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 2019. 8. 18.~23. 통영 거제 ,

G1, G2, G3, G4, , G5, G6, G7, G8, G9, G10, G11, G12, G13,

G14 차

2 2019. 10. 21.~24. 통영 거제 ,

G1, G2, G3, G4, , G5, G6, G7, G8, G9, G10, G11, G12, G13,

G14

표 조사기간 및 조사지역

[ Ⅱ -3-1-1]

그림 포유류 조사지점 [ Ⅱ -3-1-1]

1 G1 CT 10 거제 128.622750 34.716389

2 G2 CT 11 거제 128.600639 34.716722

3 G3 CT 8 거제 128.634417 34.752222

4 G4 CT 9 거제 128.629000 34.756667

5 G5 CT 3 통영 한산섬 ( ) 128.487167 34.763278 6 G6 CT 4 통영 한산섬 ( ) 128.492750 34.772056 7 G7 CT 2 통영 한산섬 ( ) 128.487472 34.790222

8 G8 CT 6 통영 128.405500 34.782167

9 G9 CT 7 통영 128.427444 34.781944

10 G10 CT 12 거제 128.640667 34.783639

11 G11 CT 13 거제 128.656556 34.783556

12 G12 CT 5 통영 128.411139 34.790889

13 G13 CT 1 통영 한산섬 ( ) 128.471583 34.808528

14 G14 CT 14 거제 128.717306 34.809444

[ Ⅱ -3 -1-2 무인센서카메라 설치 지점 ]

조사방법 2)

가 흔적조사 )

중 대형포유류의 조사는 지리산국립공원 내 · 47 개 조사지점 내에서 선조사법 (Line

으로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조사구역별로 이동하며

transect census) (Plumptre, 2000). , 육안관찰 및 흔적조사 식흔 족흔 휴식흔적 등 를 수행하였다 ( , , ) .

나 무인센서카메라 )

무인센서카메라 (Browning Strike Force, SpyPoint) 는 14 개에 조사지점에 지점별 대 1 씩 설치하였다 카메라는 조사지점 내부를 도보로 이동하며 포유류의 이동로에 있는 나무 . 의 지상에서 50 120cm ∼ 높이에 설치하였다 조사지점 내에서 카메라는 동물 이동로의 교 . 차지점 등 다양한 포유동물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였다 카메라의 센서 감지 간 . 격은 연속 모드로 설정했으며 센서 감지 회당 장이 촬영될 수 있도록 설정했다 무인센 , 1 3 . 서카메라 설치 지점의 위성좌표는 GPS(GPSMAP 64s Garmin Inc, USA) 로 확인하고 기 록하였다 . 상대풍부도지수 (RAI, Relative Abundance Index)(Arroyo-Arce et al.,

를 평가하여 종간 상대적 출현 빈도를 분석하였다

2017) .

RAI(relative abundance index of species)

= events x (100 camera trap nights/sampling effort)

상대적 종풍부도 지수

· RAI(relative abundance index of species):

해당 종 기록된 사진 수

· events:

다른 연구들과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표준단위

· 100 camera trap nights:

카메라트랩들이 운영된 밤의 총 수

· sampling effort:

조사내용 4)

∘ 전 지역을 대상으로 종목록 작성 및 서식지별 분포현황 파악

∘ 조사지역을 서식지별로 조사하되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제시한 구역을 대상으로 조사 수행

∘ 조사는 포유류 일반조사로 실시

∘ 일반조사는 현장조사 흔적조사 육안관찰 와 무인센서카메라 조사를 병행 ( , )

∘ 무인센서카메라 조사는 종별 출현 빈도분석을 중심으로 실시

서식지 특성 1)

조사지점 별 서식지 특성 및 전경사진은 표 Ⅱ -3-1-3 과 같다 .

가 통영 지구 ) 지점 (1) G8

본 지점은 해발고도 169m 이며 봉전지 상류의 계곡 사면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 . 서식지 유형은 혼합림이고 식생피도 60~70% 이루어져 있다 조사지점 주변에서 올무 개 . 1 를 발견하였다.

지점 (2) G9

본 지점은 해발고도 132m 이며 통영 남단의 산림 사면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 . 서식지 유형은 혼합림으로써 식생피도 60~7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교란요 . 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지점 (3) G12

본 지점은 해발고도 172m 이며 신봉지 배후 산림 능성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 .

서식지 유형은 혼합림으로써 식생피도 60~7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교란요 .

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지점 (4) G5

본 지점은 해발고도 219m 이며 망산 상단 사면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서식지 , . 유형은 혼합림으로써 식생피도 70~8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교란요인은 관 . 찰되지 않았다.

지점 (5) G6

본 지점은 해발고도 231m 이며 망산 정상 사면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서식지 , . 유형은 혼합림으로써 식생피도 60~7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교란요인은 관 . 찰되지 않았다.

지점 (6) G7

본 지점은 해발고도 78m 이며 대고포지 동쪽 산림 능선 사면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 , . 변의 서식지 유형은 혼합림으로써 식생피도 70~8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교 . 란요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지점 (7) G13

본 지점은 해발고도 159m 이며 고동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서식지 유형 , . 은 혼합림으로써 식생피도 70~8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 병해충 방재 목적의 훈증더미가 관찰되었다.

나 거제 지구 ) 지점 (1) G1

본 지점은 해발고도 81m 이며 거제지맥 남쪽 사면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서식 , . 지 유형은 혼합림으로써 식생피도 70~8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교란요인은 . 관찰되지 않았다.

지점 (2) G2

본 지점은 해발고도 208m 이며 망산 북쪽 계곡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서식지 , .

유형은 혼합림으로써 식생피도 70~8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교란요인은 관 .

찰되지 않았다.

지점 (3) G3

본 지점은 해발고도 211m 이며 가라산 동쪽 산림 사면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 . 서식지 유형은 혼합림으로써 식생피도 70~8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교란요 . 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지점 (4) G4

본 지점은 해발고도 397m 이며 가라산 북쪽 사면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서식지 , . 유형은 상록수림으로써 식생피도 70~8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교란요인은 . 관찰되지 않았다.

지점 (5) G10

본 지점은 해발고도 195m 이며 학동지 북쪽 거제지맥 동쪽 사면부에 위치한다 지점 , . 주변의 서식지 유형은 혼합림으로써 식생피도 70~8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 교란요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지점 (6) G11

본 지점은 해발고도 155m 이며 거제지맥 동남쪽 속능선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서 , . 식지 유형은 상록수림으로써 식생피도 70~8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교란요 . 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지점 (7) G14

본 지점은 해발고도 162m 이며 서이말길 산림 능선 사면부에 위치한다 지점 주변의 , .

서식지 유형은 혼합림으로써 식생피도 70~80% 이루어져 있다 특별한 오염원 및 교란요 .

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통영 지구

G8

고도(m) 169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밀렵 조사지점 주변에서 올무 개 수거 ( 1 )

G9

고도(m) 132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G12

고도(m) 172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표 모니터링 지점별 서식지 현황

[ Ⅱ -3-1-3]

통영 지구

G5

고도(m) 219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G6

고도(m) 231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G7

고도(m) 78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표 계속

[ Ⅱ -3-1-3]

통영 지구 G13

고도(m) 159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간벌 병해충 방재 ( )

거제 지구

G1

고도(m) 81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G2

고도(m) 208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표 계속

[ Ⅱ -3-1-3]

거제 지구

G3

고도(m) 211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G4

고도(m) 397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G10

고도(m) 195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표 계속

[ Ⅱ -3-1-3]

거제 지구

G11

고도(m) 155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G14

고도(m) 162

지형요소

산정 능선부 사면부

계곡부 구릉지 기타 고산습지:

서식지 유형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립 초지 습지

농경지 너덜지대 상록수림 혼합림

대나무림 하천변 저수지 기타:

식생피도 (%)

0~10 10~20 20~30 30~40 40~50

50~60 60~70 70~80 80~90 90~100

교란요인 ­

표 계속

[ Ⅱ -3-1-3]

조사 결과 2)

년 한려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는 통영시와 거제시에 위치한 산림생태계 지역 2019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포유류 흔적 조사와 격자별 무인센서카메라 대씩 설치하여 포유

14 1

류 조사를 하였다 흔적 조사와 무인센서카메라 조사 결과에서 서식이 확인된 종은 목 . 4 7 과 12 종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법정보호종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 급인 삵 종이 1 확인되었다 표 ( Ⅱ -3-1-4). 또한 외래생물 종 꽃사슴 들고양이 과 가축 종 개 이 확인되 2 ( , ) 1 ( ) 었다 표 ( Ⅱ -3-1-5). 고라니 청설모 멧돼지 종은 모든 조사 지점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 , 3 나타났다 무인센서카메라에 촬영된 종별 상대풍부도 지수 . (RAI) 는 고라니 청설모 순으로 , 높게 나타났고 꽃사슴 삵 들고양이 개의 상대풍부도 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 , , , (

-3-1-2).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