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 연구결과

4.2 시촉각평가의 결과분석

4.2.3 감성모형

감성어휘 유형 III 제곱합 df 평균 제곱 F 유의수준 따뜻해지는 250.326 12.107 20.676 5.554 .000 보송보송한 177.691 13.234 13.426 4.233 .000 평평한 2163.358 12.445 173.833 67.401 .000 매끄러운 1579.160 9.409 167.842 40.808 .000 잘 밀리는 374.972 9.530 39.346 6.406 .000 푹신한 534.851 13.330 40.123 13.657 .000 탄력적인 862.538 6.225 138.561 15.702 .000 유연한 1644.160 13.316 123.476 35.567 .000 두꺼운 1285.715 12.815 100.326 33.829 .000 고급스러운 270.462 12.293 22.001 5.490 .000

[표 9] 시촉각평가의 가죽 간 감성어휘 분산분석

모형 B비표준 계수표준 오차 표준 계수베타 t 유의수준

(상수) -3.233 1.101   -2.936 .008

탄력적인 .374 .119 .654 3.131 .005

유연한 .446 .098 1.113 4.545 .000

두꺼운 .388 .078 .855 4.967 .000

보송보송한 .456 .151 .374 3.018 .007

[표 10] 촉각평가 ‘고급스러움’에 대한 감성요소 회귀분석 4.2.3.1 감성요소 회귀분석

‘고급스러움’을 종속변수로 하고 감성변수 중 유의하게 나온 ‘따뜻해지 는’, ‘탄력적인’, ‘유연한’, ‘두꺼운’을 독립변수로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 였고 그 결과는 아래 [표 10]과 같다.

(R²= 0.663) (F=12.316, 유의수준 0.000)

분석 결과, 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왔으며(F=12.316, 유의수준 0.000),

‘고급스러움’에 대한 감성변수들의 영향을 회귀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고급스러움 = -3.233 + 0.456×보송보송한 + 0.446×유연한 + 0.388×두꺼운 + 0.374×탄력적인

시촉각평가에서의 ‘고급스러움’에 대한 회귀식을 통해서 ‘보송보송한’,

‘유연한’, ‘두꺼운’ 그리고 ‘탄력적인’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을 알 수 있 으며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촉각평가와 같이 4가지 감성이 유의미하게 나왔지만 촉각평가와는 달리 4가지 감성의 영 향력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유연한’, ‘두꺼운’ 그리고 ‘탄력적 인’은 동일하게 ‘고급스러움’에 영향을 주었지만 ‘보송보송한’은 시촉각 평가에서만 나타났다는 것도 확인했다.

4.2.3.2 감성요소와 설계변수 산점도

회귀분석을 통해 ‘고급스러움’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세부감성요 소를 도출하였고, 이 세부감성요소와 관계가 있는 설계변수를 알아보았 다. 설계변수와 세부감성요소간의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점도를 사용하였다. 산점도의 X축은 설계변수의 측정값이고 Y축은 샘플의 세부 감성요소 평균 점수이다. 설계변수가 모든 감성요소에서 선형성을 보이 지 않기 때문에 산점도를 사용하여 설계변수의 값에 따라서 사용자가 얻 는 감성점수를 알아볼 수 있다. 세부감성요소와 높은 상관계수를 보이는 설계변수를 중심으로 산점도를 보았다. 데이터는 24개 가죽에 대하여 54 명의 피실험자들이 평가한 점수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세부감성요소 중 시촉각평가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낸 ‘보송보 송한’은 2가지 설계변수들의 산점도는 아래 [그림 39], [그림 40]과 같다.

우선, ‘보송보송한’과 엠보깊이에서는 2차함수모델이었을 때 가장 높은 R² 값을 가졌으며 (R² = 0.365, p-value = 0.008) 일정 수준(120-150)의 엠보깊이 값을 기점으로 ‘보송보송한’ 점수가 높게 나오는 U형의 그래프 를 보였다. ‘보송보송한’과 흡수력과의 관계에서도 2차함수모델을 사용하 였다(R² = 0.617, p-value = 0.000). 피실험자들은 가죽의 ‘보송보송한’ 감 성을 평가할 때 흡수력 일정 수준(1.2-1.5)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주었고 그 이하나 이상의 값을 가지는 가죽들에게는 값이 낮아지거나 커질수록 낮은 점수를 주었다.

[그림 39] ‘보송보송한’과 엠보깊이의 산점도 [그림 40] ‘보송보송한’과 흡수력의 산점도

‘유연한’은 softness와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으며 산점도는 아래 [그림 41]과 같다(R² = 0.690, p-value = 0.000). softness값을 높게 가진 가죽일수록 피실험자들이 더 유연하다고 평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41] ‘유연한’과 softness의 산점도

‘두꺼운’은 2가지 설계변수간의 산점도를 통해 경향을 알아보았다. ‘두 꺼운’과 두께의 산점도는 아래 [그림 42]와 같고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 인 지수함수모델을 사용하였다(R² = 0.546, p-value = 0.000). 가죽의 두 께가 두꺼울수록 피실험자들은 ‘두꺼운’ 감성을 더 많이 느꼈다는 것을

[그림 42] ‘두꺼운’과 두께의 산점도 [그림 43] ‘두꺼운’과 열전도의 산점도

알 수 있으며 값이 커질수록 감성점수가 올라가는 폭도 커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꺼운’과 열전도와의 관계에서는 2차함수모델을 사용하였 다(R² = 0.459, p-value = 0.002). 가죽의 열전도의 측정값이 올라갈수록

‘두꺼운’ 감성을 느끼다가 열전도의 값이 일정 수준(0.15-0.16)을 지나면 서 ‘두꺼운’ 감성이 낮아지는 것을 아래 [그림 43] 산점도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시촉각평가에서 ‘탄력적인’은 softness와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으며 산 점도를 통해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탄력적인’과 softenss의 관계는 2차함 수모델에서 가장 높은 R²을 가졌다(R² = 0.727, p-value = 0.000). 아래 [그림 44] 산점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피실험자들은 일정 수준(2.5-3.0) 의 값을 가진 가죽을 가장 ‘탄력적이다’라고 평가했으며 그 측정값보다 낮거나 높은 가죽일수록 ‘탄력적인’ 점수를 낮게 주었다.

[그림 44] ‘탄력적인’과 softness의 산점도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