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 사례분석

2.2 국외

1) A8ernA

사례 개요

공간명 A8ernA 위 치 네덜란드 암스텔담 활용년도 2006

배 경

인구 고밀도 지역 형성에 따른 고가도로 설치 후 지역의 교류 차단을 초래. 하부공 간은 기존에 주차장로 방치되어 지역 단절이 더해지고 있었음. 지역주민들의 요구 에 의해 보트장, 축구장, 카페, 꽃가게 등으로 개선되었음. 이로써 지역 교류가 증 가하고 새로운 네트워크 형성의 장으로 다시 태어남.

이미지

분석 내용

활용유형 주거 입지형 공간용도 생활체육공원, 상업시설 등

활용 특성

A. 환경성 기존 주차장 환경개선 후 쾌적성 높임 B. 접근성 교통 시스템 정리로 접근성 높임 C. 경제성 인구증가에 다른 상권 활성화 D. 공공성 새로운 지역 네트워크 형성

E. 정체성 지역 강변 역사와 연계한 콘텐츠 도입

활용 표현요소

물 리 적 생활 체육시설, 안전시설 설치 및 실내공간 조성 활 동 적 수변공간과 연계한 체육 프로그램 운영 및 상권 형성

도 시 적 예술작품, 색체 장식으로 활기찬 이미지 형성 및 주변 지역들을 연결 사례에 따른 도시 어메니티 향상 효과

[표 40]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사례 B-01

‘A8ernA’는 네덜란드 암스텔담 A8 고속도로에 위치하고 있으며, 암스텔담 북 동쪽의 Zaan강을 따라 형성된 인구 고밀도 지역이 형성되어 건설된 고속도로는 양측 마을을 양분화시켰다.47) 폭 40m, 길이 2.4km의 개발형 하부공간이 형성되 어 일부 공간은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곳곳은 빈 공터로만 남아있어 단절된 두 지역과 함께 삭막한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2003년 Zaanstadt시 의회는 양분된 도시의 연결 및 지역 사회 활성화를 위해 고가도로 하부공간의 공공공간으로 계획을 실행했다. 시민들의 높은 이용률을 위 해 보트장·축구장·카페·꽃가게·슈퍼마켓 등의 다양한 공간을 계획하였다.48) 이에 따라 지역 교류가 증가하고 새로운 네트워크 형성의 장이 되었다. 또한 지역주민 들의 네트워크를 위한 다양한 교육·소통·문화형성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도시기반시설을 넘어선 하나의 지역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활용 전

활용 후

[표 41]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사례 B-01 이미지

47) 김지훈, 유진형,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고가하부 활용 공간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 자인학회논문집, Vol.35 No.-, 2015, p.55

48) op. cit., p.48

2) I-5 Colonnade Park

사례 개요

공간명 I-5 콜로네이트 공원 위 치 미국 시애틀 활용년도 2007

배 경

1960년대 고가도로가 설치된 이후 두 지역의 단절을 초래함. 기존의 통행금지와 접 근금지 울타리가 있던 공간으로 방치되어 도시 삭막한 이미지가 더해지고 있었음.

주민, 비영리 단체, 공공기간과의 공동 회의를 통해 인근 산림과 연계한 새로운 레 크레이션 공간으로 개선되었음. 이로써 도시의 활기찬 이미지 효과를 나타냄.

이미지

분석 내용

활용유형 자연 입지형 공간용도 산악자전거 공원

활용 특성

A. 환경성 접근금지 공간에서 체육공간으로 이미지 개선 B. 접근성 인근 산악자전거 코스와 연계해 유동인구 증가 C. 경제성 주변에 상권 형성되지 않음

D. 공공성 산악자전거 이용자만 이용가능 E. 정체성 지역 자연과 연계한 콘텐츠 도입

활용 표현요소

물 리 적 흙, 통나무 등 자연요소를 이용하여 코스 조성

활 동 적 대회, 교육 등 산악 자전거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운영

도 시 적 도시 생활 속 즐길 수 있는 익스트림 스포츠로 차별된 이미지 형성 사례에 따른 도시 어메니티 향상 효과

[표 42]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사례 B-02

‘I-5 Colonnade Park’는 미국 시애틀 E. Newton Street 남쪽 5번 주간 고속도 로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가도로 설치 후 두 지역의 양극화는 극명하게 분리되고 있었다. 또한, 고가도로 하부공간은 통행금지와 함께 접근금지 울타리가 있던 공 간으로 방치되어 도시 삭막한 이미지가 더해지고 있었다.

비영리 단체, 공공기관과의 공동 회의를 통해 인근 산림과 연계한 새로운 레크 레이션 공간으로 개선되었다. 이로써 도시의 활기찬 이미지 효과를 거두었다. 초 반 2007년에는 자전거 공원으로 계획되었지만, 2008년에는 고급 트레일을 추가하 면서 산악자전거 전문 공원으로 탄생했다.49) 단순한 공간 제공뿐만 아닌 대회·교 육 등과 같은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자 하였으 며, 공공성이 극대화된 남녀노소 이용 가능한 공간보다는 전문적이고 소수이지만 끊임없이 방문할 수 있는 집중된 타겟 설정을 통해 새로운 방식의 이용률 증가 를 보이고 있다.

활용 전

활용 후

[표 43]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사례 B-02 이미지

49) “I-5 Colonnade”, 위키패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I-5_Colonnade

3) Tubot Street Overpass

사례 개요

공간명 Tubot Street Overpass 위 치 호주 브리즈번 활용년도 2010

배 경

과거 식민지시대 이전 Tubot Street 지역은 다양한 부족의 원주민들이 모여 무역, 교류를 했던 지역이지만, 현재는 브리즈번의 중심 업무지구로 그 지역 역사성을 잃 어버림. 공공 예술 프로젝트를 통해 역사적 가치를 되살리고, 이로써 쾌적한 도보 공간과 문화예술의 공간이 함께하는 효과도 나타냄.

이미지

분석 내용

활용유형 상권 근접형 공간용도 공공미술 설치 및 휴게공원

활용 특성

A. 환경성 공공 예술작품 설치 후 심미성 높임 B. 접근성 번화가 지역으로 유동인구가 많음 C. 경제성 주변 상권과 연계성 낮음 D. 공공성 시각적 쾌적성 높임

E. 정체성 지역 역사와 연계한 콘텐츠 도입

활용 표현요소

물 리 적 보행자 전용 도로, 시민 편의시설 설치 및 예술작품 장식 효과 활 동 적 연계된 프로그램 미보유 및 공간만 제공

도 시 적 도시 역사·문화 공간 형성으로 지역 정체성 구축 사례에 따른 도시 어메니티 향상 효과 [표 44]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사례 B-03

‘Turbot Street Overpass’는 호주 브리즈번 중심 업무지구 Roma Street에 위치 하고 있으며, 이 지역은 과거 식민지 시대 이전 다양한 부족 원주민들이 모여 무 역·교류를 했던 지역이었다. 하지만 식민지 이후 지리적 역사성을 잃어버린 채 현대 도시 개발에 의해 중심 업무지구로 고가도로 하부공간은 보행자 전용도로 로만 조성되어 있었다.

호주 원주민 예술가 Judy Watson의 공공예술 프로젝트 제안을 통해 옛 도시 공간의 역사적 가치를 다시 나타내고자 하였다. 도시 내 오아시스를 연상할 수 있는 녹청색의 구조물과 조경 식재를 조성함으로써 과거의 원주민들이 자연친화 적이며 자연스러운 교류를 상기시키고, 기존 보행에서 문화예술과 함께하는 보행 문화를 마련하고자 하였다.50) 특별한 목적의 공간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기존 보 행 이용률이 매우 높아 보행을 위주로 시각적 쾌적성을 높였다. 또한, 도심의 미 적 감각을 향상시켜 공공성을 보완했다.

활용 전

(이미지없음)

활용 후

[표 45]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사례 B-03 이미지

50) “Freshwater Lens”, Urban Art Project, https://urbanartprojects.wordpress.com/2010/0 3/23/freshwater-lens-judy-watson/

4) 2K540

사례 개요

공간명 2K540 위 치 일본 도쿄 활용년도 2010

배 경

에도시대에 전통 공예로 유명한 지역이었지만, 급격한 도시 발전으로 지역 특색을 잃어버림. 기존 주차장, 불법 창고 적재로 방치되어 도시의 삭막함이 더해지고 있었 음. 소수 장인과 예술가들의 협동을 통해 전통 공예품, 장인 거리로 개선되었음. 이 로써 지역 전통을 살리고 새로운 네트워크 형성을 나타냄.

이미지

분석 내용

활용유형 상권 근접형 공간용도 전통공예·공방 거리

활용 특성

A. 환경성 기존 불법 적재물 환경개선 후 쾌적성 높임 B. 접근성 인근 지하철과 연계해 유동인구 증가 C. 경제성 지역 장인과 주변 상권 활성화

D. 공공성 지역 장인 보존과 도시 관광지로서의 역할 E. 정체성 지역만의 역사·문화 콘텐츠 활성화

활용 표현요소

물 리 적 실내공간 조성 및 외벽은 갤러리형 장식 효과

활 동 적 상권 형성 및 워크숍, 플리마켓 등 자체적인 운영, 네트워크 형성 도 시 적 지역 특색의 콘텐츠 활성화를 통한 도시 정체성 구축 및 관광지 등극

사례에 따른 도시 어메니티 향상 효과 [표 46]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사례 B-04

‘2K540’은 일본 도쿄 JR 아키하바라 역과 오카치마치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 며, 기존 주차장·창고 등의 빈 공터로 남아있어 고가도로로 인하여 사람의 소통 이 단절되는 현상이 나타났다.51) 또한 이 지역은 에도시대에 일본 전통 공예품을 생산하던 장인 지역이었지만 산업화와 인구과밀로 인해 지역 전통성은 잊어버리 고 산업화 도시로 삭막한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전통 공예품을 만들고 파는 공간과 더불어 장인들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시설을 제공하였다. 공방과 공예품 판매점, 체험 공간 등의 다양 한 공간과 프로그램 등을 통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다.52) 전시회, 워크숍 등 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끊임없이 전통문화에 기여하는 지역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 공예 장인 마을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하여 도시 관광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활용 전

활용 후

[표 47]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사례 B-04 이미지

51) op. cit., p.54

52) 김지훈,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p.45

5) T.S. Kwok Service Center

사례 개요

공간명 T.S. Kwok Service Center 위 치 홍콩 활용년도 2011

배 경

홍콩의 번화가에 위치하여 기존 보행자 전용 도로만 존재했었음. T.S. Kwok 재단 의 문화 예술 기부를 통해 문화공간으로 개선되었음. 이로써 쉽게 접할 수 있는 미 술을 일반인들에게 제공하고, 도시의 잉여공간의 재활용을 통해 사회적 기업 이미 지를 더욱 단단하게 만듬.

이미지

분석 내용

활용유형 상권 근접형 공간용도 문화시설 및 커뮤니티시설

활용 특성

A. 환경성 일반 통행로에서 문화공간으로 이미지 개선 B. 접근성 양 측에 차로로 접근성 낮음

C. 경제성 주변 상권과 연계성 낮음 D. 공공성 도시 문화예술 프로그램 진행

E. 정체성 사회적 기업의 문화예술 브랜드 이미지 구축

활용 표현요소

물 리 적 실내공간 조성 및 외벽은 투명성 강조로 외부에서 전시물 관람 가능 활 동 적 전시, 워크숍 등 문화 콘텐츠 유치

도 시 적 개선된 이미지 효과 없음

사례에 따른 도시 어메니티 향상 효과 [표 48] 고가도로 하부공간 활용사례 B-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