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Ⅴ. 결론

- 87 -

Ⅴ. 결 론

Ⅴ. 결 론

□ 2014년 4월, 모든 국민을 큰 충격과 슬픔으로 잠기게 했던 세월호 침몰사

고는 바로 우리나라 주변해양에서 발생한 재해·재난에 대한 우리의 대응 능력이 얼마나 미흡했는지 뼈저리게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사고 발생 직후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골든타임' 시간 동안 보여 준 체 계적이지 못하고 시간 소모적이었던 최초의 대응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 던 희생자 가족과 국민들은 안타까움을 금하지 못하였다.

□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이러한 ‘골든타임’ 시간 내에 우선적으로 수행되어 야 하는 현장의 환경정보 수집과 최초의 피해정도를 평가하여 체계적인 후속 방재·구난작업이 진행되도록 지원하기 위한 ‘해양 재해·재난 현장지 원체계 구축’ 기획연구를 진행하였다.

□ 신속한 현장대응, 정확한 최초 상황인지, 실시간 현장정보 전파, 합리적인 후속대응 권고, 긴밀한 동원·협력체계 유지 등 5대 주요 기능적 최종목표

(End State)를 수립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 인적·조직적, 물적·장

비적 구축 요소를 도출하였다. 특히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해양 재해·재 난 대응분야에서의 해양과학기술적 지원을 주도하기 위해 해역별 신속대 응팀을 구성하고 현장상황정보를 토대로 신속대응 결심보좌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후속 방재·구난작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역량을 단계 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 아울러, 우리나라 주변해역에서 재해·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민간에서 보 유하고 있는 전문 인력, 장비, 기술 등을 신속히 현장에 투입하고 평상시 에는 주기적인 신속대응 훈련을 통해 능력과 역량을 검증하는 체계적인 긴급 동원체계 구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정책적, 재정적 지원이 마련되 어야 한다.

해양 재해·재난 현장지원체계 구축방안 기획연구

- 88 -

□ 이러한 현장지원체계는 범정부적 협업을 통해서만이 구현이 가능하므로 정부 주도의 해양 재해·재난 대응능력 구축을 위한 민·관·군 전문가 T/F 를 구성하여 정부, 연구소, 학계, 산업계, 해경·해군 등 기관별·분야별 세

부 Road-map을 수립하고 단계별 역량을 구축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서두에서 언급되었듯이 해양 재해·재난 현장지원체계는 국내 역량이 총 집결되어야만 구축이 가능하며 어느 한 기관에 의해 구축될 수 없다. 본 기획연구에서는 한국해양과학연구원 업무범위 이상의 범국가적 차원의 해양 재해·재난 현장지원체계 최종 목표를 설정하였고 이를 실현하기 위 한 과학기술적 추진 방안을 수립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 따라서 본 기획연구 결과가 국민안전처, 해양수산부 등 해양에서의 재해· 재난 대응을 주관하는 정부부처에 의해 우선적으로 검토될 수 있도록 적 극적인 노력이 요구되며 정부에서 추진 중인 정부차원의 재해·재난 대응 체계 발전계획과 시기적·내용적으로 보조를 맞추며 진행될 수 있도록 추 진되어야 할 것이다.

- 89 -

참고문헌

국민안전처, ‘수난구호법’, 2014.11.19. 개정 국민안전처, ‘자연재해대책법’, 2014.11.19. 개정

국민안전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2014.12.30. 개정

국민안전처, ‘2015년 국민안전처 재난안전기술 R&D 사업설명회’, 2015.1.

국토해양부, ‘접경해역 관리를 위한 종합해양과학기술 연구기획’, 2009.2.

노호래, ‘해양사고의 사례분석과 해양결찰의 대응방안, 여객선 사고를 중심으 로’, 2014.12.

류찬열, ‘현장사례 중심의 해난 구조 이해와 실무’, 2015.3.

소방방재청,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제2차 종합계획 수립연구’, 2012.12.

장태곤, ‘해양재난 관리방안’, 20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 통합지원 시스템 및 극한 환경극복 대응기술 개발’, 2014.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미래 해양방위기술 개발 전략수립과 수행조직 설계에 관한 연구’, 2014.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수치통계백서 숫자로 본 해양의 세계’, 2014.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사고 기인 해양재난 대응기술 개발 기획연구’, 2014.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진 해양연구기관 편람’, 2014.12.

한국해양연구소, ‘미 해군의 해양 관련 연구 및 응용현황’, 1998.8.

해양수산부, ‘해양재난 위기대응 세부 행동요령’, 2015.3.

해양수산부,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 2014.3.24. 개정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