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참고문헌

Abrahamson, K., Hass, Z., Morgan, K., Fulton, B., & Ramanujam, R.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reported safety culture and the patient experience.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6(12), 662-668.

Angela, C., Ray, F., & Jocelyn, C. (2009). Measuring patient experience:

concepts and methods.

The KingsFund, 7(3), 235-241.

Doi:10.1007/s40271-014-0060-5

Arah, O. A., Westert, G. P., Hurst, J., & Klazinga, N. S. (2006).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OECD 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8 Suppl 1, 5-13. Doi:10.1093/intqhc/mzl024

Browne, K., Roseman, D., Shaller, D., & Edgman-Levitan, SHa. (2010).

Measuring patient experience as a strategy for improving primary care.

Health affairs, 29(5) 921-925.

Chae, Y. M. (2014). The creative society, hospital service innovation

implementing patient experience and service design strategies.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9(4), 69-78.

Cho, S. K. (2018).

Effects of patient's hospital use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motive on patient experienc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Choi, A. R. (2010).

Nurses’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 Intensive care unit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Choi, N. H., Kim, J. H., & Kim, H. l. (2021). The influence of patient- centeredness on patient safety perception among inpatients. PLOS One, 16(2)(e0246928.).

Davis, R. E., Sevdalis, N., Jacklin, R., & Vincent, C. A. (2012). An examination of opportunities for the active patient in improving

patient safety. Journal of Patient Safety, 8(1), 36-43.

Doi:10.1097/PTS.0b013e31823cba94

Do, Y. K., LEE, J. Y., Lee, H. Y., Jo, M. W., Kim, E. N., & Ok, M. S.

(2015).

Development of patient centricity evaluation model.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onaldson, M. S., Corrigan, J. M., & Kohn, L. T. (2000).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National Academy Press 2000.

Doyle, C., Lennox, L., & Bell, D. (2013). A systematic review of evidence on the links between patient experience and clinical safety and effectiveness. BMJ open, 3(1). Doi:10.1136/bmjopen-2012-001570 Han, J. Y., & Park, J. W. (2020).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providing patient experience-oriented medical Services. A Hospital HRD Research Workforce Development Research. 22(21), 77-102.

Han, S. K., & Kim, T. H. (2019). What hospital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patient experiences. Public Health Affairs, 3(1), 121-132.

Her, E. K., Ahn, S. Y., & Kim, K. H. (2019). A study on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of appropriate outpatient medical services of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0), 351-357.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2018, July 8).

1st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Retrieved from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1000100

&brdScnBltN=4&brdBltNo=9640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2020, July 8).

2st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Retrieved from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1000100

&brdScnBltN=4&brdBltNo=10093

Hwang, B. D., & Kim, Y. J. (2018). Evaluation of patient-centered

healthcare provision in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based on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2(3), 1-11.

Jo, S. K. (2018).

Effects of patient's hospital use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motive on patient experience[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ahn, S. A., Iannuzzi, J. C., Stassen, N. A., Bankey, P. E., & Gestring, M.

(2015). Measuring satisfaction: factors that drive hospital consumer assessment of healthcare providers and systems survey responses in

a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population. The American Surgeon, 81(5), 537-543.

Kang, S. J., & Park, J. Y. (2019). Patient safety perception and patient

participation among hemato-oncology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19(4), 224-232.

Kemp, K. A., Chan, N., McCormack, B., & Douglas-England, K. (2015).

Drivers of inpatient hospital experience using the HCAHPS survey in a canadian setting. Health Serv Res, 50(4), 982-997.

Doi:10.1111/1475-6773.12271

Kim, E. N. (2018). Reporting heterogeneity in patient experience: applying the anchoring vignette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30(suppl_2), 40-40.

Kim, J. E., Lee, N. J., Jang, S. M., & Kim, Y. M. (2016).

Healthcare service consum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Unpublished master's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im, K. J., Lee, E. H., & Shin, S. H.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tient safety perception scale for hospitalized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0(4), 404-416.

Kim, M. R. (2011).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41(1): 1-8.

Kwon, E., & Park, K. (2019).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in small-and medium-sized hospital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9(1), 428-452.

Lee, J. H., & Lee, S. I. (2009). Patient safety: The concept and genera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Quality Assurance Health Care, 15(1), 9.

Lee, K. S., Kim, JA., & Lee, WJ. (2017). The influence of inpatient's experience on hospital recommendation intention-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condition.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2(3), 133-143.

Lee, S. K., & Lee, S. H. (2020). Effects of healthcare service experience factor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ocus on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Business Administration, 21(2), 1-21.

Lee, Y. H., & Chang, H. J. (2019). Analysis of voice of customer for

patient experience management. Health Service Management, 13(4), 13-25.

Park, J. H. (2020). Effects of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importance, patient safety culture and nursing service qualit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6(3):181-191.

Park, S. J., Choi, E. H., Lee, . KS., & Chung, KA. (2016). A study on

perception and nursing activity for patient safety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1), 332-339.

Peat, M., Entwistle, V., Hall, J., Birks, Y., & Golder, S. (2010). Scoping

review and approach to appraisal of interventions intended to involve patients in patient safety.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15, 17-25.

Pronovost, P. J., Weast, B., Holzmueller, C. G., Rosenstein, B. J., Kidwell, R.

P., Haller, KB., et al., (2003). Evaluation of the culture of safety:

survey of clinicians and managers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BMJ Quality & Safety, 12(6), 405-410.

Rubens., Rothwell., Al Zayadi, A., Sundaresan, S., Ramsay, T, &

Forster, A. (2018). Impact of patient characteristics on the Canadian Patient Experiences Survey-Inpatient Care: survey

analysis from an academic tertiary care centre. BMJ Open, 8(8), e021575. Doi:10.1136/bmjopen-2018-021575

Shin, S. H. (2020).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atient safety activity experience, patient safety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9), 405-415.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August 8).

First publicly available results of the "Health care patient experience assessment"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

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5664 Safety, W. P.,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patient safety

version 1.1:

final technical report January 2009 (No. WHO/IER/PSP/2010.2).

World Health Organization.

Wolf., & Jason, A. (2014). Defining patient experience. patient experience journal, 1(1), 7-19.

Yoon, Y. S. (2018).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measure of safety and intention to revisit in hospitals.

Retrieved from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0010

<부 록>

연구대상자 설명문 및 동의서

안녕하십니까?

저는 서울아산병원에 재직중이고 울산대학교산업대학원에 재학중인 최자영입니 다.

이 연구는 학술적 목적으로 시행되며 본 설명문은 연구의 전반적인 과정과 목적 을 설명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본 연구의 참여는 전적으로 귀하의 의사 결정에 달려 있으며 참여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전혀 불이익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본 연구의 참여는 귀하가 원하신다면 언제든지 철회 가능하며 예상되는 불이익이 없습니다. 아울 러 연구대상자는 거짓 없이 설문 기재 부탁드립니다. 귀하가 본 연구를 통해 제 공한 정보는 모두 익명으로 처리될 것입니다.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환자경험평가는 환자가 병원에 입원하면서 실제적으로 느낀 사실을 설문지를 통해 점수화 하는 것으로 의료 서비스의 핵심이며, 환자의 관점에서 치료의 질 을 반영하기 때문에 의료 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하고 의료서비스 수준 을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환자경험평가는 환자중심의료를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환자중심성은 개인이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때 존중받을 권리가 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중요 하고, 개인중심 치료가 의료 서비스 이용 및 건강 결과의 개선과 관련이 있습니 다. 환자중심 의료는 의료인이 환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환자의 자 율성을 강조하며, 환자 존중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입원하면서 경험한 병원서비스를 일반적 특성, 의료이용과 관련하여 파악하고, 환자안전인식이 환자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의료서 비스 개선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2. 연구방법

이 설문지는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에서 입원 치료 후 퇴원예정인 환자 222명 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환자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의료의 질을 개선하고자 합니 다.

환자경험평가는 입원해 있는 동안 간호사, 의사 서비스, 투약 및 치료과정에서 의 경험, 병원환경, 환자 권리보장 등을 확인합니다. 환자안전인식도는 의료진 이 행하는 행위를 평가, 환자의 안전인식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환자경험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환자안전인식이 환자경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것입 니다.

설문지의 배포 및 회수는 연구자가 직접 시행합니다. 대상자가 국문 해독은 가 능하지만 설문지를 읽어 주기 원하는 경우 읽어주고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하 겠습니다. 설문에 소요되는 시간은 15분에서 20분 정도입니다. 참여시 소정의 답례품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3. 정보 수집 및 제공

본 동의서에 서명함으로서 연구진이 귀하의 개인의 정보 및 설문 자료를 수집하고 사용하는데 동의하게 되며, 연구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이며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 을 것입니다.

1)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목적

귀하가 제공한 모든 정보는 연구 목적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목적이 변 경될 경우에는 사전에 동의를 구할 것입니다.

2)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동의서, 설문지 등 관련된 모든 서류는 암호화하여 연구자 외에는 접근할 수 없도록 보관할 예정이며 연구자에 의해서만 자료가 다루어지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연구가 끝난 후에는 향후 점검을 위해 연구 종료 후 3년

동안 보관을 할 예정이며, 보관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종이문서

는 파쇄하고 전자문서는 영구적으로 삭제할 예정이다

4. 개인정보에 대한 비밀보장

본 연구에서 수집되는 개인정보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유무, 퇴원 후 거주지, 진료과, 입원경로, 입원경험 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입원기간, 입원중 경험한 소음입니다. 수집된 대상자의 자료는 연구자의 보완된 컴퓨터에 보관되 어 연구자만 접근 가능하도록 잠금 장치를 할 예정이며 연구대상자는 일련번호 를 기록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할 예정입니다.

5. 연구참여와 철회

귀하가 원치 않으시면 언제든지 연구를 철회할 수 있으며, 연구 참여는 종료됩 니다. 귀하가 연구를 취소하더라도 불이익은 없습니다.

본 연구에 궁금한 것이 있다면 언제든지 연구 담당자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습 니다.

연구 담당자: 최자영

지도교수: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교수 박정윤 전화: 02-3010-6159

핸드폰: 010-8603-2875

연구 참여 동의서

연구 과제명: 일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환자경험과 환자안전인식의 관계

“본인은 본 연구와 관련된 모든 설명을 듣고 이해하였으며, 모든 궁금 한 사항에 대하여 충분한 답변을 들었습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생각 한 이후에 본인은 상기 연구에 참여하기를 자발적인 의사에 의하여 동 의합니다. 또한 본인은, 본인의 개인정보를 사용하고 공유하는 것을 허락합니다.

이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합니다.

연구대상자 성명__________ 서명__________ 서명일 ____________________

연구자 성명__________ 서명__________ 서명일____________________

다음은 각각 해당사항이 있는 경우에만 서명하십시오.

본 대리인(친권자 또는 배우자 등)은 연구대상자의 의사표현능력 결 여로 동의가 불가능하여, 연구대상자를 대신하여 임상연구 참가에 동의

합니다.

연구대상자의 대리인 성명__________ 서명__________ 서명일 ____________________

연구대상자와의 관계 ( )의 ( )

본인은 연구대상자가 동의서 및 기타 문서화된 정보를 읽지 못하는 상 황에서, 담당 의사가 본 임상연구에 대하여 연구대상자(또는 대리인) 에게 충분히 설명하였고 연구대상자(또는 대리인)는 설명을 이해하고 임상연구의 참여를 동의(가능한 경우, 자필 서명)하였음을 확인합니다.

공정한 참관인 성명__________ 서명__________

서명일____________________

본 연구에 대해 질문이 있거나 연구 중간에 문제가 생길 시 다음 연구 담당자에게 언제든지 연락하십시오.

연구 책임자: 최 자 영

소속: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전화번호: 010-8603-2875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동안 임상연구 참여자로서의 권리에 대한 질문이 있는 경우 또는 연구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누군가와 상담을 원하는 경우에 아래의 번호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임상연구보호센터: 02-3010-7285

서울아산병원 임상연구 심의위원회: 02-3010-7166

설문지

1.다음 문항은 환자경험평가입니다. 입원기간 중 느끼신 정도에 표기하여 주 시기 바랍니다.

문항

전혀

그렇지 않았다

그렇지 않았다

그랬 다

항상 그랬 다 1. 담당 간호사는 귀하를 존중하고 예의를 갖추었습니까?

2. 담당 간호사는 귀하의 이야기를 주의깊게 들어주었습니까?

3. 담당 간호사는 병원생활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 주었습니 까?

4. 담당 간호사는 귀하가 도움을 필요로 할 때, 귀하의 요구를 처리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습니까?

5. 담당 의사는 귀하를 존중하고 예의를 갖추어 대하였습니까?

6. 담당 의사는 귀하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들어 주었습니까?

7. 귀하나 보호자가 담당 의사를 만나 이야기할 기회가 자주 있었습니까?

8. 귀하는 담당 의사의 회진시간 또는 회진시간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으셨습니까?

9. 투약이나 검사, 처치 전에 그에 대한 이유를 알기 쉽게 설명해 주었습니까?

10. 투약이나 검사, 처치 후에 생길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 주었습니까?

11. 귀하의 통증을 줄이기 위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였습니까?

12. 귀하의 질환에 대하여 위로와 공감을 받았습니까?

13. 퇴원 후 주의사항과 치료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았습니 까?

14. 병원은 전반적으로 깨끗하였습니까?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