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만주(국)사회에 대한 불만

중국인 만주 이주자들은 관내의 악조건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고향 을 등지고 만주로 이주한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그들 대다수는 사전에 만주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었고 만주로 이주한 뒤 구체적으 로 어떻게 살 것인지에 관한 목표나 계획을 갖고 있지 않았다. 그 때 문에 기본적으로 중국인 만주 이주자들은 자신을 보호할 능력이 별로 없었다. 그들 대부분은 어쩔 수 없이 이주한 자들이었기 때문에 환경 에 적응할 수 있는 마음가짐도 약했다.99) 따라서 그들은 여러 가지 환 경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그들의 높은 유 동성을 초래했다.

중국인 만주 이주자의 유동성을 높인 데는 그들의 만주국 혹은 만 99) 王杉, 民初東北移民社會心態菅窺 (社會科學輯刊1998-5), p.96.

주사회에 대한 인식도 한몫했다. 그렇지만 중국인 이주자의 만주(국)사 회 인식을 보여주는 자료는 매우 드물다. 왜냐하면 중국인 이주자들은 대부분 문맹이어서 자신들의 생각이나 처지를 글로 남긴 경우가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행히 만주국 관동헌병대에서 서신이나 전 보를 검열한 뒤 필요한 내용을 기록한

關東憲兵隊通信檢閱月報

100)를 보면 그 일단을 알 수 있다.

<사례-7> “만주는 목하 國勢조사를 실행하고 民籍法에 의해 연령 19세 의 청년은 징병하고 있습니다. 공장 안의 일본인도 항상 나에 대해 關內로 가 취직하는 쪽이 낫겠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공장에서 19명이 징병되었습 니다. 나도 그 대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일찍 關內로 가 징병을 면할 수 있게 해주세요.”101)

<사례-8> “이번에 壯丁검사를 받았는데 불행하게도 합격해버렸다. 완전 히 운이 안 좋았다. 내년에 입영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집에서는 그것 때문 에 큰 곤란에 처해 있다. 도대체 누가 나에게 이런 운명을 주었는가? 그대 도 학교를 마치고 사회에 나와서 사회의 고통을 알게 될 것이고, 또한 장정 검사에 가서 인생의 쓰라림을 겪게 될 것이다. 원래 인생이란 게 무의미한 것이다.”102)

<사례-9> “나는 이 東三省에서 몸은 건강하다고 하지만 정신상으로는 여러 가지 면에서 항상 불쾌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新兵 시험이 있고 우리 은행에서도 3명이 끌려갔습니다.”103)

100) 이 자료는 관동헌병대에서 서신이나 전보를 검열한 뒤 일부를 발췌해서 모 은 것으로, 일본이 패망하면서 땅속에 묻혔다. 그런데 1953년 11월 舊관동헌병 대사령부 터(현재의 길림성정부)에서 사무소 확장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발견 되어 吉林省公安廳에서 정리한 뒤 1982년 吉林省檔案館에 이관되었다(小林英 夫 張志强 共編,檢閱された手紙が語る 滿洲國の實態東京: 小學館, 2006, pp.23-24).

101) 1943년 9월 봉천시 거주 徐某가 북경의 周某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분(위의 책,檢閱された手紙が語る 滿洲國の實態, p.109에서 재인용).

102) 1943년 9월 海城縣의 湯某가 봉천시 거주자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분(위의 책,檢閱された手紙が語る 滿洲國の實態, p.111에서 재인용).

위의 <사례-7, 8, 9>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당시 만주로 이주한 청년 들은 가능한 한 징병을 회피할 방도를 모색하고 있었거나 징병을 피해 귀향을 하려고 했던 것이다. 만주국에서 실시한 ‘강제징집’은 만주로 이주한 청년들의 만주국에 대한 불만과 귀향을 부채질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했음을 엿볼 수 있다.

<사례-10> 기차를 타고 흑룡강성 開通縣 紅星驛 張家屯에 도착했다.

형은 일본인에게 끌려가 水田 개간 일에 종사하면서 밥만 얻어먹고 돈은 받 지 못했으며 항상 두들겨 맞았다. 큰 누나는 옷을 짜서 한 벌 당 35근의 식 량을 벌었다. 둘째 누나는 밥을 구걸하였고 항상 개에게 물리곤 했다. 모친 은 남의 집 가정부 노릇을 했다.104)

<사례-11> “우리들은 (遼寧省의) 弓長嶺에서 1년을 보낸 후 부친은 광산 으로 갔다. 1년 후 우리들은 다시 遼陽으로 돌아와, 누나는 남의 집 童養媳 (민며느리) 노릇을 했고 부친과 형은 일본인 공장에 들어갔다. 나도 일본인 의 童工 노릇을 했다. 일본인을 위해 일하는 것은 자유가 없어서 마치 외 양간에 갇혀 지내는 것처럼 마음대로 공장 밖을 나갈 수도 없었고 매일 10 여 시간씩 일을 했다. 잠은 집단숙소에서 잤고 환경이 열악하여 병이 나도 치료를 받을 수 없어 죽는 사람들이 매우 많았다. 도망치려는 사람들도 있 었지만 공장 주위에는 철조망이 둘러쳐져 있어서 도망 자체가 매우 어려웠 다.”

또한 위의 <사례-10, 11>에서 알 수 있듯이, 招工 형태로 일본인 기 업이나 공장에 고용된 중국인 이주자들은 강압적이고 고된 노동과 아 울러 人身상의 구속을 받으면서 일상적인 구타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 들은 도망을 쳐서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어도 철조망이 둘러쳐 있어서 도망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웠고, 설령 도망쳤다가도 붙잡히면 엄 청난 보복과 구타가 가해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1년 海城 103) 1940년 1월 18일 봉천의 李某가 重慶의 張某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분(위의

책,檢閱された手紙が語る 滿洲國の實態, p.112에서 재인용).

104) 惠民縣 城關鎭 高家庄(조사당시 혜민현 통계국장) 高普村의 수기( 回返移民 訪問手記 , p.96).

縣에서 강제 징용된 愛護村 노동자 3,216명 가운데 43%만이 연말까지 남아 있었을 정도로, 만주국 내 중국인 노동자들의 노동 이동률은 매 우 높았다. 이들은 대부분 참기 어려운 혹사 때문에 도망을 쳤던 것이 다.105)

중국인 이주 노동자에 대한 일본인 기업가들의 수탈적 노동 강요는, 그들의 만주 이주 동기에서 비롯된 측면도 있었다. 즉 “만주로 건너온 일본인 대부분은 만주에 뼈를 묻을 각오가 없었고 결국에는 일본으로 돌아갈 것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만주로 건너온 목적은 永住가 아니 라 돈을 버는 데 있었으므로 돈 버는 일을 달성하면 귀국하는 것이 당 연한 선택이었다.”106) 돈 벌기 위해 만주로 건너온 일본인 기업가 입 장에서는, 최대한 중국인 노동자를 수탈해서 돈을 벌면 그만이었던 셈 이다.

<사례-12> “(흑룡강성) 密山에 도착했다. 우리들은 棒子面(옥수수 가 루로 만든 국수), 高粱米를 먹었고 잠은 움막(席窩柵)에서 잤는데, 다음날 새벽에 일어나면 이불이 축축했다. 虎林에 가서 兵營을 지었다. 11월이 되자 날씨가 몹시 추웠고 돈도 거의 벌지 못했고 집 생각도 나서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었다. 그러나 만일 도망쳤다 잡혀오면 반쯤 죽도록 맞았다. 나와 함께 간 25명 가운데 2명이 거기에서 사망했는데, 그 중 한 명은 풍토병으 로 사망했다. 날씨가 점점 추워져 견디기가 어려워 고향에 보내줄 것을 요 구했지만, 工頭(노동반장)가 동의하지 않았다.”107)

<사례-13> “동북(즉 당시 만주국)에서의 노동자 생활은 매우 힘들었다.

노동자는 일요일도 없었고 하루 12시간씩 일했다. 설날에만 3-5일의 휴가가 주어졌다. 대다수는 병영, 창고 등 건축 일을 했다. 노동자들은 장기간 병을 앓게 되면 곧 죽음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앓을 수가 없었 다.”108)

105) 趙光銳, 第8章 昭和製鋼所 (松村高夫 解學詩 江田憲治 編著,滿鐵勞働史の 硏究東京: 日本經濟評論社, 2002), p.368.

106) 塚瀨 進,滿洲の日本人(東京: 吉川弘文館, 2004), pp.171-172.

107) 惠民縣 皂戶李公社 鄭家大隊 鄭世道의 手記( 回返移民訪問手記 , p.73).

108) 山東省 濱州市 蒲城鄕 劉口大隊 劉正中의 手記( 回返移民訪問手記 , p.77).

<사례-14> “내가 만주에 도착해서 淘金 일을 2년간 했지만 밥만 먹여주 고 돈은 주지 않았다. 후에 비행장 건설현장으로 도망쳐 보름을 일한 후, 양 민증을 발급받아 거기에서 마차를 몰았다. 마차 모는 일로는 자기 하나만을 꾸려나갈 수 있을 뿐이었다. 만주에서 7년간 집에 돌아가지도 못했다.”109) 게다가 위의 <사례-12, 13, 14>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만주국의 병영, 비행장 등의 군수시설 건설 분야에 배속된 중국인 이주 노동자들 역시 살인적인 노동과 엄격한 감시 속에서 질병과 고통에 시달리고 있었다.

만주국의 열악한 노동 조건 역시 중국인 이주자들의 만주국에 대한 불 만과 귀향을 야기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전술한 것처럼 일본인 과 조선인의 이민용지 확보를 위해 일본 당국이 중국 농민의 토지를 헐값으로 강제 매입한 조치 역시, 만주에 이주한 농민들을 關內로 귀 향하도록 압박하는 정치적 배경이 되기도 했다. 그리고 이 조치는 ‘土 龍山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만주국 및 일본인에 대한 중국인 이주자 들의 엄청난 반발과 저항을 야기했다.11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