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Economic Crimes in Transition States and Implications for Korea's Unification Process
Ⅱ. 경제범죄의 개념 및 남한의 경제범죄 실태와 대응 33
미국 달러 의 확보 및 국외 유출 방지에 전력하였다 박정희 정부 하 의 경제개발계획 시기에도 국가가 경제를 주도하였다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이러한 기본적 태도에는 변화가 없었고 물가관리 제품가격 및 수급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져 왔다
이를 통하여서 우리의 년대 말에 해당하는 북한의 경제규모를 고려할 때 북한에서 발생하고 있거나 향후 발생할 범죄를 예측해 볼 수 있다 향후 북한에서의 경제범죄 유형을 전망함에 있어서는 우리와 같은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아니라 계획경제 배급경제를 기본으로 하 면서 극히 제한적인 사적 소유 및 시장을 인정하다가 최근 일정 부분 시장을 허용하고 있는 북한 경제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즉 우리와 같은 소비자 재벌 민간은행 수표 신용카드와 같은 문제가 범 죄화되는 경우를 아직은 상정하기 힘들다 다만 예외적으로 북한의 경 우에도 전자결제카드가 등장하여 활용되고 있다
54)
는 점에서 관련 범 죄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다 그러나 북한의 전자결제카드는 북한 내부 에서 널리 통용되는 것이라기보다 외화 소지 및 환전의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하여 카드 발행 시에 외화를 현금으로 받고 그에 상응하는 금액 이 기입된 선불식 유가증권에 유사한 것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신용기 능이 포함된 신용카드라고 보기는 힘들다는 점에서 아직은 그 경제적 의미가 크지 않다 그렇다면 우리가 경제범죄로 상정하고 있는 범죄들 가운데 개인 간에 벌어질 수 있는 몇몇 유형들은 어떤 형태로든 나타 나겠지만 그 가운데 주된 유형은 국가의 통제를 회피하여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범죄 예를 들어 궁극적으로 국고로 들어가야 할 수출대금의54)최문 최근 북한의 경제 금융 개혁 함의와 과제・ 북한과의 비즈니스와 금융 경남 대 극동문제연구소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 공동 주최국제학술회의 자료집・
에서는 북한의 전자결제카드 나래 를 소개하고 있다
∼
34
전환기 국가의 경제범죄 분석과 통일과정의 시사점일부 착복 횡령 배임 이나 밀무역 및 이를 묵인하는 대가 취득 수뢰 공갈 등과 여기에 수반하는 범죄 예를 들어 범죄로 취득한 재산의 외 국 중국 은행에의 불법 반출 및 예치 등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55)
55)기광도 체제통합에 따른 사회변화와 범죄양상 독일통일과정을 중심으로 이하에서도 북한의 공무원 범죄 문제를 별도로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 범죄는
일반인 혹은 산업 주체인 범죄자와 공무원이 결탁하는 형태로 만연되어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보다 집중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윤인주 북한의 사유화 현상 연구 실태와 함의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제 권 제 호 북한 연구학회 이하에서 분석하고 있는 유형을 보아도 북한의 주된 경제 주 체가 상당수 국영기업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소유형태하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은 자본주의 경제에서와는 달리 경제범죄에서 공무원 준공무원들의 관 여가 보다 두드러질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