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Economic Crimes in Transition States and Implications for Korea's Unification Process
Ⅲ. 북한에서의 경제범죄 실태와 대응 99
의 경제범죄인 개인적 재산범죄와 관련하여서는 장마당 활성화 등에 따른 시장화 및 개인의 사적 소유 확대로 북한주민들이 소유권 내지 재산권에 대한 인식을 하게 되면서 개인 소유 내지 재산 관련 범죄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향후에도 개인적 재산범죄는 북한 사회에서 중요한 경제범주의 유형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광의의 경 제범죄와 관련하여 북한에서 증권 보험 금융 신용 관련 법규가 제정 되어 있고 관련 논문들도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북한 사회에서 증권 보험 금융 신용거래는 아직 일반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증권범죄 보험범죄 금융범죄 신용범죄는 흔치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최 광의의 경제범죄와 관련하여서는 뇌물범죄와 마약범죄가 북한 사회에 서 성행하고 있으며 초기 형태의 조직범죄와 기업범죄가 등장하여 사 회문제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제범죄에 대한 대응에 있어 북한은 년 형법 개정 이래 년 형법부칙 일반범죄 제정 년 형법 개정에 이르기까지 경제범 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방향에서 대응하였다 그러다가 년 형 법 개정 시에는 반대로 경제범죄에 대한 처벌을 전반적으로 완화하였 다 이 같은 현상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지속될 것인지의 여부 는 현재로서는 단언하기 어렵다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인 여 러 상황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한편 북한은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핵 경제 병진 노선을 천 명하는 등 경제건설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북한의 경제건설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지의 여부와는 별도로 경제건설 및 경제 성장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경제범죄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북한의 년과 년 년 형법 개정을 보면 상대적 으로 중요성이 떨어지는 범죄는 처벌을 완화하거나 아예 폐지하고 반
100
전환기 국가의 경제범죄 분석과 통일과정의 시사점대로 북한 사회에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경 제범죄에 대해서는 처벌을 강화하고 새로운 규정을 신설하는 이원적 인 접근을 하였다 이 같은 접근방식은 향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 으로 보인다 그러면 앞으로 경제건설 내지 체제전환 과정에서 북한 사회 내에 어떤 유형의 범죄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이에 따라 북한 당 국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이에 대한 시사점을 찾기 위해 제 장에서 는 해외 사례로 통일독일과 러시아 중국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통일과정에서 어떤 유형의 경제범죄가 발생할 것인지를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