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선거에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5월 취 임사를 통해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 다. 실제로 이듬해 4월에는 판문점에서 제3차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고,
2019년 6월 30일에는 판문점에서 남북미 정상들이 한자리에서 만나는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일들이 연이어 일어났다. 이러한 역사적 사건
의 결과가 어떤 열매를 맺게 될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평화통일의 기조 하에 통일을 위한 노력을 남북한이 함께 기울여 나가야 한다는 것만큼은 분명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현재 추진 중인 자치경찰제 도입 또한 해방 이후 줄곧 유지해오던 국가경찰제도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뒤바꾸는 일대 사
22454152&mediaCodeNo=257&OutLnkChk=Y>.
39) 김윤영, “북한의 수사제도 운용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 제23호 (2009), pp. 161~162.
건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 독일,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미 보편 화된 자치경찰제이고 국내에서도 국민의 정부 시절부터 도입 논의가 있 었지만 2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 와서야 그 기본적인 골격이 드러나고 있다. 2019년 시범실시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전국적으로 실시될 자치 경찰제는 향후 남북이 통일국면으로 들어서면 경찰통합과정에 있어 가 장 중요한 요소로 대두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기에 향후 남북 경찰통합을 주제로 진행되는 연구들은 반드시 자 치경찰제를 기본 전제로 하여 논의를 진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 기존에 는 남북이 모두 국가경찰제도를 채택하고 있었기에 이를 기본으로 경찰 통합을 연구했으나 이제 광역단위 자치경찰제를 채택한 남한과 여전히 국가경찰제를 유지하고 있는 북한 사이의 통합 문제가 되었기 때문에 완 전히 다른 밑바탕 위에 새로운 정책대안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 라서 본 연구는 향후 이어질 자치경찰제에 근거한 남북경찰통합 연구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운 바탕에서 연구를 진행해나가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다 행히 남북한은 독일통일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충분히 참조할 수 있다.
분명 독일과 한반도는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 동독의 경찰조직, 법령, 인적·물적 자원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혼합적 운용’
원칙을 고수한 서독의 통합정책은 남북 표준화 통일방안에서도 주목할 가치가 있다.
그리고 남한의 경찰청에 대응하는 북한의 기관이 인민보안성(人民保 安省)이다. 남북 경찰통합시 경찰청과 인민보안성(人民保安省)의 통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될 것이기에 본 연구에서도 두 기관을 비교하였 는데 계급체계와 인적구성 등 여러 분야에 차이점도 있었지만 조직구조 나 업무영역 등에서 나타나는 공통점도 적지 않았다. 향후 남북 경찰통 합은 남한의 경찰조직체계, 법령을 북한지역에 강제적으로 이식하기보
다는 이러한 공통점을 바탕으로 인력파견, 자매결연 등의 간접적인 방식 으로 북한에 조직될 자치경찰조직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전 개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술한 통합방안이 원활히 전개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재 모습 을 갖추어가고 있는 자치경찰제가 남한 내에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남한의 현실에 맞게 자치경찰제가 뿌리내리고, 향후 이러한 바탕 위에서 남북 경찰통합에 대한 후속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기를 바란다.
■ 접수: 2019년 10월 30일 / 심사: 2019년 11월 28일 / 게재확정: 2019년 11월 28일
【참고문헌】
경찰청. 경찰통계연보. 2016.
곽명일. “북한 인민보안원과 주민관계 변화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6.
______. 북한 3대 통제기구 작동 메커니즘 변화 연구. 통일부 신진연구자 논문
집, 2018.
김영탁. 독일통일과 동독재건과정. 도서출판 한울, 1997.
김윤영. “북한의 수사제도 운용에 대한 연구 - 특징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 치안
정책연구, 제23호 (2009).
더불어민주당. 제19대 대통령선거 정책공약집 나라를 나라답게. 더불어민주당.
2017.
박정배. “통일한반도의 경찰행정체제 통합의 법제화에 관한 소고.” 홍익법학, 제
16권 제2호 (2015).
성준혁. “북한 인민보안부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신현기. “북한 경찰(인민보안성)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2권 제2호
(2002).
유동렬. “북한의 경찰체제 분석·경찰의 변천과정, 기능 및 조직체계를 중심으로.”
공안논집, 제13집 (2001).
이승철·곽영길. “자치경찰의 도입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4권 제2호 (2010).
이영남. “한국의 자치경찰제도의 정립방향.” 한국경찰연구, 제11권 제4호 (2012).
이윤호 외 2인. “독일의 경찰통합 사례에 따른 남북한 경찰조직의 통합방안.” 한 독사회과학논총, 제16권 제2호 (2006).
이하섭. “통일 이후 남북한 경찰의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북한학연구, 제7권
제2호 (2011).
임준태. 독일형사사법론. 21세기사, 2014.
지방분권촉진위원회. 제1기 지방분권촉진위원회 지방분권 백서. 지방분권촉진 위원회, 2010.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지방자치발전백서. 지방자치발전위원회, 2018.
__________________. 지방자치발전백서. 지방자치발전위원회, 2017.
통일연구원. 독일통일 총서5 경찰분야 통합 관련 정책문서. 통일연구원, 2014.
황문규. “문재인 정부의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에 관한 고찰.”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9권 제4호 (2017).
Semerak, A., Kratz, G. Amft, K. H., and Peters, K. H. “Die Polizeien in Westeuropa.”
Boorberg, (1989)
Stolleis, Michael, and Hans Boldt. “Geschichte der Polizei in Deutschland.” Handbuch des Polizeirechts. Gefahrenabwehr, Strafverfolgung, Rechtsschutz. CH Beck, (2007)
Palmiotto, Michael J., Michael L. Birzer, and N. Prabha Unnithan. “Training in community policing: A suggested curriculum.” Policin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 Management 23.1 (2000)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국회 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
A Study of Two Korea’s Police Integration Based on Local Municipal Police System
Kim, Seong Hoon (Dongguk University)
Abstract
After ‘Panmunjeom Declaration’ which created by Inter-Korean summit in April 2018, people start to have interest in business between South and North in many ways. and also, the concept of social integration which can shorten the differences of two korea is becoming important issue.
The subjects of north-south integration has been researched in some areas but especially the police part don’t have enough research so far. as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continues, the differentiation of two korea goes on too.
this will probably cause side effects during process of korea unification. so we need to proceed the realistic research of police integration of korean peninsula.
South korea start to adopt municipal police system from 2019. even if two korea have sustained national police system since 1945, but new police system of moon jae in government will change south’s police frame fundamentally. and this will be core issue in police integration.
so in this paper, I will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way of police integration in korean peninsula based on municipal police system. during this process, I also refer to german unification case. german is one of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