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貢茶의 첫 사례는 周 건국 초로 매우 일찍 시작되었지만 상례적인 상공이 이루어져 貢茶制度가 확립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오 랫동안 차의 소비와 문화는 생산이 가능한 지역을 중심으로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차 생산지는 주로 淮水이남지역에 밀집해 있었고 통일왕조는 중원에 도읍하고 있었던 환경조건으로 중원지역까지 차 문 화가 보급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중원에 도읍한 왕 조의 황실에까지 차의 수요가 형성되기까지 차는 주목받는 貢品이 아 니었다. 周 건국 초에 나타났던 공차의 사례는 그 뒤 차나무의 생장이 가능한 지역에 도읍한 南朝의 東晋과 宋으로 이어졌지만 여전히 상례 적인 틀을 갖추지는 못했다. 황실의 차 수요에 대한 상례적인 공급은 오히려 御茶園의 설치를 통해 먼저 확립되었다.

8세기에 이르러서야 차는 중국인의 보편적인 음료로 자리잡게 되었

獨記官焙三十二 東山之焙十有四 北苑龍焙一 乳橘内焙二 乳橘外焙三 重院四 壑 嶺五 謂源六 范源七 蘓口八 東宫九 石坑十 建溪十一 香口十二 火梨十三 開山 十四 南溪之焙十有二 下瞿一 濛洲東二 汾東三 南溪四 斯源五 小香六 際會七 謝坑八 沙龍九 南鄉十 中瞿十一 黄熟十二 西溪之焙四 慈善西一 慈善東二 慈惠 三 船坑四 北山之焙二 慈善東一 豐樂二.”

86) 宋子安, 東溪試茶録, 北苑.

87) 趙汝礪, 北苑别録, “右四十六所 廣袤三十餘里.”

고 중원에 도읍한 왕조의 황실에서도 차 문화가 정착되었다. 唐朝는 상례적인 貢茶制度를 운영하게 되었고 16州에서 매년 정해진 수량의 차를 상공받았다. 동시에 顧渚山에 御茶園을 설치하여 황실차라는 차 별성을 강조하였다.

貢茶制度가 상례화되어 확립된 시점은 이미 차의 사회 경제적 가치 가 높아지기 시작한 때였다. 차가 전국적으로 유통되고 소비되면서 차 의 생산면적이 증가하였고 專業化가 진척되어 갔다. 여전히 고대적 土 貢의 방식으로 차가 공납되고 있었지만 한편에서는 稅茶에 이어 차에 전매가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국가의 새로운 재원으로서의 역할을 시작 하였다.

차의 사회 경제적, 나아가 군사적 가치가 높아지면서 고대적 土貢의 방식인 貢茶制度와 재정적 군사적 활용도가 높았던 茶의 專賣制度가 공존하기 어려운 시점에 도달하게 되었다. 宋朝에 이르면 차의 생산은 국내외 차 수요를 충분히 공급할 정도 이상에 도달하였고 송조는 차 전매제도의 시행에서 재정적 국방적 활용도를 매우 높였다. 강성한 북 방민족의 흥기에 대항해 국방비의 지출이 높을 수밖에 없었던 宋朝 입 장에서 재원확보와 그 활용에 방해되는 요소들은 과감히 제거해야할 필요성이 고조되었다. 차 전매제도를 통한 재정적 군사적 활용도가 높 았던 만큼 차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소비를 방해하는 요소는 더욱 예 외일 수 없었다. 이에 宋朝는 전통적인 土貢방식의 貢茶制度를 포기하 고 황실차를 北苑茶로 단일화하면서 품질의 차별화를 통해 황실차의 권위를 높이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咸平2年(999) 30餘 州에 달하는 차 생산지에서 올리던 貢茶가 폐지 되었고 建安 北苑에 설치된 御茶園에서 황실차가 독점 공급되기 시작 하였다. 이후 福建 建安의 北苑에서는 지속적인 품질 제고를 통해 황 실차의 권위를 높여갔다. 福建의 차 생산을 담당했던 建劒의 차는 龍 ㆍ鳳ㆍ石乳ㆍ的乳ㆍ白乳ㆍ頭金ㆍ蠟面ㆍ頭骨ㆍ次骨ㆍ末骨ㆍ麤骨ㆍ山挺 의 12등급으로 나뉘는데 石乳 이하는 민간에서도 제작되고 판매되었 다. 용차와 봉차는 황실의 차였는데 황실차의 발전은 태종 太平天國

(976-983)初 龍鳳模를 설치하면서 서민과의 차별화를 본격적으로 진 행시켰다. 이후 小龍團, 瑞雲翔龍으로 이어지면서 40여 품에 달하는 황실의 특별한 차가 제작되었고 龍團勝雪의 제작으로 그 정점을 찍었 다.

咸平2年(999)년 50餘州의 土貢을 폐지하고 이어 30餘州의 貢茶를 폐지한 조치는 그후 시간에 따라 다른 土貢은 다시 회복되었지만 다수 지역의 貢茶는 폐지가 유지되었다. 北苑貢茶로 황실차의 공급을 단일 화하면서 황실차의 권위를 높여가는 방식은 매우 효과적으로 진행되었 다. 紹興25年(1155) 諸州의 貢物을 폐지할 때는 오히려 北苑貢茶만은 유지할 정도로 北苑茶는 황실의 수요와 문화를 상징하는 것이 되었다.

송대의 공차제도는 다수 지역으로부터의 공차 공급을 포기한 것이 었지만 북원공차의 단일화는 비용적인 면에서나 품질의 제고 측면에서 나 황실차의 권위와 위상을 높이는데 충분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다수 지역의 공차 폐지가 결코 황실을 위한 비용을 절감한 것은 아니 었다. 단지 당시의 경제와 국제적 환경이 요구하는 상황에 따라 방식 을 효과적으로 바꾸었을 뿐이었다.

<參考文獻目錄>

陳椽, 茶業通史 (北京: 農業出版社, 1984) 鞏志, 中國貢茶 (杭州: 浙江攝影出版社, 2003)

沈冬梅, 茶與宋代社會生活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7) 陳椽, 茶業通史 (北京: 農業出版社, 1984)

李斌城ㆍ韓金科, 中華茶史(唐代卷) (西安: 陝西師範大學出版總社有限公司, 2013)

傅築夫, 中國經濟史論叢(下) (北京: 三聯書店, 1980) 孫洪升, 唐宋茶業經濟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1) 姚國坤 等編著, 中國茶文化 (上海: 上海文化出版社, 1991) 朱重聖, 北宋茶之生産與經營 (臺北: 臺灣學生書局, 1985) 武金山, 「宋代家伎與宋代士人的休閒生活」 (中國史硏究 68, 2010)

徐銀美, 「宋代 福建地域 茶 生産의 特徵과 地域文化」 (中國史硏究 24, 2003) 徐銀美, 「茶書와 宋代 茶文化」 (中國史硏究 32, 2004)

徐銀美, 「南宋時代 茶法의 운용과 私茶」 (東洋史學硏究 127, 2014)

(中文提要)

唐宋时期的贡茶和官營茶园(北苑茶)

徐銀美

贡茶最早起源于西周建国时期, 但这只是贡茶的萌芽. 贡茶制度的确立 经历了很多时期. 原因是在很长一段时期内, 茶叶的需求和茶文化主要局 限于茶叶原产地. 而茶叶产地主要集中在淮河以南地区, 而实现统一的王 朝多建都在中原地区. 因而茶文化在中原地区的普及其间经历了很长时间.

进而直到建都在中原地区的皇室对于茶需求出现为止, 茶叶并不是备受关 注的贡品. 西周初期的贡茶一直延续到之后在茶树可生长地建都的南朝东 晋和宋代, 但是在西周初期仍然没有形成一种惯例,皇室贡茶制度变成一 个常例是随着设立御茶园而最先确立起来.

直到公元8世纪, 茶才成为中国人的日常饮品, 茶文化也扎根在中原地 区的皇室. 唐朝时期, 开始实行贡茶制度, 16州每年要向皇室上贡规定数 量的茶, 同时在顾渚山设立御茶园专为皇室贡茶,以彰显皇室茶的品质.

贡茶制度正式确立是在茶叶社会经济价值开始已经不断增加的时期. 茶 在全国范围内流通、销售, 茶叶生产面积不断不断扩大, 茶叶生产更加专 业化. 茶贡制度发展成为一种土贡, 然而之后皇室实行的税茶制度和茶叶 专卖制度, 成为唐朝财政收入的新来源.

随着茶的社会经济价值, 军事价值不断增加, 作为土贡制度之一的茶 贡制度, 与财政军事作用较强的茶专卖制度两者间出现了难以共存的局 面. 宋朝时期, 茶生产已经达到可以充分满足国内外需求以上的程度, 茶 专卖制度也保证了当时政府的财政收入和中央集权. 强悍的北方民族兴起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