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협화’로 다져진 ‘복합민족국가’로 주창되었던 만주국이 일본의 패망과 더불어 붕괴되어가자, 만주국을 구성하고 있던 각 민족들 사이 의 모순이 폭발하기 시작했다. 만주국을 무력으로 떠받치고 있던 관동 군이 소련군의 진공 앞에 무력화되면서 만주 사회가 무정부 상태에 빠 93) 윤영순가족 (중국조선족 이민실록), p.207.
94) 조봉학가족 (중국조선족 이민실록), p.9.
지자, 만주 땅에 대한 ‘주인 의식’을 가지고 있던 중국인들은 자기들의 세상이 도래했음을 직감하기 시작했다. 반면에 만주국의 지배 민족으 로 군림하면서 피지배 민족에게 그들만의 왜곡된 통치 질서를 강요하 고 차별을 야기했던 일본인과, 만주국 수립 이전부터 ‘일본의 대륙 침 략의 앞잡이’로 비난받고 있던 조선인은 전전긍긍할 수밖에 없었다.
강요된 통치 질서가 한순간에 무너지자, ‘민족협화’, ‘일만일체’, ‘왕도 락토’의 선전 논리로 훈육되어 공존공영의 이상을 향해 줄달음질치고 있다던 만주국의 구성원, 즉 ‘만주국인’의 이상적인 모습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민족 간의 대립 충돌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만주국에서는 줄 곧 ‘민족협화’를 외쳐댔건만 ‘만주국인’에게서 ‘민족협화’의 흔적은 조금 도 찾아볼 수가 없었다. 주인 의식을 되찾은 중국인의 불만 분노 증오 심의 화살은 일본인과 일본인의 앞잡이=조선인에게 향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일본인과 조선인은 중국인의 보복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면서 수 난을 겪게 되었다.
소련군의 진공 앞에 관동군이 방어선을 남쪽으로 후퇴시킨 가운데, 수많은 일본인들(군인을 포함해서)이 소련군에 체포되어 소련으로 압 송되어 억류 생활을 했다. 특히 재만 일본인 중에서도 소련-만주국 국 경 지역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있던 일본인 개척단은 1차적으로는 소 련군으로부터, 2차적으로는 중국인들로부터 엄청난 보복적 피해를 입 게 되었다. 재만 일본인 중에서 일본인 개척단이 가장 큰 피해를 입게 된 데는 그들이 소(蘇) 만(滿) 국경 지역에 배치되어 있던 관계로 피난 할 틈도 없이 소련군의 진공에 무방비 상태로 당할 수밖에 없었기 때 문이다. 게다가 개척촌의 청장년들은 이미 전선으로 동원된 상태였기 때문에 개척촌에 남겨진 사람들은 노약자나 여성들이 대부분이었다.
더욱이 소련군은 장고봉사건(1938년)과 노몬한사건(1939년)에서 관동군 에게 국지적 승리를 거두기는 했지만, 궁극적으로 러 일전쟁(1904∼
1905)에서의 패배를 설욕하려고 했다. 보복적 심리를 가지고 있던 소 련군은 소(蘇) 만(滿) 국경 지역의 일본인 개척촌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일본인들을 강간 살상하거나 그들의 재산을 약탈하는 만행을 저지르기
도 했다.
설상가상으로 만주 땅에 대한 주인 의식을 갖고 있던 중국인들 중 에는 일본인 개척촌에 대해 보복적 습격을 감행한 경우가 많았다. 물 론 일본인에 대한 중국인들의 보복적 행태를 촉발한 데에는 만주 땅을 강점한 일본이 불합리한 통치 질서를 강요하고 민족 차별을 야기한 측 면도 작용했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직접적인 촉발 원인은 일본 식민 당국이 중국인의 생활 터전인 토지를 빼앗다시피 강제 매수한 뒤 일본 인을 그 땅에 입식(入植)시키고 자신들을 내쫓겨나 소작인으로 전락시 켜 민족적 억압과 차별을 행한 데 있었다. 즉 일본인의 만주 입식은 중국인 농민에게는 생활 터전의 파괴, 경제적 몰락, 민족적 수모를 의 미했다.
소련군의 보복적 만행과 중국인의 습격에 직면해 있던 일본인 개척 민들 중에는 끝까지 저항하다가 사망하거나 마을 전체가 그 자리에서 집단 자결을 선택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일부는 피난을 하는 과정에 서 공포 좌절 강간 약탈 모욕 굶주림에 시달리다가 사망하거나 자결을 하기도 했다. 끝까지 살아남은 일본인들은 소련군에 의해 강제 수용소 에서 생활을 했다. 비전투원인 개척단원이 수용소에서 징용되어 시베 리아에서 강제 노동에 종사한 사례도 적지 않았다. 이처럼 수난을 겪 는 와중에 일부 일본인 여성은 절망한 나머지 중국인과 결혼해 중국에 잔류하기도 했다. 또한 부모를 잃고 중국인 가정에 입양된 일본인 고 아들도 많았다.
한편 ‘일본인의 앞잡이’ 노릇이나 하는 주제에 일본인에 의해 ‘2등 국민’ 취급 받으면서 중국인을 업신여기고 좋지 않은 행위를 일삼는다 고 비난받던 조선인들 역시 중국인들의 보복적 습격을 면할 수가 없었 다. 즉 만주 사회가 무정부 상태에 빠지자, 각 지역의 토비(土匪)나 국 민당 계열의 각종 무장 부대, 일부 중국인들은 조선인에 대해 억누르 고 있던 불만 분노 증오심을 폭발하기 시작했다. 특히 일본의 식민 권 력에 의해 만주로 집단 이식된 조선인 집단 이민자들은 중국인의 생활 터전을 빼앗고 그 자리에 옮겨 앉은 상태였기 때문에, 땅을 빼앗기고
주변으로 쫓겨난 중국인들의 증오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일부 조선인 마을은 중국인의 습격을 받아 전멸되다시피 했다. 공포 에 질린 조선인 이산자들은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남아 있는 일 본 권력의 보호를 받기 위해 철도역 부근으로 몰려들거나, 생사를 넘 나들면서 조선의 고향 땅으로 발길을 돌리기도 했다. 그렇지만 이미 뿌리가 뽑혀나간 조선의 고향 땅에서 무일푼의 그들을 반갑게 맞아줄 사람들은 거의 없었다. 이들 중에는 깊은 좌절감 속에 어쩔 수 없이 제2의 고향이 되어버린 만주 땅으로 다시 발길을 돌리는 사람들도 많 았다.
이때 조선인 이산자들에게 한 가닥 희망과 위안을 준 것은 공산당 군이었다. 민족 차별과 보복을 일삼던 국민당 계열의 무장 부대와 달 리, 공산당 군대는 중국인 이외의 민족도 모두 끌어안는 정책을 펼치 고 있었다. 그리고 공산당군은 만주 사회를 장악하는 과정에서 토지개 혁을 실시해 민족을 불문하고 만주의 민중들을 끌어들이고 있었다. 이 때 공포 좌절 고뇌에 사로잡혀 있던 조선인 이산자들 가운데 많은 수 는 공산당군에 가담하여 국민당 군대와 싸웠다. 그리고 그들은 그 대 가로 분배받은 토지를 바탕으로 만주에서의 방랑적인 삶을 접고 비로 소 안정된 삶을 꾸려가기 시작했다.
결국 일본의 패망과 더불어 만주국이 붕괴되면서 빚어진 민족 간 대립 충돌 양상은 만주국이 결코 ‘독립국’이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상징 적인 사건이었다. 만주국이 온전한 독립국이었다면, 일본의 패망과 관 계없이 만주국을 구성한 각 민족이 자신들만의 독특한 ‘만주국인’으로 서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만주국을 지켜내고 유지시키려고 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 식민주의자들이 주창한 것처럼, 만주국이 ‘민족협 화’의 논리에 훈육되어 형성된 ‘복합민족’으로 구성된 ‘복합민족국가’였 다면, 만주국이 붕괴되는 와중에 민족 간 대립 충돌이 만연된 상태보 다는, ‘왕도락토’인 만주국에 대해 자긍심을 가진 ‘만주국인’이 민족 간 협조와 우애 단결을 외쳐대면서 만주국을 수호하려고 발버둥치는 상태 가 출현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여튼 일본의 패망과 더불어 만주 사회가 순식간에 민족 간 대립 충돌의 경연장처럼 되었다는 것은, 일본 식민주의자들의 상상 속에 자 리 잡은 ‘복합민족국가’=만주국의 파탄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또한 그 것은 일본 식민주의자들의 상상 속에 그려진 ‘만주국인’이 만주국에 실 존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했다. 만주국은 독립국가도, ‘복합민 족국가’도 아니었다. 만주국은 그저 동아시아의 각 민족이 생존을 위해 만주로 이산하면서 빚어진 동아시아의 민족 모순이 일본의 식민 권력 에 의해 억눌려 응축되어 있다가 식민 권력의 붕괴와 더불어 폭발하면 서 사라진, 신기루 같은 ‘가상(假想)의 정치 공동체’였다.
(中文摘要)
‘複合民族国家’的破落:
满洲国的崩溃和‘满洲国人’的冲突·苦难
尹 輝 鐸
被标榜为‘複合民主国家’的满洲国随着日本的败北开始崩溃, 满洲国内各 民族间的矛盾开始爆发. 虽然在‘满洲国’内一直都在高喊‘民主协和’, 但是在
‘满洲国人’里去找不到‘民主协和’的半点痕迹. 找回主人意识的中国人的不 满, 愤怒, 憎恶的箭头都指向了日本人和日本人的帮手朝鲜人. 日本人和朝 鲜人在中国人的报复下, 束手无策受尽苦难.
在苏联军的进攻面前, 关东军的防御线开始向南撤退, 很多日本人(包括 军人)被苏联军逮捕并押送到苏联开始囚禁生活. 特别是日本人开拓团因 中国人和苏联军受到了极大的损失. 苏联军在对苏, 满边境地区的日本人开 拓村进行镇压的过程中, 对日本人施行了强奸, 杀害, 财产掠夺等野蛮的行 径. 雪上加霜, 已经找回满洲土地主人意识的中国人对日本开拓村进行攻击 的情况也越来越多. 日本人开拓者中很多人因为坚持抵抗到底而死亡, 整个 村子集体自杀的情况也很多. 很多生存下来的日本人则被苏联军送到收容 所开始了收容生活. 在这些灾难面前一些日本女性绝望之余选择了和中国 人结婚而留在了中国. 也有很多失去父母的日本孤儿被中国家庭收养.
另一方面满洲社会陷入了无政府状态, 各地的土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