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상으로 동한시대 무위지역에 형성된 회화 표현의 특징과 안료 수 급 양상에 관하여 마저자 지역에서 출토된 목판화, 백화, 벽화 등을 주요 검토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의 요점을 정리 하여 결론으로 하면 다음과 같다.

목판화의 경우 이전과 달리 묘의 매장품으로 사용되어 용도 파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다른 지역에서 거의 출현시키지 않는 목 판화를 서한시대부터 동한시대까지 장기간 지속 출현시키고 있어 목판 화가 감숙지역의 고유한 회화 표현 매체의 하나임을 확인시켜준다.

목판화를 통해 장기적으로 형성시켜온 모필의 선묘 표현법 역시 보 다 유려한 형태로 발전시키면서 하나의 전형화 된 형태로 자리매김 시 키고, 중원지역과의 차이도 거의 내보이지 않는다. 형태 묘사력 역시 전문 화공에 상당하는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중원지역에서 개 량된 붓이 이 지역에서도 직접 제작, 사용되고 있어 중원의 회화 관련 문화의 유입이 이미 광범위하고 밀도 있게 수용, 확산되고 있음을 나 타내준다.

백화의 경우 명정으로서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명정 문구 이외 에 승선과 관련된 일월상 등을 추가하여 표현한 점, 그리고 일월상 안 에 토끼, 두꺼비, 까마귀 등을 표현함으로서 중원지역 모티프에 대한 숙지가 충분히 이루어진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승선 관련 도상을 크 게 간략화 시켜 표현한 점이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승선 관련 모티프

의 생략이 어떤 배경 하에 진행된 것인지 분명하게 말할 수 없지만 도 상 아래 부분을 운문으로 채운 점, 백화 자체는 물론이고 함께 출토된 유물의 채색이 빈약한 점 등을 고려하면 안료 수급의 문제를 간과할 수 없게 한다.

묘실 벽화의 경우 신망시대에 이어 동한시대에도 적극적으로 조성 되지 않아 중원지역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벽화 제작에 효율적이지 못한 토동묘의 지속, 안료를 포함하여 벽화 조성에 필요한 재료 수급 의 미비, 경제적 기반의 취약성 등이 지연 요인으로 고려된다.

벽화 제작 방식에 있어서 중원지역과 다른 특이한 방식들도 나타난 다. 벽돌 자체에 흑, 백 안료를 칠하여 벽면을 마치 기하무늬 벽지와 같은 모습으로 장식하기도 하고, 표현 주제, 선묘 표현법, 채색법 등에 서도 상당히 이질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관이 안치된 후실에 벽화를 그리지 않고 전실에 주로 벽화를 조성한 점, 벽면이나 천정의 중앙에 도상을 배치하지 않고 벽면 한쪽에 치우치게 도상을 배치한 점 등도 특이하다. 차이를 보인 배경을 분명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채색이 거 의 이루어지지 못한 도상들, 4개 벽면에 백회를 칠해놓음으로서 공간 이 넉넉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한쪽으로 도상을 몰아 배치한 경우, 옆 벽면의 도상 일부를 끌어다 중심 벽면에 배치함으로서 벽화 면적을 줄이려고 한 경우, 벽면에 여유가 있으면서도 현실 생활과 관련된 주 제를 적극적으로 묘사하지 못한 경우 등을 고려하면 이 역시 안료 수 급 문제를 간과하여 생각할 수 없게 한다.

동한시대 채색자료에서 용례가 확인되는 안료는 黑, 白, 紅, 朱, 黃 등 5종 정도이다. 분석자료가 제출되지 않아 본 논문에서도 안료의 종 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지만 신망시대에 감숙지역에서 사용 된 동일 색 안료로서 흑색은 墨(C), 백색은 石膏( CaSO4 2H2O), 홍 색은 토홍(Fe2O3), 주색은 주사(HgS), 주황은 연단(Pb3O4) 등의 용 례를 확인시켜주므로62) 여기서도 일단 이들 안료의 사용 가능성에 무 62) 金炳模, 앞의 論文 (東洋文化硏究 24); 陈庚龄ㆍ韩鉴卿, 「甘肃武威磨咀子出 土汉代彩绘木马颜料分析与修复保护」 (文物保护与考古科学 23 -1, 2011) 등

게를 두어야 하는 상황이다. 그리고 신망시대 기타 안료의 용례로서 녹색의 石綠, 청색의 石靑 등의 사용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 안료의 지속적 사용 가능성도 고려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산출지 및 내원지에 대하여는 관련 자료의 결핍으로 인하여 분명하 게 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중원지역과의 정치, 사회, 경제적 밀접성 등을 고려하면 석록, 석청 등을 포함하여 토홍, 주사 등의 경우 중원 지역 및 남방지역으로부터의 유입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그리고 한대에 서역으로의 진출 및 교류가 추진된 바 있기 때문 에 서방으로부터의 유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달리 연단과 같은 안료의 경우 중원지역과 서역 양쪽에서 용례가 거의 나타나지 않 기 때문에 우선 감숙지역 자체 생산 가능성에 무게를 둘 수밖에 없게 된다.

매장된 채색 유물 수량 증가와 표현매체 다양화에 근거할 때 전체 적인 안료 수급량은 이전 시대보다 진전된 것으로 나타나지만 여전히 흑, 백, 홍 3색 위주의 사용에 한정된 모습을 보인다. 게다가 홍색 안 료는 사용 욕구는 큰 것으로 나타나지만 흑, 백 2색 안료에 비해 적극 적 사용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이전과는 다른 개념의 선 염법, 즉 양감을 분명한 형태로 드러내려는 채색법도 출현시키고 있어 중국 채색법 역사에서 간과할 수 없는 자료를 제공한다.

이상의 검토 내용은 여러 측면에서 많은 한계를 포함하고 있지만 중원지역 표현법이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정착된 사실을 확인시킴으로 서, 그리고 안료 수급 기반이 여전히 취약한 상황에 처해 있다는 점을 확인시킴으로서, 나아가 안료 수급 문제가 채색은 물론 도상의 내용 및 배치까지도 제한하는 역할에서 간과될 수 없게 한다는 점을 확인시 킴으로서 이후 위진 및 16국시대에 감숙지역에서 전개되는 회화 표현 법의 분화 및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토대로 기능할 것이다.

참조.

<參考文獻目錄>

(國文 論著)

강현숙, 「中國 甘肅省의 4ㆍ5세기 壁畵墳과 高句麗 壁畵墳의 比較 考察」(한국 고대사연구 35, 한국고대사학회, 2004)

金炳模, 「西漢時代 甘肅地域의 繪畵와 顔料」 (美術文化硏究 8, 東西美術文化學 會, 2016)

金炳模, 「신망(新莽)시대 깐쑤(甘肅)지역의 회화 표현법과 안료 수급-쭈옌(居延) 지역과 우웨이(武威)지역 출토 자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東洋文化硏究 24, 영산대학교 東洋文化硏究院, 2016)

金炳模, 「東漢時代 繪畵 表現法의 分化에 關한 硏究 -墓室 壁畫 分析을 中心으로 -」 (東方學 33, 한서대학교 東洋古典硏究所, 2015)

金炳模, 「戰國秦漢時代 繪畵 表現法의 分化와 經濟 및 交易 問題」 (中國史硏究

86, 中國史學會, 2013)

金炳模, 「繪畵 表現 槪念의 下部構造로서의 彩色 意欲에 關하여 –戰國秦漢時代를 中心으로-」 (東洋古典硏究 52, 東洋古典學會, 2013)

金炳模, 「商周時代의 顔料와 彩色文化 -顔料의 需給樣相과 需要者의 經濟力을 中 心으로-」 (白山學報 91, 白山學會, 2011)

金炳模, 「夏代의 顔料와 彩色文化 -顔料의 使用과 彩色文化基盤의 變化原因을 中 心으로」 (古朝鮮檀君學 25, 古朝鮮檀君學會, 2011)

金炳模, 「中國 新石器時代 陶器의 彩色 表現法과 顔料 需給의 關係 -대문구 유적 과 유만 유적의 채색 도기를 중심으로」 (古朝鮮檀君學 24, 古朝鮮檀君學會, 2011)

金炳模, 「中國 新石器時代 彩陶의 裝飾 槪念과 目的」 (先史와 古代 33, 韓國古 代學會, 2010)

박아림ㆍ권영필, 「高句麗 壁畵와 甘肅省 魏晋時期(敦煌 包含) 壁畵 比較 硏究」

(고구려발해연구16, 고구려발해학회, 2003) (中文 및 日文 論著)

余太山, 西域通史 (鄭州: 中州古籍出版社, 1996)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編, 新中國的考古發現和硏究 (北京: 文物出版社, 1984)

鄭巖, 河西南北朝壁畫墓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院博士學位論文, 2001) 鄭巖, 河西南北朝壁畫墓硏究 (北京: 文物出版社, 2002)

郭永利, 河西魏晉16國壁畫墓硏究 (蘭州: 蘭州大學博士學位論文, 2008) 信立祥, 漢代畫像石綜合硏究 (北京: 文物出版社, 2000)

趙化成ㆍ高崇文 等, 秦漢考古 (北京: 文物出版社, 2002)

湖南省博物館ㆍ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 長沙馬王堆1號漢墓 (北京: 文物出版社, 1973)

甘肅省博物館ㆍ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 武威漢簡 (北京: 中華書局, 2005) 湖南省博物館, 馬王堆漢墓硏究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79)

祝重壽, 中國壁畫史綱(北京: 文物出版社, 1995) 羅世平, 古代壁畵墓 (北京: 文物出版社, 2005)

賀西林, 古墓丹靑 -漢代墓室壁畵的發現與硏究 (西安: 陝西人民美術出版社, 2002)

林巳奈夫, 漢代の文物 (京都: 明文舍, 昭和51) 林巳奈夫, 漢代の神神 (京都: 臨川書店, 平成元年) 土居淑子, 古代中國の畫像石 (京都: 同朋舍, 1986)

施杰, 「意義, 解釋與再解釋-讖書語境與漢畵形相」 (中國漢畵學會ㆍ北京大學漢畵硏

究所 編, 中國漢畵硏究 2, 廣西師範大學出版社)

嘉峪關市文物淸理小組, 「嘉峪關漢畵像磚墓」 (文物 1972-12, 北京: 文物出版社, 1972)

杜斗城, 「河西漢墓記」 (敦煌學輯刊 1992-1ㆍ2, 兰州大学历史系) 浦朝紱, 「武威漢墓的分期與年代」 (西北史地 1990-1)

浦朝紱, 「酒泉漢代墓葬」 (西北史地 1990-2)

黨國棟, 「武威磨嘴子古墓淸理記要」 (文物 1958-11, 北京: 文物出版社, 1958) 張朋川, 「河西出土的漢晉繪畵簡述」 (文物 1978-6, 北京: 文物出版社, 1978) 甘肅省博物館ㆍ嘉峪關市文物管理所, 「嘉峪關魏晉墓室壁畫的題材和藝術價値」 (文

物 1974-9, 北京: 文物出版社, 1974)

甘肅省博物館, 「武威磨咀子3座漢墓發掘簡報」 (文物 1972-12, 北京: 文物出版 社, 1972)

于省吾, 「關于長沙馬王堆1號漢墓內棺棺飾的解說」 (馬王堆漢墓硏究, 北京: 人民 出版社, 1981)

甘肅省博物館, 「甘肅武威磨咀子漢墓發掘」 (考古 1960-9, 北京: 科學出版社, 1960)

安志敏, 「長沙新發現的西漢帛畵試探」 (考古 1973-1, 北京: 科學出版社, 1973) 甘肅省博物館, 「武威雷台漢墓」 (考古學報 1974-2, 北京: 科學出版社, 1974)

陈庚龄·韩鉴卿, 「甘肃武威磨咀子出土汉代彩绘木马颜料分析与修复保护」 (文物保

护与考古科学 23-1, 2011)

Lao Kan, “Six-tusked Elephants on a Han Bas-relief”,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17. 3/4(1954)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