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의서 작성
연구자가 측정에 참여하는 모든 대상자들에게 연구의 목적, 진행 절차 및 주의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 후, 본 측정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원하는 대상자들에 한에 동의서를 받았다.
2) 설문 검사
설문지로는 WHO에서 제공하는 한국형 I-PAQ를 통하여 신체활동량을 조사하고, 활동적 노년 설문지를 통하여 노인의 노년 생활을 파악했다.
(1) I-PAQ(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I-PAQ)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축형을 사용한다.
설문을 통하여 지난 일주일 동안의 신체활동량을 조사하는 도구로서 걷기, 중강도, 고강도 등의 활동에 대한 빈도(day/week)와 시간(min/day)을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 활동적 노화 설문지
활동적 노화에 대한 설문지는 건강, 참여, 안전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건강 척도에 3가지 하위척도에 대한
13문항, 참여 영역에 7가지 하위척도에 대한 30문항, 안전척도의 2개의 하위 척도에 대한 8문항으로 총 5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설문지의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s coefficient α)는 .905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3) 체력 검사
(1) 신체계측
① 신장
대상자의 등이 신장계를 향하도록 선 상태에서 양 발 뒤꿈치를 가지런히 하여 신장계에 붙이고 서도록 한다. 시선은 정면을 향하고 머리는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배와 가슴을 당기고, 체중이 양 발에 고르게 실리도록 한다. 팔은 바닥을 향해 자연스럽게 내린 상태에서 발꿈치, 엉덩이, 견갑골, 후두골이 신장계에 일직선 상에 닿도록 한다. 발바닥에서부터 정수리까지 수직 최단거리를 0.1cm단위로 기록한다.
② 체중, 근육량 및 체지방률
③ 허리/엉덩이/허벅지 둘레
대상자가 양 발을 바닥에 붙이도록 서게 한 뒤 허리를 핀 상태에서 허리둘레는 배꼽 위치, 엉덩이둘레는 엉덩이의 가장 두꺼운 부분, 허벅지둘레는 서혜부 주름과 슬개골의 끝지점의 중간지점에서 장축의 수직방향으로 줄자를 사용하여 0.1cm단위로 측정한 뒤 각각 기록한다.
(2) 체력 측정
체력측정은 Senior Fitness Test(SFT) Manual을 참고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항목은 근력(상·하체), 근지구력,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 유연성, 심폐지구력, 평형성이다.
SFT는 Rikli and Jones(2013)가 개발한 체력 검사 도구로서 안전하고 간편하면서 신뢰성이 높아 노인의 체력을 측정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근력은 악력계(Takei, Japan)와 각근력계(Takei,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① 근지구력
근지구력은 Chair Stand Test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가슴에 손을 X자로 교차한 상태에서 발바닥이 바닥에 평행하도록 17인치 높이의 의자에 허리를 펴고 앉은 상태에서 30초 동안 앉았다 일어나는 횟수를 기록한다.
② 민첩성(8-feet Up-and-Go Test)
민첩성의 측정 방법으로는 8-feet Up-and-Go Test를 실시한다. 뒤 쪽이
가로막힌 공간에 의자를 놓고 대상자로 하여금 어깨를 곧게 편 상태에서 발이 바닥과 평행하게 의자에 앉도록 지시한다. 이 때 엉덩이가 의자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앉게 한다. 대상자가 출발구호에 맞추어 의자에서 일어나 8feet(2.44m)거리에 있는 삼각대를 축으로 하여 돌아서 다시 의자에 앉는데 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한다. 측정은 총 2회 이루어지며 좋은 기록을 취한다.
③ 평형성
정적 평형성은 한발서기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대상자가 눈을 뜬 상태에서 측정하며, 2회 측정하여 더 좋은 기록을 사용한다.
④ 유연성(Chair Sit and Reach test)
하체 유연성은 Chair Sit and Reach Test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17인치 높이의 의자를 준비하여 대상자가 최대한 의자의 등받이에서 먼 쪽에 앉도록 한다. 한쪽 무릎 관절을 90도로 유지하도록 하고, 다른 한쪽 무릎을 편 상태에서 양손을 오른쪽 발 끝으로 최대한 뻗었을 때 손의 중지 끝과 발끝 사이의 거리를 1cm 단위로 측정한다. 발끝을 넘지 않으면 ‘-’로 표기한다. 2회 측정하여 좋은 기록을 사용한다.
2분간 실시 횟수로 기록한다.
⑥ 악력 (Hand Grip Strength test)
상체 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손가락의 제 2관절이 직각을 이루도록 악력계(Takei, Japan)를 쥔 상태에서 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악력계가 몸통이나 하체에 닿지 않도록 한 뒤, 좌우 교대로 2회씩 측정하여 그 평균을 기록한다.
측정은 0.1kg 단위로 이루어진다.
⑦ 하지근력(Isometric Leg Strength) 검사
각근력 검사는 하지 근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검사로 전자 각근력계(TAKEI, Japan)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대상자는 각근력계에 앉아 양다리를 걸고 약120도 슬관절 내각에서 최대 근력을 발휘 하도록 하였고, 2회 측정하여 높게 나온 값을 사용 하였다.
(3) 혈액 분석
혈액분석 대상자는 암 병력이 있거나 당뇨, 고지혈증을 지니고 있지 않은 대상을 선별하여 복지관 관리자와 어르신 모두에게 동의를 받은 총 109명을 실시하였다.
혈액 분석을 위하여 12시간 이상의 공복을 유지한 상태에서 오전 9시에 실시하였다. 채혈을 실시하기 전 대상자들에게 유의사항을 전달 및 설명하였으며 채혈 및 혈액분석은 (주)녹십자랩셀에 의뢰하여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