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헬레네 찬사』의 찬양 방식과 효과 그리고 정치적 메시지를 분석했다.
이소크라테스는 헬레네를 쾌락(hedonē)을 유발해 결국 그릇된 판단을 가져오는 여인이 아닌, 현명한 판단을 끌어내는 원동력으로 부각했다. 먼저 그는 테세우스를 현명한 아테네의 통치자로 강조하며 테세우스의 헬레네 납치를 현명한 판단 중 하나로 반전시켰으며, 파리스를 신들이 인정한 판관이었음을 강조하고 파리스의 선택이 욕정이 아닌 올바른 판단에 기반한 것이라 보았다. 또한 그리스 지도자들의 헬레네를 향한 구혼과 맹약을 한 마음 한 뜻이 되기로 합의한 이성적인 판단으로 해석했고 그 원동력을 헬레네에게서 찾았다. 요컨대 이소크라테스는 헬레네의 아름다움을 현명한 판단력을 발휘하도록 숨을 불어넣는 탁월함(aretē)으로 반전시켰다.
또한 이소크라테스는 트로이아 전쟁을 헬레네에 의해 촉발된 재앙으로 해석하지 않는다. 그는 트로이아 전쟁을 합종연횡(stasis)하던 그리스인이 한 마음 한 뜻으로 뭉치게 한 전쟁이라 역설했고 유럽을 대표하는 그리스가 아시아를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어 자유를 얻게 된 전쟁이라 묘사했다. 더불어 전쟁에 참여한 그리스의 영웅들은 비극적으로 삶을 마친 것이 아닌 헬레네 덕에 신격화되었고 서사시에서 찬양 받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헬레네의 아름다움이 판단 착오와 재앙을 불러오는 것이었다면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이다. 이렇듯 판단 착오를 일으키는 아름다움과 트로이아 전쟁의 재앙적 결과와 결부된 헬레네의 평판을 뒤엎은 이소크라테스의 『헬레네 찬사』는 헬레네 재해석의 한 획을 그었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헬레네 찬사』의 남다른 점은 이소크라테스의 정치적 견해가 함축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큰 일을 주제 삼아 정치적으로 유익한 연설을 써야 한다는 도입부의 조언은 본론에서 실제로 적용됨으로써, 도입부가 본론의 '설계도'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테세우스 서사는 다른 저작들의 아테네 묘사, 기원전 370년대의 시대상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이 글이 당대 아테네를 위한 글이자 시대상을 고발하고 진단하고 있다 분석했다. 또한 헬레네 구혼자들의 태도을 통해 이상적인 그리스를 쟁취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고 트로이아 원정의 동기와 이득 묘사를 통해 이소크라테스가 범그리스주의 원정의 조영(照影)을 드러내려 했음을 파악했다. 결국 본고가 해석한
『헬레네 찬사』 속 이소크라테스의 정치적 메시지란, 오랫동안 스파르타의 횡포에 억눌려 있던 기원전 370 년대의 아테네인은 자부심을 가지라는 것이었고 전 그리스의 유능한 지도자가 될 자격이 있다는 격려였다. 게다가 이소크라테스는 비단 아테네인뿐만 아니라 모든 그리스인에게도 페르시아와 합종연횡하며 서로 뒤엉킨 분쟁을 끝마치고
'범그리스주의'라는 새로운 목표를 가져야 한다는 정견을 제시했다. 이소크라테스가
단순히 아테네 편향적인 정견 제안을 넘어서 당대 산적한 그리스의 병폐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이고 시의적절한 관점(doxa)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헬레네
80
찬사』의 정치적 메시지는 특별하다 할 수 있으며, 정견 전달의 장(場)을 의회 연설뿐만 아니라 부각 연설까지 넓혔다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헬레네 찬사』가 실제로 아테네 정치에 끼친 영향력도 후속 연구의 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Hamilton 의 연구에 따르면 이 연설에서 이소크라테스가 강조한 바들이 제2 델로스 동맹의 규정이 쓰인 비석 '아리스토텔레스 법령'에 대부분 반영되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Hamilton 1980, 95). 또한 Seager 는 확실히 『헬레네 찬사』와
『파네귀리코스』는 당대상을 잘 진단하는 작품이며 이 작품들과 제 2델로스 동맹의 창설 의의가 비슷한 맥락을 가진다고 분석한다(Seager 1994, 588-599). 앞으로 이소크라테스
『헬레네 찬사』의 작성 연대가 더욱 명확히 규명되고 각 논지들의 정치적 메시지와 이후 실제 역사적 사건을 더욱 면밀히 비교해 본다면, 『헬레네 찬사』의 실질적인 영향력을 더욱 정확히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81
82
참고문헌
이소크라테스 저작 원전 편집본 및 주석, 번역서
이소크라테스, 『그리스 대 축전에 부쳐(파네귀리코스)』, 『그리스의 위대한 연설』.
김헌 외 역, 서울: 민음사, 2015.
_____, 『교환소송(Antidosis)에 관하여』, 김헌 역,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Bons, J., Poietikon Pragma: Isocrates Theory of Rhetorical Composition. With a Rhetorical Commentary on the Helen, Maastricht: Gieben, 1997.
Drerup, E., Isocratis Opera Omnia, Leipzig: Nachdruck der Ausgabe, 1906.
Mathieu, G., Isocrate, Discours, tome I-IV, Paris: Les Belies Lettres, 1929-1962.
Mirhady, D., Too, Y. L., Isocrates I,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0.
Norlin, G., Isocrates I,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28.
Van Hook, L., Isocrates III,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45.
기타1차 문헌 원문 및 번역
아르킬로코스 외, 『고대 그리스 서정시』, 김남우 역, 서울: 민음사, 2018.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시학』, 천병희 역, 파주: 숲, 2017.
_____, 『니코마코스 윤리학』, 강상진, 김재홍, 이창우 공역, 서울: 길, 2011.
에우리피데스, 『헬레네』,『에우리피데스 비극전집1』, 천병희 역, 파주: 숲, 2009.
크세노폰, 『경영론·향연』, 오유석 역, 서울: 부북스, 2015.
_____, 『헬레니카』, 최자영 역, 서울: 아카넷, 2012.
퀸틸리아누스, 『스피치 교육: 변론법 수업』, 전영우 역, 서울: 민지사, 2014.
투퀴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천병희 역, 파주: 숲, 2011.
플라톤,『파이드로스』, 김주일 역, 서울: 이제이북스, 2012.
호메로스, 『오뒷세이아』, 천병희 역, 파주: 숲, 2015.
_____, 『일리아스』, 천병희 역, 파주: 숲, 2015.
83
헤시오도스, 『신들의 계보』, 천병희 역, 파주: 숲, 2009.
Butler H. E., The Institutio Oratoria of Quintilian, vol. 1, Cambridge: Heinemann, 1920.
Lobel, E., Page, D., Poetarum Lesbiorum Fragmenta, Oxford: Clarendon Press, 1955.
Oldfather C. H., Diodorus Siculus: Library of History, vol. 4, London: Heinemann, 1989.
Ross, W. D., ed. Aristotelis Ars Rhetorica,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2차 문헌
강철웅 외, 『서양고대철학1: 철학의 탄생으로부터 플라톤까지』 제1권, 서울: 길, 2013.
김남두,「고르기아스의 『헬레네 찬사』에서 말의 힘」,『서양고전학연구』제24권, 2005: 241-264.
김봉철, 『전환기 그리스의 지식인, 이소크라테스』, 서울: 신서원, 2004.
김진경, 『고대 그리스의 영광과 몰락』, 파주: 안티쿠스, 2009.
김헌, 「소피스트의 활동에 대한 재고: 기원전 5 세기 아테네를 중심으로」,
『지중해지역연구』제18권, 2016: 1-26.
_____,「이소크라테스의 ‘트로이아 전쟁신화’해석」, 『서양고전학연구』제57권,
2018: 115-138.
_____, 「이소크라테스의 범 (汎) 그리스주의」, 『인문논총』제72권, no. 3, 2015: 45-
77.
_____, 「이소크라테스의 철학과 파이데이아에서의 ‘의견 (Doxa)’플라톤의
‘의견’개념과 비교 연구" 」,『서양고전학연구』제50권, 2013, 73-99.
오흥식, 「고대 그리스의 헤라클레스 영웅숭배」, 『서양고대사연구』 제24권, 2009:
131-166
최자영, 「헤라클레스와 테세우스 신화가 갖는 정치, 사회적 의미 -아테네, 스파르타, 소아시아 등 다원적 관계를 중심으로」, 『서양고대사연구』제28권, 2011: 83-116.
84
쟈클린 드 보르드, 『폴리테이아: 고대 그리스 시민권론과 정치체제론』나정원 역, 서울: 아르케, 2000.
조지 커퍼드,『소피스트 운동』, 김남두 역, 서울: 아카넷, 2003.
클로드 모세, 『고대 그리스의 시민』, 김덕희 역, 서울: 동문선, 2002.
프리드리히 니체,『반시대적 고찰: 삶에 대한 역사적 공과』, 이진우 역, 서울: 책세상,
2005.
Blank, T., "Isocrates on Paradoxical Discourse: An Analysis of Helen and Busiris", Rhetorica: A Journal of the History of Rhetoric, vol. 31, no. 1, 2013: 1-33.
Blass, F., Die attische Beredsamkeit, II. Isokrates und Isaios, Leipzig: Teubner, 1892.
Blondell, R., Helen of Troy: Beauty, Myth, Devas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Buchheit, V., Untersuchungen zur Theorie des Genos Eptdeikitkon von Gorgias bis Aristoteles, München: Huber, 1960.
Chandler, C., Philodemus on Rhetoric Books 1 and 2: Translation and Exegetical Essays.
New York: Taylor & Francis, 2006.
Eucken, Ch., Isokrates: Seine Positionen in der Auseinandersetzung mit den zeitgenossischen, Berlin: Philosophen, 1983.
Hamilton, C. D., "Isocrates, Ig Ii2 43, Greek Propaganda and Imperialism", Traditio.
vol. 36, 1980: 83-109.
Haskins, E., "Reimagining Helen of Troy: Gorgias and Isocrates on Seeing and Being Seen", Gaze, Vision, and Visuality in Ancient Greek Literature, vol. 54, 2018: 245-270.
Heilbrunn, G., "The Composition of Isocrates' Helen",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 vol. 107, 1977: 147-159.
85
Jaeger, W. and Highet, G., Paideia: The Ideals of Greek Culture: Volume III: The Conflict of Cultural Ideals in the Age of Plato,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Jebb, R. C., The Attic Orators. From Antiphon to Isaeus vol. 2, London: Macmillan and Company, 1876.
Kennedy, G. A., "Isocrates' Encomium of Helen: A Panhellenic Document", Transactions and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vol. 89, 1958: 77-83.
Korais, A., (Κοραής Α.). Ισοκράτους Τά Απαντα, Athens: University of Crete. 1840.
Livingstone, N., A Commentary on Isocrates' Busiris, Leiden: Brill, 2001.
Montanari, F., The Brill dictionary of ancient Greek [BDG], Leiden: Brill, 2015.
Ostwald, M., and Lynch, J. P., “The Growth of Schools and the Advance of Knowledge”,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edited by D. M. Lewis et al. 2nd ed. vol. 6,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592–633.
Papillon, T. L., "Isocrates and the Use of Myth", Hermathena 161, 1996: 9-21.
_____, "Isocrates on Gorgias and Helen: The Unity of the" Helen", The Classical Journal 91.4, 1996: 377-391.
Perlman, S., "Panhellenism, the polis and imperialism",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H. 1, 1976: 1-3.
Poulakos, J., "Argument, Practicality, and Eloquence in Isocrates' Helen", Rhetorica vol. 4, no. 1, 1986a: 1-19.
_____, "Gorgias’ and Isocrates’ Use of the Encomium", Souther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51, no. 4, 1986b: 300-307.
Rhodes, P. J., “THE DELIAN LEAGUE TO 449 B.C.”,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edited by D. M. Lewis et al. 2nd ed. vol. 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54–61.
86
Schneider, H., Landfester, M., and Cancik, H., eds. Brill’s New Pauly (BNP), 22 vols.
Leiden: Brill 2011
Seager, R., “The King's Peace and the Second Athenian Confederacy”,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edited by D. M. Lewis et al. 2nd ed. vol. 6,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56–186.
Stefano, M. T., "Isocrates, Opera omnia. Edidit Basilius G. Mandilaras Tempesta", Gnomon vol 78. 2006: 583-596.
Hornblower, S., “Persia”,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edited by D. M. Lewis et al. 2nd ed. vol. 6,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50-64.
Strassler, R. B., et al. The Landmark Thucydides, New York: Simon and Schuster. 2008.
Usher, S., Greek Orators III: Isocrates: Panegyricus and to Nicocle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_____, “The style of Isocrates”,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Classical Studies 20, 1973: 39- 67.
Zajonz, S., lsokrates' Enkomion auf Helena: ein Kommentar, Göttingen: Vandenhoeck und Ruprecht, 2002.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