감염목 주변 건강 소나무와 활엽수 모두베기로 식충성인 팔색조의 먹이자원과 서식지가 훼손됨

· 붉은박쥐는 천연기념물 제 452호이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지정 보호종으로 종과 함께 울창한 산림이 동시에 보존되어야 함

→ 붉은박쥐는 전국분포하나 개체수가 매우 희귀함. 식성은 식충성으로 생태계내에서 중간조절자의 역할이 매우 큼

→ 2021년 8월 27일 거제 화도 A 시험구 인근에서 탐방로 나무 가지에 매달려 쉬고 있는 붉은박쥐 1개체를 발견됨으로써, 화도 전체가 붉은박쥐 서식지로 간주됨 [그림 60}

[그림 60] 거제 화도에 서식하는 붉은박쥐

· 하늘다람쥐는 천연기념물 제 328호이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참나무류나 잣나무류의 과실을 먹이로 살아감

→ 계룡산국립공원 수통골은 하늘다람쥐 서식지이며, 2021년 6월 수통골 인접도로 주변의 잣나무 군락에서 5본의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에 대해 유성구청에서 감염목 주변 20m 주변목에 대한 모두베기 요청이 있었음. 하늘다람쥐의 경우 먹이자원으로 잣나무 과실도 이용하기 때문에 예방차원에서의 아바멕틴 나무주사가 하늘다람쥐 개채군 유지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음

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지에 대한 생물다양성 보존대책

·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 내 소나무재선충병이 발병하여 예방 및 방제가 필요한 경우, 산림청 및 지자체 주관의 방제는 필요 이상의 무분별한 벌채로 인한 보호종의 서식지 훼손 및 예방주사로 쓰이는 아바멕틴류와 합제 주사액의 독성으로 인한 2차 종다양성 감소 및 피해현황은 고려되지 않고 있음

· 따라서, 국립공원공단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자연공원법, 자연환경보전법,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국립공원공단법 등에 근거해 보호종을 비롯한 생물종 보존과 생태계 건강성 유지를 위해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와 관련된 산림보호법과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에서 상충되는 사항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음

향후계획

2022년 연구계획

2022년 병해충 관련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병해충관리방안 연구」를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 내 산림병해충 관리방안 연구」으로 통합해 단일과제로 운영 솔껍질깍지벌레 및 천공성딱정벌레 발생 모니터링

․ 태안해안국립공원, 한려해상국립공원, 다도해해상국립공원(흑산도) 시험구 모니터링

→ 모니터링 기간 2월로 조기 시행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광릉긴나무좀) 밀도저감을 위한 친환경 페로몬 시험연구

․ 경주국립공원, 태백산국립공원, 계룡산국립공원 등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 시험구 설정 및 모니터링

→ 페로몬 및 유인물질 조성에 따른 매개충 포획 강도 측정 및 밀도감소 효과 검증 돌발해충(매미나방, 느티나무혹진딧물, 털파리 등) 밀도저감 연구

․ 국립공원별 돌발해충 발생 시 연구원-사무소 밀도저감을 위한 신속대응체계 마련 소나무재선충병 천적곰팡이를 이용한 친환경방제 시험

․ 거제 화도 4개 시험구 3차년도 모니터링 지속

→ 신규감염, 고사율, 회복률 산출

․ 新시험구 4개 지역 2차년도 모니터링 지속

․ 감염초기목에 대한 천적곰팡이 회복률 재검증

→ 2월 ~ 3월 감염증상 시험목에 천적곰팡이 적용 후 모니터링

․ 감염 및 고사목 내 천적곰팡이와 소나무재선충 밀도변화 추이 확인

․ 천적곰팡이 나무주사 후 감염 및 고사한 소나무 내에서 발생하는 매개충의 번데기와 성충에서 소나무재선충 매개 정도 확인

․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지 신규 시험구에서 천적곰팡이와 아바멕틴 교차 나무주사를 통한 감염 및 고사율 모니터링

․ 천적곰팡이 효과성 개선을 위한 실험

→ 천적곰팡이 배양 및 생산 시스템 구축

→ 천적곰팡이-소나무-소나무재선충 상호작용 규명

→ 천적곰팡이의 원통형 포자와 초승달형 포자의 비율에 따른 효과성 확인

→ 천적곰팡이의 나무주사 용량에 따른 효과성 확인

→ 천적곰팡이 나무주사 시험목 내 포자이동 속도 및 저해요인 확인

․ 시험구 내 채취된 샘플에서 소나무재선충 및 천적곰팡이 신속진단기법 도입 및 확립

․ 소나무재선충병 친환경 방제 신소재 탐색 및 현장적용 실험

→ 소나무재선충병 유도저항성 친환경 물질 탐색 및 신시험구 현장적용

․ 제주도 도청오름 등 과거 소나무재선충 발생지에서 자생 천적곰팡이 서식 실태 및 효과성 확인

․ 국제 공동연구협의

→ 천적곰팡이 등 친환경 방제방법에 관심이 많은 아시아, 유럽 등의 소나무재선충병 관련자 및 전문가와 정보 및 학술교류를 통한 연구역량 강화

참고문헌

Zhuo K, Luo M, Cui RQ, Liao JL. 2011. A multipex one-step PCR method for the simultaneous identification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B. mucronatus and B. doui three species within the xylophilus group. Forest Pathology, 41.:

66-69.

Ferris VR, Ferris JM, Faghihi J. 1993. Variation in spacer ribosomal DNA in some cyst-forming species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Fund. Appl. Nematol. 16, 177-184.

Vrain Tc. 1993.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separates species of the Xiphinema americanus group. J. Nematol. 25, 21-24.

Wang XR, Zhu XW, Hu YQ, Huang HH, Kong XC, Jia WH. 2009. A PCR-based method for detecting the pine wood nematodes – Bursaphelenchus xylophilus from Monochamus alternatus. Sci. Silvae Sin. 45, 70-75.

Hu YQ, Kong XC, Wang XR, Zhong TK, Zhu XW, Mota MM, Ren LL, Liu S, Ma C.

2011. Direct PCR-based method for detecting Bursaphelenchus xylophilus, the pine wood nematode in wood tissue of Pinus massoniana. Forest Pathology, 41. 165-168.

Gu J, Wang J, Braasch H, Burgermeiseter W, Schröder T. 2011.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ucronate isolates (‘M’ form)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da: Aphelenchoididae). Russian Journal of Nematology, 19:

103-120.

Kanzaki N, Futai K. 2002. A PCR primer set for determination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Bursaphelenchus species within the Zylophilus group.

Nematology 4: 655-666.

Wei K, QH Wang, YZ Wang, LJ Qu, YA Zhang. 2014. Rapid molecular detection of Esteya vermicola based on specific primers and the FTA-DNA extraction method. Biocontrol Science and Technology. 24(8): 872-881.

Yin C, Wang, Y, Zhang Y, Wang H, Duan B, Tao R, Gao J, Sung C. 2020.

Hypothesized mechanism of biocontrol against pine wilt disease by the nematophagous fungus Esteya vermicola. Europ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156, 811-818.

한혜림, 손정아, 이채민, 전향미, 권태성, 문일성, 최광식, 정영진. 2014. 한국의 재선충속 (Bursaphelenchus) 선충. 국립산림과학원, 146 pp.

시험구 나무번호 증상 (2020.5.14.)

증상 (2020.8.14.)

증상 (2020.9.23.

~24.) 증상 (2020.10.29.)

추가처리 (B,D무처리구)

(2021.5.24.)

증상 (2021.7.14.)

증상 (2021.8.20.)

증상 (2021.8.27.~28.)

증상 (2021.10.1.~2.)

증상 (2021.10.28.~

29.)

A(처리구) 1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2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4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5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6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9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8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10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10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신규감염

A(처리구) 309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7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08 감염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2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3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4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0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1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29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28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27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26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25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24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23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신규고사

A(처리구) 22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21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20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19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60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신규감염 신규고사 고사목

A(처리구) 357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신규고사 고사진행중

A(처리구) 359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58 감염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30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29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39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32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부록

부록 1. 2021년 화도 내 소나무재선충병 시험구 소나무 개체별 모니터링

시험구 나무번호 증상 (2020.5.14.)

증상 (2020.8.14.)

증상 (2020.9.23.

~24.) 증상 (2020.10.29.)

추가처리 (B,D무처리구)

(2021.5.24.)

증상 (2021.7.14.)

증상 (2021.8.20.)

증상 (2021.8.27.~28.)

증상 (2021.10.1.~2.)

증상 (2021.10.28.~

29.)

A(처리구) 331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36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신규감염 신규고사 고사목

A(처리구) 337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39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40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38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41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신규감염

A(처리구) 342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47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51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52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53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49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48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50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46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45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44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40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54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34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신규감염

A(처리구) 335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55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감염목 신규고사 고사목 고사목

A(처리구) 356 건강목 건강목 감염목 고사목 고사목 고사목 고사목

A(처리구) 328 건강목 건강목 고사목 고사목 고사목 고사목 고사목

A(처리구) 326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신규고사 고사목 고사목

A(처리구) 327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신규고사 고사목 고사목

A(처리구) 324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25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23 건강목 건강목 감염목 고사목 고사목 고사목 고사목

A(처리구) 320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21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고사목 고사목 고사목 고사목

A(처리구) 319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18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17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신규고사

A(처리구) 312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11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13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14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15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건강목

A(처리구) 307 건강목 건강목 감염목 고사목 고사목 고사목 고사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