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科 (Family Viperidae) 쇠살모사

G13, G14표 조사기간 및 조사지역

R. I.=(S-1)/log(N)

9. 科 (Family Viperidae) 쇠살모사

12. ( Gloydius ussuriensis )

표 양서 파충류 종비율 [ Ⅱ -5-4] ·

양서강

유미목 도롱뇽과 1 8.3

무미목

무당개구리과 1 8.3

두꺼비과 1 8.3

청개구리과 1 8.3

개구리과 3 25.0

파충강 유린목

도마뱀과 1 8.3

장지뱀과 1 8.3

뱀과 2 16.7

살모사과 1 8.3

2 3 목 9 과 12 종 100.0

격자별 양서 파충류 현황

3) ·

가 산림생태계 현황 )

각 조사지점 별 출현상황은 산림생태계의 경우 총 14 개지점 중 14 개 모든 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G3 에서 두꺼비 북방산개구리 , , G9 에서 북방산개구리 대륙유혈목이 , , G12 에 서 북방산개구리 참개구리 , , G14 에서 무당개구리 도마뱀 종이 각각 출현하여 가장 다양 , 2 하였으며 그 외 지점에서는 종이 출현하였고 , 1 , G1, G2, G4, G7, G8 에서는 출현종을 확 인할 수 없었다.

나 하천생태계 현황 )

하천생태계의 경우 총 개지점 중 개 모든 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8 8 , W3 지점

에서 도롱뇽 무당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참개구리 옴개구리 종이 출현하여 가장 다양하 , , , , 5

였으며 , W4, W7 에서 종이 출현하였고 그 외 지점에서는 종이 출현하였으며 3 , 2 , W1, W2

에서는 출현종을 확인할 수 없었다 표 ( Ⅱ -5-5).

산 림 생 태 계

G1 -

G2 -

G3 두꺼비 북방산개구리,

G4 -

G5 참개구리

G6 무당개구리

G7 -

G8 -

G9 북방산개구리 대륙유혈목이,

G10 도마뱀

G11 북방산개구리

G12 북방산개구리 참개구리,

G13 줄장지뱀

G14 무당개구리 도마뱀,

하 천 생 태 계

W1 -

W2 -

W3 도롱뇽 무당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참개구리 옴개구리, , , ,

W4 도롱뇽 북방산개구리 옴개구리, ,

W5 청개구리 참개구리,

W6 북방산개구리 능구렁이,

W7 청개구리 참개구리 쇠살모사, ,

W8 무당개구리 쇠살모사,

합계 도롱뇽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참개구리 옴개구리 도마뱀 줄장지뱀, , , , , , , , , 대륙유혈목이 능구렁이 쇠살모사, ,

표 격자별 양서 파충류 출현 현황 [ Ⅱ -5-5] ·

양서 파충류 군집분석 4) ·

가 양서 파충류 종합 군집분석 ) ·

본 조사결과 확인된 양서 파충류는 총 목 과 · 3 9 12 종 110 개체로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은 , 참개구리로 36 개체 (32.7%) 가 확인되었고 이외에 무당개구리 , 17 개체 (15.5%), 옴개구리 16 개체 (14.5%), 북방산개구리 13 개체 (11.8%), 청개구리 개체 9 (8.2%)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 며 군집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종다양도 , (H') 는 1.98, 균등도 (J') 는 0.80, 종풍부도 (R1) 는

우점도지수 는 로 산출되었다 표

2.34, (DI) 0.48 ( Ⅱ -5-6~7).

참개구리 36 32.7%

무당개구리 17 15.5%

옴개구리 16 14.5%

북방산개구리 13 11.8%

청개구리 9 8.2%

기타 19 17.3%

합 계 110 100.0%

표 양서 파충류 우점율 결과 [ Ⅱ -5-6] ·

종다양도(H') 1.98

균등도(J') 0.80

종풍부도(R1) 2.34

우점도지수(DI) 0.48

표 양서 파충류 군집분석 결과 [ Ⅱ -5-7] ·

나 양서류 군집분석 )

양서류의 경우 총 목 과 종 2 5 7 100 개체가 발견되었으며 우점종은 참개구리로 , 36 개 체 (36.0%) 가 확인되었고 이외에 무당개구리 , 17 개체 (17.0%), 옴개구리 16 개체 (16.0%), 북 방산개구리 13 개체 (13.0%), 청개구리 개체 9 (9.0%)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

양서류의 군집분석에서 전체적으로 종다양도 (H') 는 1.69, 균등도 (J') 는 0.87, 종풍부도 는 우점도지수 는 으로 산출되었다 표

(R1) 1.30, (DI) 0.53 ( Ⅱ -5-8~9).

참개구리 36 36.0%

무당개구리 17 17.0%

옴개구리 16 16.0%

북방산개구리 13 13.0%

청개구리 9 9.0%

기타 9 9.0%

합 계 100 100.0%

표 양서류 개체수 및 우점율 결과 [ Ⅱ -5-8]

종다양도(H') 1.69

균등도(J') 0.87

종풍부도(R1) 1.30

우점도지수(DI) 0.53

표 양서류 군집분석 결과 [ Ⅱ -5-9]

다 파충류 군집분석 )

파충류는 총 목 과 종 1 3 4 10 개체가 발견되었으며 우점종은 쇠살모사 도마뱀로 각각 , , 개체 가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대륙유혈목이 개체 줄장지뱀 능구렁이 각

3 (30.0%) , 2 (20.0%), ,

각 개체 1 (10.0%) 로 나타났다 .

파충류의 군집분석에서 전체적으로 종다양도 (H') 는 1.50, 균등도 (J') 는 0.93, 종풍부도 는 우점도지수 는 으로 산출되었다 표

(R1) 1.74, (DI) 0.60 ( Ⅱ -5-10~11).

쇠살모사 3 30.0%

도마뱀 3 30.0%

대륙유혈목이 2 20.0%

줄장지뱀 1 10.0%

능구렁이 1 10.0%

합 계 10 100.0%

표 파충류 개체수 및 우점율 결과 [ Ⅱ -5-10]

종다양도(H') 1.50

균등도(J') 0.93

종풍부도(R1) 1.74

우점도지수(DI) 0.60

표 파충류 군집분석 결과 [ Ⅱ -5-11]

라 산림생태계 군집분석 )

산림생태계 조사결과 확인된 양서 파충류는 총 목 과 종 · 2 6 7 32 개체로 확인되었으며 , 우점종은 무당개구리로 11 개체 (34.3%) 가 확인되었고 이외에 북방산개구리 개체 , 9 (28.1%), 참개구리 개체 5 (15.6%), 도마뱀 개체 3 (9.4%), 대륙유혈목이 개체 2 (6.3%) 등의 순으로 나 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종다양도 (H') 는 1.63, 균등도 (J') 는 0.84, 종풍부도 (R1) 는 우점도지수 는 으로 산출되었다 표

1.73, (DI) 0.63 ( Ⅱ -5-12~13).

무당개구리 11 34.3%

북방산개구리 9 28.1%

참개구리 5 15.6%

도마뱀 3 9.4%

대륙유혈목이 2 6.3%

기타 2 6.3%

합 계 32 100.0%

표 산림생태계 양서 파충류 개체수 및 우점율 결과

[ Ⅱ -5-12] ·

종다양도(H') 1.63

균등도(J') 0.84

종풍부도(R1) 1.73

우점도지수(DI) 0.63

표 산림생태계 양서 파충류 군집분석 결과

[ Ⅱ -5-13] ·

마 하천생태계 군집분석 )

하천생태계 조사결과 확인된 양서 파충류는 총 목 과 종 · 3 6 8 78 개체로 확인되었으며 , 우점종은 참개구리로 31 개체 (39.7%) 가 확인되었고 이외에 옴개구리 , 16 개체 (20.5%), 청개 구리 개체 9 (11.5%), 도롱뇽 개체 8 (10.3%), 무당개구리 개체 6 (7.7%) 등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

군집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종다양도 (H') 는 1.71, 균등도 (J') 는 0.82, 종풍부도 (R1) 는 우점도지수 는 으로 산출되었다 표

1.61, (DI) 0.60 ( Ⅱ -5-14~15).

참개구리 31 39.7%

옴개구리 16 20.5%

청개구리 9 11.5%

도롱뇽 8 10.3%

무당개구리 6 7.7%

기타 8 10.3%

합 계 78 100.0%

표 하천생태계 양서 파충류 개체수 및 우점율 결과

[ Ⅱ -5-14] ·

종다양도(H') 1.71

균등도(J') 0.82

종풍부도(R1) 1.61

우점도지수(DI) 0.60

표 하천생태계 양서 파충류 군집분석 결과

[ Ⅱ -5-15] ·

지점별 양서 파충류 개체수 현황은 표 · Ⅱ -5-16 과 같다 .

양 서 류

양서강 유미목 도롱뇽과 1도롱뇽628 무미목 무당개구리과 2무당개구리473317 두꺼비과 3두꺼비11 청개구리과 4청개구리459 개구리과 5북방산개구리124221113 6참개구리1410101136 7옴개구리15116

양서 파충류 개체수 출현 현황 - 5 -1 6] · Ⅱ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