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지금까지 송과 주변지역과의 관계에서 차 관련기록의 부족이라는 문제는 곧 차 소비의 미미라는 측면으로 해석되어 왔는데 이는 무역관 계와 제반 상황을 통해 재고할 필요성이 있다. 차의 무역과 관련하여 가장 주목받았던 것이 茶馬貿易이었고 이는 송조의 서북변에 적용된 무역관계였다. 따라서 이 지역을 중심으로 차와 관련된 기록이 다수 남아 있는 반면 遼金과 宋과의 무역에는 차마무역이 적용되지 않았으 므로 관련 기록이 상대적으로 빈곤하다. 이러한 사료의 수량적인 면은 지금까지 서북지역의 차 소비가 활발했다는 이미지를 주었다.

73) 金史 卷49, 「食貨」 4, “制親王公主及見任五品以上官素蓄者存之禁不得賣饋 餘人竝禁之 犯者徒五年 告者賞寳泉一萬貫.”

송과 요금의 교역에서는 차마무역이 성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차 관 련기록의 빈도가 낮았던 것이지, 이것이 곧 차의 수요가 적었다는 사 실을 입증하는 것은 아니었다. 서북지역의 경우 말과 차의 교역이라는 단순구조가 적용되어 관련기록이 많이 남았을 뿐이었다. 거란과 여진 의 경우 말무역이 자유롭지 않았던 반면 상대적으로 다양한 물품을 거 래하며 물량 면에서도 활발한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차에 집중된 기록이 부재한 것뿐이었다. 국경의 榷場貿易을 통해 茶는 각광받는 교역물품이었다.

그리고 차 문화 보급의 보편적인 토대라고 할 수 있는 불교도 요금 두 사회 모두 크게 발전해 있었던 상황이었다. 遼의 경우 “불교는 중 국의 종교가 아니다”라는 말로 중국화라는 측면보다는 외래사상과 문 화, 종교의 도입이라는 자유로운 입장을 취하기도 하였다. 국가의례에 차가 도입된 정도도 북조인 요금에서 훨씬 활발하였다.

또한 인구 규모 측면에서도 교역량이 서북변에 비해 월등하였다는 것을 추정해볼 수 있다. 西夏의 경우 전성기 300만 정도의 인구를 보 유한 소국이었다. 반면 遼는 전성기 780만 이상 900만에 달하였고 金 은 4,500만 이상의 규모였다. 차의 보급이 일반화되었다는 것을 전제 로 한다면 인구차이만으로도 차 소비수량이 월등했음을 알 수 있다.

거란사회의 차 소비는 상당한 수준에 올라 있었고 송과의 무역관계 도 오랫동안 평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어졌다. 또한 송이 제공했던 세폐의 규모도 거란이 차의 구입에 부담을 가지지 않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였다. 반면 여진의 경우 대규모의 소비지인 화북을 점령 하였으므로 차 소비량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정도였다. 그러나 그 에 대응할 정책적 경험과 이해가 수반되지 않았다. 따라서 재정적 부 담이 문제가 되기 시작하자 차의 자체 재배와 제작을 시도하거나 소비 의 규제라는 비현실적인 접근을 반복하였다. 차의 공급의 문제를 두고 송조와의 협상이나 자체 비용의 경감을 통한 가격 인하의 노력이라는 접근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參考文獻目錄>

金渭顯, 契丹社會文化史論 (京仁文化史, 2005)

凌大珽, 中國茶稅簡史 (北京: 中國財政經濟出版社, 1986) 朱重聖, 北宋茶之生産與經營 (臺灣學生書局, 1985) 陳述, 契丹社會經濟史稿 (三聯書店, 1978)

靑山定雄, 唐宋時代の交通と地誌地圖の硏究 (吉川弘文館, 1969) 徐銀美, 「南宋時代 茶法의 運用과 私茶」 (東洋史學硏究 127, 2014) 徐銀美, 「唐宋時代 貢茶와 官營茶園(北苑茶)」 (中國史硏究 96, 2015) 武王環, 「遼代人口考述」 (學習與探索 2009-6)

王福君, 「辽宋夏金时期宋的榷场贸易考述」 (鞍山师范学院学报 1997-1) 王曉燕, 「論宋與遼夏金的榷場貿易」 (西北民族大學學報 2004-4) 王孝俊, 「遼代人口問題硏究綜述」 (沈陽師範大學學報 30-6, 2006)

李萃萃, 「从辽墓壁画论契丹社会生活中的居住与出行文化」 (大连大学学报 2010-4) 张庆龄, 「宋辽间的走私贸易」 (史林 1988-2)

張艶娟ㆍ王爽, 「論西夏建國時期的人口規模」 (寧夏大學學報 29-6, 2007) 程嘉靜, 「遼代榷場設置述論」 (內蒙古社會科學 36-2, 2015)

陈晓莉, 「辽、金、夏代饮食风俗」 (民俗研究 1995-2)

陳曉偉, 「遼以釋廢: 少數民族社會視野下的佛敎」 (世界佛敎硏究 2010-1) 崔廣彬, 「金代女眞人飮食習俗考」 (學習與探索 2001-2)

彭善国, 「辽代的茶叶与饮茶风俗」 (北方文物 1998-2) 彭善国, 「金代的茶叶与饮茶风俗」 (北方文物 2001-2)

彭艶芬, 「契丹遼朝對南唐的交結和利用探析」 (北方文物 2007-3) 韩生存, 「西京大同和辽宋边境贸易」 (太原城市职业技术学院学报 2005-5) 黄纯艳, 「论宋代的私茶法与私茶」 (云南社会科学 2000-5)

久保惠子, 「北宋朝の專賣制度に對する犯罪の處罰規定」 (お茶の水史學 24, 1980)

(Abstract)

The Tea Consumption and Trade in the Liao and Jin Dynasty.

Suh, Eun Mi

Until now in trade relations between the Song dynasty and the surrounding area, the lack of records related to tea means the lack of tea consumption. In the northwest region tea-horse trade was executed. A lot of records of tea-horse trade remained. But in trade relations between the Song and Liao dynasty, the Song and Jin dynasty, horse's sales were banned.

So there were little records related to tea.

Because tea-horse trade was not valid, there were little records of tea in the Liao and Jin dynasty. It was not because there was no demand for tea. There were a lot of population than the northwest region. The population of the Liao dynasty is more than 7.8 million. The population of the Jin dynasty over 45 million. They conducted trading operations dealing in a variety of goods with the Song dynasty. The tea was a popular trade goods.

Buddhism was a basic foundation in the spread of tea culture.

Buddhism was developed in both dynasties. They actively used tea in royal rituals.

Dalam dokumen 遼金時代 茶의 消費와 交易* (Halaman 30-34)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