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物價 조절

Dalam dokumen 淸末民國期 湖南의 物價와 商人* (Halaman 36-45)

리적 시장 거래를 도와주는 조치였다고 생각된다.

하고 있다. 이때 私利만 추구하는 간교한 무리가 商民을 침해하는 사 례가 있으면 商會에 보고하여 엄히 조사 처리하도록 하라는 내용이 있 다.143) 商會가 물가 조절의 후견인으로 등장하고 있다. 재료비 상승으 로 물가 조정을 한다는 條規 내용은 매우 빈번하다.144)

「墨店條規」를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 墨業은 … 근래 온갖 재료가 계속 상승하였다. 비록 光緖 31년 (1905) 조금 市價를 증가시켰으나 오히려 成本에 부합되기 어려웠다. 겸 하여 이금과 食用이 전보다 昻貴하였다. … 이에 同人을 모아 의논하여 매 斤당 다시 가격 160文을 증가시킨다. 의논 후에 省 소속 城鄕 각 埠 에서는 새 규정에 따라 판매하고 임의로 값을 低昻해서는 안 된다.145) 여기서는 재료비 뿐 아니라 釐金 비용, 食用 가격 등의 상승 때문에 가격을 조정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米業條規」에도 米價는 동업조합에서 수시로 참작하여 정한다는 사 실과 함부로 가격을 등락시키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146)

〈行規〉의 가격 조절은 동업자간 경쟁을 방지하고 공동이익 확보 를 위한 것이 주요한 목적이지만 개별 상인의 준수 여부는 분명하지 않다.147) 〈行規〉의 제시 가격은 일종의 기준가격이었다 생각된다.

둘째는 상인의 採買平糶 활동이다. 곡식의 결핍으로 米價가 급등한 상황에서 상인이 자금 마련하여 곡식을 구매해 와 저렴한 가격으로 판 매하여 물가를 조절하는 활동이다.

민국 7년 6月 10日의 보도는 다음과 같다.

총상회에서 靖江, 南縣, 華容, 益陽 등 商會에 公函을 보내 이르기를

… 省城 穀米 결핍으로 民食이 공황상태이다. 특별히 사람을 파견하여 靖

143) 湖南商事習慣報告書 「藥材店條規(巴陵)」.

144) 湖南商事習慣報告書 「銅業筆筒條規(省城)」.

145) 湖南商事習慣報告書 「墨店條規(省城)」.

146) 湖南商事習慣報告書 「米業條規(巴陵)」.

147) 方志遠, 明淸湘鄂贛地區的人口流動與商品經濟 (北京: 人民出版社, 2001), pp.658-660.

江, 益陽, 南縣, 華容 일대에서 米石을 구매해 와서 接濟하려 한다. … 마 땅히 護照(허가증)를 발행하여 즉시 그곳에 가서 곡식을 구매해 省城에 돌아오게 한다. … 일은 公益에 관계되니 통과하는 지역의 세관과 군대는 수시로 조사하여 청컨대 통행을 보호하게 하여 주시기 바란다.148)

同年 10月 27日에도 運米商 陳雲卿, 鄭業 등이 商會에 올린 글을 보면 省城의 米穀 가격이 지나치게 높아 상인들이 巨金을 모아 하류지 역에서 대량 米穀을 구매해 民食을 구제한다는 내용이 있다.149)

同年 11月 보도를 보면 상인들이 마련한 기금으로 米와 鹽을 확보 한 다음 米鹽零賣處를 만들고 쌀은 1人 5升, 鹽은 1人 半斤으로 한정 하여 저렴하게 팔고 있다. 당시 爛票 만연으로 물가 문제가 심각하였 는데 서민에게 쌀과 소금 판매시에 爛票를 회수하는 계기로 활용하였 다.150)

민국 7년 12月 14日 보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장사총상회가 督軍에게 呈文을 올려 이르기를 敝會의 會董 長春棧主 王尹衡이 公函에 敝棧이 米鹽零賣局 濟米 마련 위해 採辦員 王惠渠를 이 미 파견하여 安鄕 일대에 穀 3,000石 마련, 급히 省城에 운반 구제가 필 요한데 沿途에 장애가 발생할까 염려하여 護照(허가증)를 발급하여 줄 것 을 청합니다. 이에 회장께 청구하니 省長께 轉呈하여 호조를 발급받게 하 여 줍시사.151)

米穀商이 採辦員을 안향 일대에 보내 3,000石을 구매해 와서 米鹽 零賣局에서 平糶한다는 내용이다.

민국 10년 5月에도 상회가 省城의 民食을 유지하기 위해 곡식을 대 량 구매해 온다는 것과 碓戶 등이 가격을 함부로 올리지 못하게 하였 다. 매월 3일에 碓戶 등이 商會에 이르러 공동으로 가격을 의논하여 정함으로써 공평을 기하고자 하였다.152)

148) 長沙大公報 1918년 6月 10日, 「商會派員往下遊辦米」.

149) 長沙大公報 1918년 10月 27日, 「米商請稅關發還台票」.

150) 長沙大公報 1918년 11月 4日, 「長沙總商會維持市面生計大會議」; 1918년 11月 12日, 「米鹽零賣處成立再誌」.

151) 長沙大公報 1918년 12月 14日, 「商會請督軍發護照購零賣局穀米」.

민국 14년 7月에도 장사의 米價가 폭등하여 閙米 풍조가 발생하였 다. 蕪胡米를 운반해 와서 公糶局에서 平糶를 행하였다. 매일 판매는 200石으로 한정하고 매 戶는 5斗로 한정하였다. 또 각 行業이 漢口에 가서 米를 구매해 오는데 필요한 護照는 총상회에서 책임지고 처리한 다는 내용이 나오고 있다.153)

이상을 보면 상인들은 특히 民食이 결핍되는 상황에서 採買平糶란 방식으로 물가 조절에 적극 개입하였다.

근현대에 두드러진 특징의 하나가 商會의 조직과 활동이다. 청말까 지 同業조합 중심의 움직임이 있었던 반면 민국 시기는 商會가 상인 활동을 조직적, 체계적으로 만들고 있다. 마지막으로 상인의 물가 조 절 행위로 들 수 있는 것은 상회의 빈번한 물가회의이다.

민국 6년 11月 9日의 보도는 다음과 같다.

… 또 아울러 商會회장은 즉시 따라서 각 商號를 소집하여 지도를 하 고 煤․米․油․鹽 및 각 항 잡화의 매매에 있어 가격을 경감하고 공평교역을 힘쓰라. 時價를 올리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이익 노려 가격을 폭등시 키거나 혹은 居奇不售하여 市面을 교란시키는 것은 안 된다. 該회 회장은 商務 유지의 책임이 있다. 매일 수시로 조사하여 가격 폭등을 막아 民困 을 해소하라. … 상회에서 전달 소집, 油鹽煤米 각 業에게 적절히 권유 지도하여 각 상점의 가격인하 공평교역을 촉구하였다.154)

이 내용은 省長이 商會에게 물가 조절을 촉구한 내용의 일부이다.

商會가 商務 유지의 책임이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同年 11月 9日에는 米商 王春和, 楊同泰 등이 穀價 조절을 요구하 고 있다.155) 米價는 穀價에 연동되는데 지금 穀의 결핍으로 穀價가 폭 등하고 있으니 省長이 穀價를 안정시켜 줄 것을 호소하고 있다.

민국 7년 10月 23日 보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152) 長沙大公報 1921년 5月 24日, 「維持省城民食」.

153) 長沙大公報 1925년 7月 12日, 「關於維持省城民食之各方面消息-總商會方 面」.

154) 長沙大公報 1917년 11月 9日, 「督軍省長令商會減平物價」.

155) 長沙大公報 1917년 11月 9日, 「米商求減平穀價」.

먼저 商會 회장 張先贊이 보고를 행하였는데 금일 전체 특별 대회를 개최한 것은 화폐와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 法價를 정하여 인민 사용의 표준으로 삼았는데 태환할 현금이 없어 고통을 받고 폐단이 백출하는데 이르렀다. … 호남에 現洋이 결핍되어 商家는 상품을 판매하 고 거두는 수입은 다 지폐이다. 다시 물건을 들여 올 때는 모두 現洋을 필요로 한다. 法價로는 결국 光洋을 마련 못한다. 이는 반드시 높은 암시 세로 光洋을 취해야 한다. … 이 비싸게 구입한 光洋으로 들여 온 상품은 형세상 부득불 값을 올려 팔아 成本을 견고하게 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물가 급등의 원인이다. … 호남 금융을 정돈하기 위해서는 현금을 많이 준비하는 외에 별도의 좋은 방법이 없다. 목전의 계책은 각 紳商 모두에 의뢰하여 각 行에 권고, 漢口市價를 표준으로 삼아 暗盤(암시세)으로 하 지 말고 毛爛新舊를 구분하지 않고 일률로 사용한다면 금융은 저절로 활 발해질 것이다.156)

화폐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한 商會의 특별대회 대용의 일부이다. 省 정부의 法價 정책이 현실 시장에 맞지 않다는 것과 근본적으로 현금을 준비해야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漢口의 환율에 따라 가자는 것이다.

장사총상회의 요청이 일부 받아 들여져 裕湘銀行이 漢口의 行情에 따 라 10일에 한번 光洋行情을 고시하도록 하고 있다.157)

민국 9년 12月 4日의 보도는 다음과 같다.

本會(상회)가 이미 물가를 급등시키지 말라 통고하였다. … 이미 本會 가 통고한 것은 우선 각 상점은 마땅히 本會의 통고를 따라 상점의 신용 을 유지해야 한다. 만약 고의로 위반하면 軍警에 체포될 것이고 혹은 사 람에게 고발당할 것이다. 本會는 비록 상점의 마음을 유지해야 하나 말하 지 않을 수 없다. 현재 林․趙 2人이 軍民分治를 하고 있는데 이 項 票幣 는 계속 유효하다. … 긴급히 물가를 안정시키고 票幣를 태환하여 일률로 유통하게 해야 한다.158)

이것도 상회가 물가안정 회의를 개최한 내용이다. 상회가 각 상점에 물가를 상승시키지 않도록 회의 결과로 통보하고 있다.

156) 長沙大公報 1918년 10月 23日, 「平一貨幣物價大會詳情」.

157) 長沙大公報 1918년 10月 23日, 「裕湘銀行標示光洋價格」.

158) 長沙大公報 1920년 12月 4日, 「商會減平物價會議」.

민국 11년 2月에도 상회에서 米價안정을 위한 회의를 개최하여 방 안을 강구하고 있다.159)

민국 15년 7月 5日에도 民食문제 해결을 위한 장사총상회 주도의 米業, 糧食業, 糧棧業의 연석회의가 소집되었다. 회의 결과는 米業 관 련 상인들이 5일마다 한번씩 공동으로 가격을 의논하여 정한 뒤 상회 에 보고하게 하였다. 7月 7日에도 장사 善化의 米業들이 비슷한 결의 를 하고 있다.160)

민국 14년 4月 15日에는 電燈公司와 團務總公所의 加費문제에 대한 분쟁에서 商會가 거중 조정에 나서고 있다.161)

이상에서 본대로 商會가 수시로 물가회의를 열어 물가 조절에 나서 고 있는 것이 민국시기의 하나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금융유지 방면에서 상인의 활동을 찾아볼 수 있다. 전술한 대로 민국기 물가 급등의 가장 큰 원인은 지폐 남발이었다. 이런 국면 에서 상인은 물가 안정을 위해 지폐의 태환 요구, 지폐의 수용 거부, 流通券 등의 발행 반대로 악성 통화 팽창 저지를 위해 노력했다.

민국 7년 7月 16日 보도에 의하면 商會가 省長에게 呈請하기를 湖 南銀行淸理處에 지시하여 爛票를 교환하게 해달라고 하고 있다.162) 同 年 8月 20日에도 상회는 같은 爛票교환 요청을 계속하고 있다.163) 同 年 10月 19日에는 油鹽店 상인들이 商會를 통해 爛票를 新票로 교환 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164) 張敬堯정권은 上海에서 新票를 인쇄해 와 舊票를 回收하겠다는 것이었지만 실제는 소수의 銀票만 교환해 줄 뿐 多數의 舊票를 교환해 주지 않았다. 통화 팽창은 가중되고 시장질 서는 문란하여 상회가 거듭하여 爛票 회수를 요청하고 있다.

159) 長沙大公報 1922년 2月 18日, 「商會減平米價之會議」.

160) 長沙大公報 1926년 7月 5日, 「商會爲民食問題之聯席會議」; 1926년 7月

7日, 「長善米業公議門市米價情形」.

161) 長沙大公報 1925년 4月 15日, 「商會調停‘電燈加價問題’之最後辦法」.

162) 長沙大公報 1918년 7月 16日, 「商會請省長飭湖南銀行斢換爛票」.

163) 長沙大公報 1918년 8月 20日, 「商會再請發換爛票」.

164) 長沙大公報 1918년 10月 19日, 「油鹽店請換爛票之結果」.

Dalam dokumen 淸末民國期 湖南의 物價와 商人* (Halaman 36-45)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