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결혼이주여성은 양육과정에서 배제되거나 소외되는 경향

Dalam dokumen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 및 서비스 (Halaman 35-39)

- 가족내에서 조차 홀로 새로운 문화와 양육가치에 접하고, 어린 여성들이 대부분이므로 양육과정에서 일방적으로 배제됨

- 양육스트레스 또한 일반 가정 여성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학령전기 자녀가정에서 양육스트레스 더욱 높고, 양육 효능감은 낮게 나타남

- 특히 양육주도권을 시어머니와 배우자에게 빼앗기고 양육 주체에서 소외되는 경험이 가장 주된 갈등과 스트레스 원인인 것으로 나타남

- 자녀가 아파서 병원에 동행하는 등과 같은 직접적인 자녀 양육 행위에서도 현실적인 제약이 많았으며, 양육과 관련된 의사결정 과정도 배우자나

시어머니가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남

3.

결혼이주여성의 양육 참여

: . 부부공동양육의 필요성

3단계 : 시험기 1단계 : 탐색기

2단계 : 주시기

뒤지지 않게 적극적으로 따라 잡으려는 시기

자녀가 기본 적응하면, 학습이나 성취를 위해 노력

차이에 대한 갈등 경험, 한국의 교육환경 등이 모국에 서의 경험과 큰 차이점 느낌

한국 교육의 문제점(사교육, 학교폭력 등)에 대한 불만

현실적으로 합의가 이루어짐, 자녀의 적응과 성취 보면 서 기대수준 조정, 환경에 일부 타협 등

한국사회의 모순적 갈등 경험, 나름대로 균형/기준 새로운 양육환경을 탐색하고 자신의 문화적 배경에

터해 자녀 양육

3.

결혼이주여성의 양육 참여

: .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참여 과정

4단계 : 갈등기

5단계 : 안정기

진입 초기 단계로서 차별받을까 걱정하면서 주시

유치원/어린이집이나 학교에서 자녀가 또래와 잘 지내는 것에 주된 관심

- 자녀에게 있어 어머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함

- 단순히 한국의 문화와 언어가 익숙하지 않거나 한국 내 문화자본이 많지 않다고 해서 양육과정에서 소외되거나 소극적이 되어서는 안됨

-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에서 어머니로서 역할과업을 수행하고, 참여하 기는 쉽지 않음

- 일반적인 발달과업상의 어려움과 이질적인 교육제도와 문화에 적응하는 이중고를 견디면서 적극적으로 찾아가야 하는 과정임

- 따라서 다문화가족 어머니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양육 참여할 수 있도록 그들의 문화적응 및 자녀 양육 과정을 함께하고 독려하는

- 가족과 동료, 지지체계가 매우 필요함

4.

다문화가족의 양육 지원

- 힘들고 지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공감과 이해, 수용 - 스트레스를 충분히 토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공감해주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 완화 효과

- 공감이란 주의 깊게 경청 하는 데에서 시작

- 주의 깊은 경청을 통해 상대방의 입장에서 그의 감정을 느끼고, 생각과 행동을 이해하며, 의사소통 하는 것

스트레스 상황과 그에 따른 감정 공감

_________________하기 때문에 ___________________ 하다고 느끼시는 군요

자신만 그러한 경험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해줌으로써 안도 감 제공 (다른 사람들도 다 그런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역할극을 통해 다문화 어머님이 양육스트레스를 표출하고, 공감하는 연습

*

양육스트레스 공감하기

Dalam dokumen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 및 서비스 (Halaman 35-3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