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사례-14> “내가 만주에 도착해서 淘金 일을 2년간 했지만 밥만 먹여주 고 돈은 주지 않았다. 후에 비행장 건설현장으로 도망쳐 보름을 일한 후, 양 민증을 발급받아 거기에서 마차를 몰았다. 마차 모는 일로는 자기 하나만을 꾸려나갈 수 있을 뿐이었다. 만주에서 7년간 집에 돌아가지도 못했다.”109) 게다가 위의 <사례-12, 13, 14>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만주국의 병영, 비행장 등의 군수시설 건설 분야에 배속된 중국인 이주 노동자들 역시 살인적인 노동과 엄격한 감시 속에서 질병과 고통에 시달리고 있었다.

만주국의 열악한 노동 조건 역시 중국인 이주자들의 만주국에 대한 불 만과 귀향을 야기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전술한 것처럼 일본인 과 조선인의 이민용지 확보를 위해 일본 당국이 중국 농민의 토지를 헐값으로 강제 매입한 조치 역시, 만주에 이주한 농민들을 關內로 귀 향하도록 압박하는 정치적 배경이 되기도 했다. 그리고 이 조치는 ‘土 龍山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만주국 및 일본인에 대한 중국인 이주자 들의 엄청난 반발과 저항을 야기했다.110)

이용자가 많았다. 해로를 이용한 이주자들은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수 레 혹은 걸어서 산동성의 靑島, 芝罘港과 河北省의 龍口, 天津 등지의 항구까지 온 뒤, 여기에서 배를 타고 대련, 영구, 안동에 입항한 뒤 만 주 전역으로 흩어졌다. 單身의 남성 이주자가 많은 까닭에 남녀간 성 비 격차가 컸고, 특히 노동 적령 계층의 성비 격차가 매우 컸다. 만주 (국)사회의 정세가 불안정했을 때, 특히 만주사변과 중일전쟁 시기에는 이주자가 감소하고 귀향자가 급증한 반면, 정세가 안정되었을 때는 그 반대의 현상이 나타났다.

관내의 만주 이주를 유발한 내적 배경과 원인은 과밀한 인구에 따 른 경지 부족과 과잉 노동력, 빈번한 자연재해, 외세의 침탈과 과중한 배상금, 土匪나 군벌의 약탈, 군벌전쟁에 따른 과중한 세금 부담, 전염 병의 창궐, 경제 파탄, 기아와 빈곤의 만연, 상품경제 발전에 따른 농 촌 수공업의 몰락과 피폐, 그리고 새로운 생활을 갈망하는 분위기 등 이었다. 반면에 관내의 만주 이주를 유인해낸 흡인 요인은 만주(국)의 비옥한 토지, 미개간된 황무지, 군벌의 이민 장려정책, 만주국의 산업 발전과 군수시설 건설에 따른 노동력 수요와 招工, 각종 우대조치라는 일본인의 기만적인 선전활동 등이었다. 만주 이주자들은 대부분 소작 농 혹은 토지가 없거나 거의 없는 가난한 농민들이었고 극소수의 수공 업자, 小商人, 破産戶의 자제들이었다. 그들은 절대다수가 문맹으로서 극한적인 생활고에 시달리다 어쩔 수 없이 이주를 한 사람들이었다.

만주로 이주한 중국인들의 경우, 만주국 수립 전에는 2/3 이상이 임 시직에, 11-20%가 小作 雇農 농경에 종사하고 있었다. 그런데 만주국 수립 후에는 직업이 일정치 않은 자유업이나 농업 종사자가 급감한 반 면에, 공업과 토목건축업, 광업, 교통업 종사자 비중이 크게 늘어났다.

산동성 惠民縣의 경우, 87%가 일본 기업이나 만주국 군수 항만 철도 토목건축 부문 및 탄광에서 일했고 11.2%는 밥을 구걸하며 유랑을 했 으며, 4.2%는 소규모 장사를 했고 24명은 직업이 불분명했다.

만주국 이전에는 농업 위주의 안정적인 이주 형태를 띠고 있어서 귀향자가 적었지만, 만주국 수립 이후에는 매우 많았다. 그들의 이주와

귀향의 추세에는 전쟁(군벌전쟁,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등)이 나 만주(국)의 각종 정책(노동 토지 이민정책 등)이 영향을 미쳤다. 또 한 그들의 귀향 배경에는 만주국에서의 열악한 생활환경이 작용했다.

즉 만주국의 높은 물가, 지주 工頭 把頭 일본인(기업) 만주국 당국의 야만적인 勞務관리 박대 착취, 열악한 노동 조건, 일본인과 조선인의 이민용지 확보를 위한 일본 당국의 강제적인 토지매입, 중국인 노동자 에 대한 높은 해고율 등이 만주 이주자들의 귀향에 영향을 미쳤다. 그 밖에 결혼, 일본의 패망에 따른 직장(공장)의 파산과 폐쇄에 의한 失 職, 부상과 질병, 鄕愁, 土匪의 횡포, 집안의 불행, 만주의 물이나 풍토, 풍속 습관의 부적응, 주변에 의지할 친척이 없는 등의 외로움, 외지인 이 만주에서 직업과 배우자를 찾아 가정을 이루는 것의 어려움 등도 만주 이주자들의 귀향 원인으로 작용했다. 정치적으로는 만주국에서의 징병 회피나 민족적 차별에 대한 반감도 귀향의 원인이었고, 고향에서 의 병역기피나 곤란을 벗어나기 위해 잠시 만주로 도피했다가 귀향한 경우도 있었다.

그런데 만주 이주자의 대규모 귀향을 초래한 것은 1946-1949년까지 중국 공산당이 추진한 토지개혁이었다. 이것은 ‘耕者有其田’의 원칙에 따른 토지분배였기 때문에, 토지를 분배받을 수 있던 사람은 농경 종 사자뿐이었다. 따라서 도시 부문에서 생활하던 사람들이 토지를 분배 받으려면 고향으로 돌아가는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이 시기에는 고 향으로 돌아가 토지를 분배받으려는 이주자들의 대규모 귀향행렬이 이 어졌다. 이들의 귀향은 만주국 시기까지만 해도 산발적이고 간헐적으 로 이루어졌지만, 1945년 해방부터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직전 까지는 대세를 이루고 있었다. 만주 이주자들은 대부분 고향에서의 토 지분배로 생활안정이 보장될 때까지 만주(국)와 關內 사이를 왕래하며 방황하고 있었다.

중국인 만주 이주자들의 이주와 귀향 추세를 보면, 만주(국)사회는 중국 관내의 과잉 인구를 흡수해서 그들에게 최저한의 삶을 보장해주 는 생존의 돌파구였다. 또한 토지분배에 따른 대규모 귀향 행렬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 관내 역시 만주(국) 사회의 모순을 완화해주는 삶 의 텃밭이기도 했다. 중화민국 시기 동안 화북지역과 만주(국)사회는, 비록 두 지역의 정치적 통치 주체가 달랐지만, 상호의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모순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면서 상호 불가분의 관계를 맺 고 있었다. 두 지역사회의 이질성을 완화시켜준 매개체는 중국인 만주 이주자들이었다. 만주 이주자들의 빈번한 이주와 귀향은 만주사회의 식민지성을 희석시키고 만주와 화북의 결합을 원활하게 만들어 ‘만주 의 中國化’를 용이하게 만드는 역사적 기능을 했다.

(中文提要)

民国时期中国人的满洲迁入和返乡

尹 輝 鐸

中华民国时期, 从关内迁移到满洲(国)的人大多是来自于山东省和华北 省, 因为交通费用昂贵这些人大多没有采用陆路交通, 而是选择了海路交 通. 像满洲事变和中日战争等政局不稳定的时候, 迁入者减少, 反乡者增多, 当局势稳定时则会出现相反的现象. 满洲迁入者大多是文盲, 生活都极其困 难, 都是迫不得已才选择迁移的. 这部分人大多是没有土地或者是几乎没有 土地的贫苦农民, 还有一小部分手工业者, 小商人, 破产户家的子弟. 在满 洲国成立以前, 满洲地区呈现稳定的以农业为主的迁入形态, 返乡者很少, 满洲国成立后返乡者大大增多.

他们的迁入和返乡趋势都受到战争(军阀战争, 满洲事变, 中日战争, 太 平洋战争等), 满洲(国)的各种政策(劳动, 土地, 移民, 战争等)的影响. 他 们的返乡背景原因很多, 满洲国恶劣的生活环境, 日本当局的强行土地买 卖

结婚, 日本败退后的工厂破产和关闭导致的失业, 负伤和疾病, 思乡, 土匪的猖獗, 家庭的悲惨, 满洲地区的水

风土

乡俗的不适应, 没有亲戚 朋友的孤单, 外地人在满洲找工作和配偶的困难, 对于满洲国的征兵和民族 歧视的反感等都是返乡的原因.

但是导致满洲迁移者大举返乡的最大原因则是1946-1949年的中国共产 党推进的土地改革. 因为遵循‘耕者有其田’原则, 只有从事农耕的人才能获 得土地分配. 在城市里生活的人们为了获得土地就必须得返回到农村去. 结 果, 这一时期返回农村希望获得土地分配的迁移者形成了大规模的返乡队 伍.

中国关内同时也是缓和满洲(国)矛盾的生存土地. 在中华民国时期, 华北 地区和满洲(国)社会的政治统治体系虽然不一样, 但是通过相互的经济, 政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