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결론

Dalam dokumen 제20회 기부문화심포지엄 (Halaman 118-127)

(1) 뉴 노멀 시대의 등장과 대응

• COVID-19 사태의 확산, 4차 산업혁명 등과 함께 뉴 노멀 시대가 도래함. 향후 기 업 사회공헌활동은 보다 ‘디지털화’되어야 하며 새롭게 등장하는 이슈들을 ‘포착’

하고 사회공헌 요구를 ‘파악’해 실제 프로그램에 ‘반영’해야 함.

•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의 가속화로 비대면, 디지털화 사회로 옮겨감에 따른 새로 운 사회 문제가 일어날 것으로 예견됨. 지원방식의 변화, 수혜자, 기부자와의 접 점의 변화, 시민들의 새로운 생활방식, 경제 운용 방식으로 인해 대두되는 새로운 유형의 문제에 대해 선제적인 인식, 발굴, 제안 노력이 필요함.

• 새로운 이슈들의 감지와 함께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즉각적 대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현장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NPO, 소셜벤처 등 외부기관과의 파트너십이 확 대·강화될 것으로 예측됨.

(2) 파트너십의 중요성

• 사회공헌과 관련된 다양한 주체의 파트너십, 협력에 있어서 각 주체의 특성을 서로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콜렉티브 임팩트 프로젝트의 성공을 좌우할 수 있는 사회성과 측정, 커뮤니케이션, 중추 조직 등의 이슈가 중요해질 것으로 예측됨.

• 특히 기업 입장에서는 사회 문제에 대한 전문성, 현장과의 밀접한 접촉과 운용 경 험을 갖춘 비영리 조직과 지속적으로 협력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질 것임.

• 기업 담당자들 중에서는 기업이 지난 10여년간 사회적 책임과 사회적 가치에 대 한 이해도를 높여온 데 비해, 비영리 조직의 역량과 전문성 발전은 상대적으로 느 리다고 보는 경우가 있었음. 또한 목표, 관점, 언어 등의 측면에서 비영리 조직과 일하는 것이 어렵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았음. 이를 고려하여 비영리 조직 역시 적 극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적 가치 증진 활동과 관련된 목표, 관점, 언어 등을 이해하고 상대의 입장을 헤아리려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 동시에 사 회문제 해결에 있어서 차별화된 역량과 전문성을 갖추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 특히 기업에게는 고객이 중요함. 기업은 사회에 공헌하기 위한 지원활동을 전개 하지만 궁극적으로 그 사회를 구성하는 고객 및 잠재고객을 위한 공헌을 하기 위 해 노력하고 있음. 따라서, 기업의 목표와 관점, 언어를 이해하기 위한 일환으로 소비자가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고 생각하는지 파악하려는 노력이 비영리 섹터에 서도 필요함. 소비자의 선호와 선택은 시장에서 압력으로 형성되어 기업을 자극 하는 동인으로 작동함. 따라서, 비영리 섹터에서도 사회문제 해결의 수혜자나 기 부자 관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기업, 그리고 기업의 중요 파트너인 일반고객으

로까지 시선을 확장할 필요가 있음.

• MZ세대의 중요한 특성으로 사회적 이슈, 윤리적 소비에 관심이 많다는 점이 기 존 연구에서 제시되었으나, 본 연구 결과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이 발견됨. 본 연 구에서 제기한 윤리적 소비 및 사회적 가치에 대한 세대별 관점의 차이, 특히 MZ 세대를 포괄하여 윤리적 소비에 대한 세대적 관점의 차이를 다룬 선행 연구가 부 족한 상황임. 따라서 정교한 후속 연구를 통해 세대분석의 함의점 및 대응 전략을 도출할 필요가 있음.

• 또한 MZ세대의 의도와 행동 간의 차이(intention-behavior gap) 역시 실증적으 로 분석할 필요가 있음. 특히, 새로운 세대가 가치 있게 여기는 기부 방식, 매체, 사회적 가치, 사회 문제, 윤리적 소비 행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심층적인 연구 가 필요함.

참고문헌

국세청(2008). 국세통계연보 2008.

국세청(2009). 국세통계연보 2009.

국세청(2010). 국세통계연보 2010.

국세청(2011). 국세통계연보 2011.

국세청(2012). 국세통계연보 2012.

국세청(2013). 국세통계연보 2013.

국세청(2014). 국세통계연보 2014.

국세청(2015). 국세통계연보 2015.

국세청(2016). 국세통계연보 2016.

국세청(2017). 국세통계연보 2017.

기빙인덱스 (2015).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기빙코리아. (2018). 제18회 기부문화심포지엄 기빙코리아 2018.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17.

김소영, 노법래, 조원희, 이창숙, 전예지, 유재윤. (2018). 2018 민간나눔자원 총량 추계 및 나눔지 수도출(최종본).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노연희, 박미희, 노법래, 전현경, 유재윤, 강수진. (2020). 2020 기부 트렌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마크로밀엠브레인. (2018). ‘기부 경험’및 ‘기부 문화’관련 인식 조사. 리서치보고서 2018권12호.

박미희, 노법래, 전현경, 유재윤, 강수진. (2019). 2019 기부 및 사회이슈 트렌드. 사회복지공동모금 회 나눔문화연구소.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2020). 비영리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력, 위기, 그리고 기회들 http://asq.kr/OSVFbZj4ycDYj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2020). 코로나19와 기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요약: 대유행 기간(2020년 2-5월)을 중심으로.

양지은, 우원석. (2015). NGO와의 파트너십과 적합성이 CSR 활동 성과평가에 미치는 영향. 마케 팅관리연구, 20(2), 119-151.

오양래. (2019). 영국자선재단(CAF)의 2018 세계기부지수 (2) http://asq.kr/Fb1mpBi24wsYi 장윤주. (2018). 국내 기부 총액(1999~2018). http://asq.kr/ITIq3vLkJSk08i

2012 전경련 사회공헌백서, 2012 전경련 사회공헌백서, 2016 전경련 사회공헌백서,

Aaker, J., Vohs, K. D., & Mogilner, C. (2010). Nonprofits Are Seen as Warm and For- Profits as Competent: Firm Stereotypes Matte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7(2), 224--237.

Aquino, K. & Reed, A.(2002), “The Self-Importance of Moral Ident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6), 1423-1440.

NPC. (2020). How philanthropists should respond to coronavirus. : https://www.

thinknpc.org/resource-hub/coronavirus-guide/

World Economic Forum. (2020). The Global Risk Report 2020. 15th Edition. Figure II:

The Global Risks Landscape 2020.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제20회 기부문화심포지엄

Giving Korea 2020

부록

Tel 02-766-1004 E-mail research@beautifulfund.org

(03035)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19길 6 (옥인동13-1)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기부문화연구소는 2001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기부문화 전문 연구소입니다. 우리 사회에 건전한 기부문화를 뿌리내리고 효과적인 기부와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연구 조사를 수행합니다. 또한 글로벌 연구 파트너로 참여 하여 글로벌 스탠다드를 학습함과 동시에 한국의 현황과 좋은 사례를 널리 알리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양한 워크숍 및 컨퍼런스를 통해 비영리단체 실무자의 전문성을 높이고, 기부확산을 장려하기 위한 세제 및 제도를 연구하여 제안합니다. 궁극적으로 한국 사회 기부문화의 질적 향상을 이루는 초석이 되고자 합니다.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합니다

■ 기부문화심포지엄‘기빙코리아’

2001년 시작된 기빙코리아는 기부 행동과 인식을 조사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기부지수입니다. 2015년까지는 개인기부조사와 기업기부조사를, 2016년 개편 이후에는 비영리기관조사와 개인기부조사를 격년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도 세 번 째로 역사가 오래된 기빙코리아는 기부참여율, 평균기부금액, 기부처, 기부 방법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제기부지수 산출 에 협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통계인 사회조사 내에 기부 문항이 추가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실무자와 연구자들이 활용 할 수 있도록 매년의 분석 결과와 원데이터를 공개하고, 발표행사를 개최합니다.

■ 기획연구

기부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비영리기관의 모금능력 향상 및 효과적인 정책생산을 위해 필요한 연구를 기획하여 수행합니다.

고액 및 자산기부, 유산기부 활성화를 위한 “계획기부 연구 시리즈”와 법제도 개선연구를 통해 관련 정책변화를 견인해 왔습니 다. 비영리 투명성 강화, 법제도 현실화 및 기술변화에 따른 비영리 대응전략 등 다양한 주제의 기획연구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 협력과 파트너십

Doing Good Index 공익활동환경평가지수

공익활동에 대한 규제, 세금 및 재정정책, 정부 조달, 생태계 4개 분야를 조사하여 지수화한 지표입니다. 개인, 기업기부자, 사회서비스단체가 공익영역에 참여할 수 있는 최적의 상황을 모색하고, 분야별 좋은 사례 제시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아시아 18개국이 참여하는 이 조사는 홍콩의 CAPS(Centre for Asia Philanthropy and Society)와 함께하고 있습니다.

Global Philanthropy Index

인디애나대학(Indiana University Lilly Family School of Philanthropy)과 기부금의 국제 흐름, 글로벌 기부 비교 연구를 수행합니다.

나눔지식네트워크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의 네트워크 한양대학교 사회혁신센터의 SSIR(Stanford Social Innovation Review) 출간 파트너십

Association for Research on Nonprofit Organization and Voluntary Action(ARNOVA) 멤버 International Society for Third-Sector Research(ISTR) 멤버

Worldwide Initiatives for Grantmakers Support(WINGS) 멤버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의 연구자료는 기부문화연구소 웹사이트(https://research.beautifulfund.org/)를 통해 열 람하실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연구위원

기부문화연구소장 소장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기부문화분과 부소장 한동우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교수

연구위원 노연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구위원 박철 고려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연구위원 이민영 고려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구위원 조상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교수 연구위원 정진경 광운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연구위원 김성주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School of Social Work 교수 연구위원 김수경 단국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연구위원 노법래 세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구위원 조의행 서울신학대학교 국제관계학 교수

연구위원 정복교 Kean University,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교수 연구위원 한상훈 연세대학교 인지과학/심리학과 교수

기업사회공헌분과 부소장 전상경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파이낸스 경영학과 교수 연구위원 강형구 한양대학교 파이낸스경영학과 교수 연구위원 이창민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교수 연구위원 신현상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교수 연구위원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제도법제분과 부소장 박 훈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교수

연구위원 서희열 강남대학교 세무학과 교수 연구위원 송헌재 서울시립대 경제학과 교수 연구위원 허원 고려사이버대학교 세무학부 교수

Dalam dokumen 제20회 기부문화심포지엄 (Halaman 118-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