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 표현 요소를 도출하여 활용 방향성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선행연구를 통한 도시 어메니티의 개념 이해로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활성화 필요성에 대해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도시의 불쾌한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는 고가도로 하부공간은 도시 어메니티 측면으로 활용되어 도시 삶에 있어 쾌 적한 상태를 누릴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기존 지역 단절 문제까지 해결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두 번째, 위와 같은 목적을 수립하기 위해서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도시의 긍정 적인 요소로 인식하여 폭넓은 가치 분석과 인근 지역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하 였다.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도시적 측면으로 바라본 입지유형에 따라 분석해 4가 지(자연 입지형·주거 입지형·상권 근접형·혼합형)로 도출해 이미지 개선 방향과 어떠한 관계 회복을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분석했다. 더 나아가 활용특성 5 가지(환경성·접근성·경제성·공공성·정체성)와 활용 표현 요소 3가지(물리적 측면·
활동적 측면·도시적 측면) 도출을 통해 구체적인 활용 방향성을 제안했다.
세 번째, 국내와 국외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사례 를 조사 및 분석하여 국내외 비교분석과 유형별, 특성별 정리를 통해 도시 어메 니티 향상을 위한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 자연 입지형은 인근 자연환경과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인공적 이미지 대비가 크게 나타나 해당 고가도로 하부공간에 자연 이미지를 대입하여 환경성을 높이 고, 접근성을 고려해 유동인구를 증가시킨다. 더불어 주변 지역 환경 및 지리적 콘텐츠를 파악해 관련한 공간과 이용자들을 위한 교육·소통 프로그램을 대입한 다. 이를 통해 도시 경관의 연결된 이미지를 구축한다.
- 주거 입지형은 인근 지역민의 생활관계가 깊이 연결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주 민들의 접근성을 고려해야하며, 지역민 요구를 반영하여 주민 생활체육공원, 생 활 상업시설, 다목적 광장 등의 공간을 대입해 정체성을 높인다. 가장 현실적인 인근 지역의 네트워크 파악을 통해 공간의 프로그램 구성하여 기존 고가도로 하 부공간 자체의 지역 단절 문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 상권 근접형은 유동인구는 많으나 특정 인구 파악이 어려워 인근 상권 콘텐츠 를 분석하거나, 해당 지역의 역사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콘텐츠를 공간 에 대입하여 지역의 고유 이미지를 수립한다. 또한 유동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특 징 파악이 어려운 곳은 문화예술 공간 혹은 시설물 설치를 통해 쾌적한 보행문 화와 도시의 미적 감각을 향상시킨다.
- 혼합형은 다양한 유형 혼합으로 구체적인 파악이 어려워 광장 또는 쾌적한 공 간 자체를 제공하여 환경성을 높이고, 복잡하게 얽혀있는 도시 네트워크에 도심 잉여공간을 공공공간으로 제공하여 더불어 도시민 자체적인 이용을 통해 도시 속 공공성을 높인다. 이를 통해 도심 속 새로운 가변형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도 록 하며, 쾌적한 공간 이미지를 향상시킨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오랫동안 도시와 함께 계획된 고가도로의 밑에 공간인 고가도로 하부공간은 지금까지 연결된 다양한 지역들과 깊숙한 네트워크 를 형성하고 있었다. 인근 네트워크와 인구 특징 분석을 통해 그에 맞는 공간을 제시하였고 도시 단절과 불쾌한 공간으로 인식되던 고가도로 하부공간이 도심 속 다양한 기대효과를 나타내는 쾌적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쾌적한 상태와 그러한 상태를 위한 도시기반시설을 구축하 는 도시 어메니티 관점으로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활성화 방안을 도출했다는 점 에서 단순히 도심 속 활용되지 않는 공간을 재활용만 하거나 새로운 공간으로만 활용하고자 하는 다른 연구와 차별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도시의 문제가 되고 있는 고가도로 하부공간을 다양한 상호관계 파악과 목적 수립을 위 한 활용 방안 도출, 그에 따른 기대효과를 통해 불쾌한 공간으로 인식되는 것이 아닌 가능성 공간으로 새롭게 인식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도 시 상호관계를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수도권이나 중심지역으로 대상지를 한정하여 고가도로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지역의 구체적인 방안 마련을 못 했다 는 점에서 그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서울시 ‘고가도로 하부공간 재활성화 사 업’과 더욱더 긴밀하게 연계하여 수도권을 시작으로 전국적인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을 위한 법규나 정확한 유형 구별 제도마련을 위한 연구가 더욱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 참고문헌 】
1. 단행본
사카이겐이치, 환경을 넘어서는 실천사상 AMENITY , 도서출판 따님, 1998.
2. 정기간행물
김경숙, 김미선, 고가도로하부 유휴공간 활성화 사례분석을 통한 도시어메니티 향상 방안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3, 2015.
김지훈, 유진형,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고가하부 활용 공간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5 No.-, 2015.
양혜린, 정혜진, 고가 하부 공간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 표대회 논문집, Vol.38 No.1, 2018.
3. 학위논문
권민정, 도시 어메니티 강화를 위한 뮤지엄 리노베이션 공간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김인환, 어메니티를 활용한 문화도시 활성화 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김지영, 고가 하부 공간을 활용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3.
김지훈,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홍 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남동현, 도심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고가도로 하부공간 공공디자인 연구, 동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남상국, 도시 교량 하부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박상욱, 도시재생을 위한 어메니티 활성화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박영빈, 공공디자인 요소로서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7.
심소희, 초고층 오피스 건물 어메니티 공간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1.
양재영, 서울시 고가차도 하부공간을 활용한 공공체육시설 입지 접학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오민정,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입지유형에 따른 공공공간 계획요소 중요도 분석, 연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윤다혜,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생활체육시설 선호도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조필기, 도시마케팅요소를 적용한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주명옥, 도시 공공공간의 어메니티 추구형 장소마케팅 전략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9.
4. 보고서
김선희, 「미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국토 어메니티 발굴과 창출전략」, 국토연구원, 2007.
김현호, 오은주, 「어메니티를 활용한 지역발전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7.
민승현, 「서울시 고가 하부공간의 재구성 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2014.
서울특별시, 「고가하부공간 활용사업 타당성조사 및 종합계획」, 서울특별시, 2017.
전영옥, 「어메니티가 도시 경쟁력이다」, 삼성경제연구원, 2003.
지경배, 「강원도 농촌어메니티 자원실태 및 활용방안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2007.
5. 웹사이트
“고가도로”,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 thod=view&MAS_IDX=101013000731832
“고가도로 밑 공터 공공장소로 개발”, 서울연구원. https://www.si.re.kr/node/5902
“고가도로 하부공간 재생 프로젝트, 다락옥수”, KIDP. http://www.designdb.com/i ndex.html?menuno=676
“남향대교 하부에 ‘브릿지 수변테마공원’”, 부산일보, http://www.busan.com/view/
busan/view.php?code=20100728000136
“버려진 상록수역 교각 하부 공간주민들의 스포츠, 문화공간으로 태어나”, 네이버블
로그. https://blog.naver.com/cityansan/140133297647
“어메니티”,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 thod=view&MAS_IDX=101013000878131
“의정부 행복누리공원”, 라펜트. https://www.lafent.com/mono/News/?ncode=Read News&news_id=5735
“From SS”,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rchur&log No=220889055552
“I-5 Colonnade”, 위키패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5_Colonnade
“Freswater Lens”, Urban Art Project. https://urbanartprojects.wordpress.com/2010/
03/23/freshwater-lens-judy-watson/
“In Tronto, a Likabled Space Arrives Underneath a Located Expressway”, CityLA B.https://www.citylab.com/design/2018/02/in-toronto-a-likeable-space-arriv es-underneath-a-loathed-expressway/553187/
“jose marti Park Adaptive Redesign”, Comperirions. https://competitions.org/201 9/02/jose-marti-park-adaptive-redesign/
“Kogane Studio”, A travel Guide For Creative Tuorists. http://www.shift.jp.org/g uide/yokohama/others/kogane-studio.html
“The Hong Kong Federation of Women T.S. Kwok Service Center”, Archdaily.
https://www.archdaily.com/130190/the-hong-kong-federation-of-women-t-s- kwok-service-centre-barrie-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