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년에 일본학자 山田賢은 중국 비밀결사에 대한 그의 개설적인 연 구서에서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보면, 천지회의 기원전설은 황당무계 한 점을 면할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嘉慶 16년(1811) 이전까지 소급 되는 시기에 ‘원형’이 출현하고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청중의
‘참가’에 의해 계속해서 ‘팽창’을 한 이야기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원전 설은 현실에 일어난 사건을 모방한 ‘역사’로서 해석할 수 없다.”고 언 급하였다.67) 이는 천지회 기원전설의 ‘원형’과 ‘팽창’(=각색)의 문제를 매우 적절히 지적한 말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山田賢이 최종적으로 ‘팽 창한 이야기’의 판본으로 선택한 것이 바로 平山周本 기원전설이였는 데, 그 이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孫文 등은 會黨을 反淸運動의 진영으로 흡수하고자 적극적으로 공작하 였고, 그 과정에서 회당 비밀결사에 관한 귀중한 자료가 나오게 되었던 것이다. 그 하나가 일본인 平山周가 著作한 支那革命黨及秘密結社이다.
…… 손문과 친교를 맺은 이후 평산주는 손문에게 협력한 한 사람으로서 혁명의 과정에 투신하였고, 회당의 영수들과도 접촉의 기회를 거듭 갖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평산주의 기술은 적어도 辛亥革命 전야의 회당 비 밀결사에 대한 일면을 비교적 정확하게 전해주는 史料라고 생각해도 좋 을 것이다.68)
이후 山田賢은 平山周本을 “동시대의 증언”69)이라고까지 극찬하며 계속해서 천지회의 기원전설과 입회의식 등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 다. 그러나 위와 같은 山田賢의 서술은 이미 본문에서 지적한 것처럼 평산주본의 ‘白蓮會’․‘天地會’․‘三合會’ 부분이 스탠튼본의 ‘번역판’이 기 때문에 사실상 그 의미를 상실하고 만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평
67) 山田賢, 中國の秘密結社 (東京: 講談社, 1998), p.68.
68) 山田賢, 中國の秘密結社, pp.63-64.
69) 山田賢, 中國の秘密結社, p.64.
산주본이 출판된 1911년 당시에는 아마도 이러한 정황을 몰랐기 때문 에 평산주본은 이듬해인 1912년 中國秘密社會史라는 중문판으로 번 역되어 上海의 商務印書館에서 출판되었다.70) 또한 평산주본에서 ‘백련 회’․‘천지회’․‘삼합회’의 일부분은 평산주가 古研氏라는 필명으로 1912년 東方雜誌에 中國秘密會黨記 라는 제목으로 다시 게재하였 고,71) 나아가 徐珂가 1917년 편찬한 淸稗類鈔의 會黨類 에도 부분 적으로 소개되기도 하였다.72) 이처럼 산전현은 천지회 기원전설의 각 색과 변천을 바라보는 명확한 시각을 갖고 있었지만, 평산주본 기원전 설에 대한 기본적인 사료적 이해를 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면할 길은 없을 것이다.
山田賢에 대한 이러한 비판 자체는 천지회의 기원전설을 역사적 사 실로서 간주하는 일부 康熙派 학자들에게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들은 기원전설을 역사적 사실에 대한 중요한 사료적 근거로 삼아 康 熙年間에 천지회가 최초 창립되고 雍正年間에 그것이 개조되었음을 강 조한다. 그러나 기원전설 각 판본에 보이는 西魯의 침입시기와 천지회 의 창립시기에 대한 비교․분석의 결과가 보여주듯이 기원전설에서 천 지회 창립 시기의 불일치는 사실상 각 지역의 천지회에 의해서 口傳되 고 抄寫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일종의 ‘오류’에 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오류는 후대의 天地會人이 기원전설 각 판본에서 강희연 간으로 고정된 西魯의 침입시간을 康熙 13년(1674) 이전 혹은 이후로 이해하는 것에 따라서 천지회의 창립시기인 甲寅年이 康熙 13년 혹은 雍正 12년(1734)으로 선택될 수 있었던 상황을 통해서 확인된다. 결국 천지회의 창립시기에서 중요한 것은 강희연간 혹은 옹정연간이라는
‘특정한 시기’가 아니라 天干에 甲이 들어간 갑인년이라는 ‘특정한 해’
70) 平山周, 中國秘密社會史 (北京: 商務印書館, 2011; 上海: 商務印書館, 1912 原刊), pp.1-87.
71) 古研氏, 中國秘密會黨記 (東方雜誌 8, 1912-10), pp.1-11.
72) 徐珂 編撰, 會黨類 (淸稗類鈔 8, 北京: 中華書局, 1986; 原刊 1917), pp.3627-3658.
였던 것이다. 게다가 천지회 창립시기의 구체적인 날짜가 3월 25일이 나 7월 25일로 되어 있는 차이도 기원전설이 각색되어 변천하는 과정 에서 소림사가 소실된 날짜인 3월 25일과 천지회가 창립한 날짜인 7월 25일의 ‘혼동’에 의해 발생한 것에 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오류’와 ‘혼동’은 소림사의 소재지를 비롯하여 기원전설에 등 장하는 여러 가지 장소들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지만, 청대 천지회 가 발전하는 정황에 발맞추어 기원전설이 각색되고 변천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정착되어 간다. 소림사가 위치한 장소의 경우, 소림사 의 소재지는 처음에 천지회의 기원지인 福建에서 멀면 멀수록 신비로 운 색체가 가미될 수 있는 甘肅이나 심지어 四川으로 상정되었지만, 이러한 색체는 천지회의 출현과 발전 상황과 발맞추어 원래의 기원지 인 복건으로 위치 지워진다. 그리고 그것은 적어도 明代까지 南少林寺 의 활동 무대로 이름난 곳 중의 하나인 九蓮山이라는 특정 지명으로 고정화 되었던 것이다. 천지회의 창립지 역시 高溪廟에서 紅花亭으로 바뀌고 있는데, 이러한 일정한 흐름은 적어도 하한연대가 늦은 외국어 본의 경우에 잘 드러나 있다.
이밖에도 少林寺五僧이 소림사의 소실 이후 淸軍의 추격을 피하여 이리저리 도망치며 유랑하는 과정에서 등장하는 주요 장소는 처음에는
‘少林寺→長沙灣口→高溪廟’였다. 그런데 기원전설의 계속적인 각색과 변천의 과정에서 새로운 이야기들의 출현에 발맞추어 새로운 장소들이 증첨된 결과 ‘少林寺→長沙灣口→高溪廟→靈王廟→紅花停’으로 증첨되 었고, 이후 다시 龍虎山(혹은 龍光山)․烏龍崗(烏江)․岳神廟(혹은 太 平寨 白鶴林)․下普庵 등의 여러 장소들은 기원전설에서 이미 고정화 된 주요 장소 사이에 추가되어 편입되어 들어간 것이다. 이러한 흐름 에서 본다면, 기원전설의 선행 자료로서 康熙 40년(1701) 이후의 머지 않은 시간에 출현하였다고 평가받아온 三滴水贊 이란 詩句는 일부 강 희파의 주장인 ‘시구의 散文化’와는 정반대로 오히려 이야기 형태의 기 원전설이 출현한 이후에 구성원들이 그것을 함축적으로 읊조렸던 시구 였음을 보여주는 이른바 ‘산문의 詩句化’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셈
이다.
요컨대 천지회 기원전설에서 그것의 서사 구조를 이루고 있는 시 간․장소․인물․이야기는 결사의 창립 이야기를 마치 역사적 사실처 럼 그럴듯하게 만들어내기 위해 구성원들이 허구적 상상력을 동원한 창작의 결과물이다.73) 따라서 청대에 출현한 천지회 기원전설 판본의 현황과 특징이 보여주듯이 그것의 각색과 변천 과정은 그야말로 구성 원들 간의 口傳과 抄寫에 의한 오류와 혼동으로 점철되어 있었다고 말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오류와 혼동의 과정 속에서 각색과 변천의 일정한 방향성을 읽어내는 것이야말로 천지회 기원전설 판본의 현황과 특징을 연구하는데 하나의 중요한 척도가 됨을 본고는 잘 보여 주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사료>
(乾隆)欽定平定臺灣紀略 (臺北: 臺灣银行经济研究室, 1961)
中國人民大學淸史硏究所․中國第一歷史檔案館 合編, 天地會 1 (北京: 中國人民 大學出版社, 1980)
羅爾綱 編著, 天地會文獻錄 (香港: 實用書局, 1942)
徐珂 編撰, 淸稗類鈔 8 (北京: 中華書局, 1986; 原刊 1917)
蕭一山 編, 近代秘密結社史料 (上海: 上海文藝出版社, 1991; 1935년 影印本) 庾裕良․陳仁華 等編, 廣西會黨資料彙編 (南寧: 廣西人民出版社, 1989)
洪順堂 編, 靝黑氣㞧錦囊傳 (壬辰年(1892)仲秋刊板, 丙午歲(1906)孟夏重修, 臺灣:
古亭書屋, 1975).
古研氏, 中國秘密會黨記 (東方雜誌 8, 1912-10)
平山周, 支那革命黨及秘密結社 (日本及日本人 569, 1911; 平山周, 支那革命黨 及秘密結社, 東京: 長陵書林, 1980 覆刻本)
平山周, 中國秘密社會史 (北京: 商務印書館, 2011, 上海: 商務印書館, 1912 原刊) Gützlaff, Charles, “On the Secret Triad Society of China, chiefly from Papers
belonging the Society found at Hong Kong”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73) ‘천지회 기원전설의 각색과 변천’이라는 주제에서 본고에서 부득이하게 언급 하지 못한 각 판본의 인물과 이야기의 비교를 비롯하여 그것의 의미에 대해서 는 이평수, 淸代 天地會 起源傳說의 脚色과 變遷 -인물과 이야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明淸史硏究 41, 2014)를 참조하기를 바란다.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VIII, 1846)
Hoffmann, Johann Joseph, “Bijdragen tot de kennis der geheime genootschappen van de Chinezen, T’iȇn-ti-hoei” (Bijdragen tot de Taal-, Land-, en Volkenkunde van Neȇrlandsch-Indiё, vol.Ⅱ no.3, 1853, pp.293-298)
Milne, William, “Some account of a secret association in China, entitled the Triad Society”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Ⅰ, 1826-2)
Pickering, William Alexander, “Chinese secret societies and their origin”
(Journal of the Straits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1, 1878)
Pickering, William Alexander, “Chinese secret societies: PartⅡ” (Journal of the Straits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3, 1879)
Schlegel, Gustave, Tian Ti Hui: The Hung League or Heaven-Earth-League:
a Secret Society with the Chinese in China and India (Vatavia: Lange &
Co, 1866)
Stanton, William, “The Triad Society or Heaven and Earth Association” (The China Review ⅩⅪ-ⅩⅫ, 1894․95)
Stanton, William, The Triad Society or Heaven and Earth Association (Hongkong: Kelly & Walsh, 1900)
Ward, John Sebastian Marlow & Stirling, William George, The Hung Society or The Society of Heaven and Earth Vol.Ⅰ (London: The Baskerville Press, 1925)
Williams, Samuel Wells, “Oath taken by members of the Triad Society and notices of its origin” (Chinese Repository XVIII, 1849-6)
<연구서>
유장근, 근대중국의 지역사회와 국가권력 (서울: 신서원, 2004) 조훈, 중국 기독교사 (서울: 그리심, 2004)
餘繩武․劉存寬 主編, 十九世紀的香港 (北京: 中華書局, 1994) 秦寶琦, 洪門眞史 (福州: 福建人民出版社, 2000)
秦寶琦, 中國洪門史 (福州: 福建人民出版社, 2012)
赫治淸, 天地會起源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院出版社, 1996) 胡珠生, 淸代洪門史 (瀋陽: 遼寧人民出版社, 1994)
山田賢, 中國の秘密結社 (東京: 講談社, 1998)
孫江, 近代中國の革命と秘密結社 -中國革命の社會史的硏究(1895-1955)- (東京:
汲古書院, 2007)
佐佐木正哉, 淸末の秘密結社: 前篇天地會の成立 (東京: 巖南堂書店, 1970)
Blythe, Wilfred, The Impact of Chinese Secret Societies in Malaya: A Historical Stud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9)
Haar, Barend J. ter, Ritual and Mythology of the Chinese Triads: Creating 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