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경주남산 미륵곡

Dalam dokumen 경주 남산의 보물 계곡들 (Halaman 44-62)

43 미륵곡

미륵곡

미륵곡(彌勒谷)은 미륵보살 부처( ) 골짜기라는 뜻입니다. 탑곡 입구에서 남쪽으로 500m 정도 도로를 따라가면 갯마 을이 있습니다 사천왕사지에서 동남산으로 들어오는 도로. 를 들어오면 만나는 마을입니다 옛날에는 나룻배가 닿던. 곳이라고 합니다 이 갯마을에는 산에서 마을 쪽으로 흐르. 는 작은 골짜기가 있는데 그곳이 미륵곡입니다 이 미륵곡. 능선길을 250m 가량 올라가면 보리사 사찰 가 있습니다( ) .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보물[ 136] (보리사지) 배반동 고도

( : 124m)

이 불상은 화려한 광배와 대좌까지 완전히 갖추고 있고, 얼굴 모양과 몸의 장식까지 완형에 가깝게 남아있습니다.

육계가 높은 머리는 나발로 덮여있고 살이 오른 얼굴은 균 형감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머리 크기가 큰 편입니다 광. . 배는 외곽을 이중단형으로 맺음 처리하였고 그 안은 화염문 과 화불 등이 채워져 있습니다 대좌는 지대석 위에 복련. 대좌를 놓고 팔각간주를 세운 뒤 앙련의 상대석을 얹어놓은 구조입니다 그 대좌는 높지 않아 안정이 있습니다 통일신. . 라 중기의 불상으로 추정됩니다.

경주국립공원 역사문화유산

경주 남산의 보물 계곡들 44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보물[ 136]

45 미륵곡

미륵곡 석조불상 광배 뒷면에는 거의 선각에 가까운 얕은 부조의 약사여래좌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마모가 심하여 얼. 굴 등의 세부 모습은 확인하기 어려우나 전체적으로 조화, 롭고 아름답게 흐르는 선율을 보여줍니다.

미륵곡 보리사 삼층석탑 (보리사지 배반동) ( : 고도 120m) 보리사 경내에 흩어져 있던 탑재들로 1993년 새로 복원 한 삼층석탑입니다 노반석 이상의 상륜부는 새로 제작되었. 습니다 그리고 여러 군데 부족한 탑재들을 새로 만들어 현. 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습니다. 9세기 중반 이후의 석탑으 로 추정됩니다 현 보리사터에는 적어도 기의 탑이 있었던. 4 것으로 추정됩니다.

보리사 마애석불 유형문화재[ 193] (보리사지) (미륵곡, 배반동 : 고도 138m)

미륵곡 석조여래좌상에서 남쪽의 소로로 50m 가량 오르 면 동쪽으로 절벽을 이루는 바위면에 불상이 새겨져 있습, 니다 광배를 마치 감실처럼 파 넣고 그 안에 불상을 부조. 하였습니다 그 바탕을 이루는 자연 암반은 자연스레 대좌. 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망 좋은 곳에 위치한 이 불상은, 동남산 자락을 굽어보고 있습니다.

경주국립공원 역사문화유산

경주 남산의 보물 계곡들 46

보리사 마애석불 유형문화재[ 193]

경주국립공원 역사문화유산

경주 남산의 보물 계곡들 48

탑곡

탑곡(塔谷)은 탑의 골짜기라는 의미입니다 불곡 부처골. ( ) 어귀에서 남쪽으로 300m 가면 작은 마을이 있는데 탑골마 을입니다 탑곡은 전망대 부근에서 시작하여 북으로 흐르다. 가 해목령 쪽에서 흘러오는 옷밭골 여울이 합쳐지면서 옥, , 룡암을 지나 탑골마을 쪽으로 흐르는 개울입니다 길이는. 2 로 동남산에서 두 번째로 긴 골짜기지만 그 계곡은 넓지

않습니다 탑곡 입구에서 약. 600m 올라가면 오른쪽으로 웃 밭골을 만나게 되며 왼쪽으로 계속 가면 주노골입니다.

탑곡 사지 마애조상군1 (배반동)

탑곡과 불곡 사이 월정사 사찰 뒤쪽으로( ) 50m 정도 오르 면 산 중턱의 바위면에 불보살상을 새긴 마애조상군이 있, 습니다 가로. 8m, 세로 4m 크기의 암벽의 남동면과 남서면 에는 불상과 보살상 12구와 5층목탑 그 사이사이에 동식, 물이 선각되어 있습니다 대부분 마모가 심하여 자세하지는. 않습니다 남서면 삼존불은 남동면보다 시기적으로 앞선 것. 으로 보이나 전체적으로 조성시기는 다소 늦을 것으로 추, 정되고 있습니다 두 면은 조각 기법이나 표현 내용에서 많. 은 차이를 보입니다.

49 탑곡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보물[ 201] (傳 신인사지 배반동) ( ) 탑곡 입구에서 계곡을 따라 조금 오르면 1924년에 지어 진 옥룡암 사찰 이 있으며 인근에 부처바위 마애불상군 가( ) ( ) 있습니다 탑곡 마애불상군은 높이가 약. 9m, 둘레가 30m에 이르는 바위 사면에 여래상 보살상 비천상 금강역사상, , , , 승 상 등 총 24구가 부조되었으며, 9층탑, 5층탑, 3층탑 등이 새겨져 불국정토의 세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큰 바위들이. 군집한 이곳은 하나의 소우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바위의 남면 중앙에는 바위를 살짝 파내어 마치 감실과 같이 만들고 그 안에 저부조로 삼존불을 새겨놓았습니다.

높이 7m가 넘는 동면에는 가운데 본존불을 중심으로 보살 상과 하늘에서 내려오는 비천상이 둥글게 배치되었으며 가, 장 큰 높이의 북면에는 5m 높이의 층탑과9 3.5m 높이의 7 층탑이 새겨지고 그 사이에 여래좌상이 새겨졌습니다 마애. 탑은 전형적인 석탑 형식이 아닌 목탑의 구조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바위면이 가장 좁은 서면에도 본존불이. 새겨지고 하늘에서 비스듬히 내려오는 비천 2구가 새겨져 있습니다 이밖에도 앞의 별석과 몇 개의 독립된 작은 바위. 에도 여러 구의 신장상과 승상 승려상 등이 새겨 있습니다( ) . 지금까지 삼국시대인 7세기 중엽에 조성되었다는 견해와, 통일신라인 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이란 견해가 있습니다9 .

경주국립공원 역사문화유산

경주 남산의 보물 계곡들 50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보물[ 201]

51 탑곡

한편 탑곡 마애불상군의 남면 삼존불 앞에는 우람한 볼륨 의 여래입상이 있습니다 현재 두광의 상부와 머리 부분이. 심하게 깨져 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통일신라 불상의 특징. 을 보여주고 있는데 과장된 상반신에 비하여 하반신은 짧게, 표현되었습니다 이 불상의 정확한 존명을 추정하기는 어려. 운 형편입니다.

탑곡 사지 삼층석탑2 (傳 신인사지) (배반동)

탑곡 마애불상군 남면의 전방 가까이에 삼층석탑이 축대 위에 세워져 있습니다 이 탑은 도괴되어 있었으나. 1977년 에 지금 자리에 복원되었습니다 그 기단부는 단층기단이고. 탱주는 생략되어 있습니다 또 옥개받침이 단입니다 따라. 3 . 서 신라하대인 세기 후기의 탑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9 . 외에도 이 부근에는 여러 개의 탑재들이 있는데 대략 기, 3 이상의 탑재가 혼재된 것으로 파악됩니다.

경주국립공원 역사문화유산

경주 남산의 보물 계곡들 52

탑곡의 본류는 전망대 부근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 는데 이 정남향으로 흘러오는 왼쪽 골짜기가 주노골 주녹, ( 골 입니다 주노골은 작은 계곡과 노송이 어울어져 풍경이) . 아름답습니다 탑골마을 탑곡 입구에서 옥룡암 쪽 계곡 길이. 아니라 탑곡의 왼쪽 산줄기 능선을 따라 오르는 길이 있는데, 이 길을 따라 오르면 일천바위와 마왕바위를 만납니다 그리. 고 계속하여 전망대까지 도달하는 능선 길입니다.

전설에 의하면 옛날 이 부근은 평화롭고 아름다운 마을, 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를 시샘하는 마군 도적 들이 침입하여. ( ) 마을을 파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대항하였. 으나 당해낼 수가 없어 산 꼭대기에 올라가 하늘에 기도를, 올렸습니다 그러자 하늘이 갑자기 어두워지며 폭우가 쏟아. 지기 시작하였습니다 폭우는 사흘 밤낮을 계속 내려 계곡. 과 벌판이 잠기고 마을 사람이 있던 산 정상의 바위만 남게 되었습니다 비가 오는 동안 마군들이 홍수로 모두 쓸려가. 고 살아남은 사람은 이 바위에 있던 마을 사람 일천명 뿐이 었습니다 그래서 이 봉우리를 일천바위라고 부르게 되었습. 니다 또한 이곳의 바위틈에는 험상궂은 얼굴 형상의 바위. 가 있는데 이는 홍수때 떠내려가던 마왕의 얼굴이 끼인 것, 이라고 합니다 그것을 마왕바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

경주국립공원 역사문화유산

경주 남산의 보물 계곡들 54

불곡

불곡(佛谷, 부처곡 은 남산 불상 가운데 가장 오랜된 감실) 불상 마애여래좌상 이 있기에 붙은 이름입니다 사곡 절터곡( ) . ( ) 입구 음지마을에서 동남으로 약 500m 가면 약간 넓은 평, 지가 있고 서쪽으로 좁은 골짜기를 따라가는 작은 산길이, 나타납니다 이 좁은 계곡을 따라. 300m 정도 오르면 불곡 마애여래좌상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그리고 이곳에서. 400m 정도 더 오르면 남산신성의 좌창지 부근에 이르게 됩니다.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보물 198] (인왕동 : 고도 105m)

산 자락을 따라 흘러 내리는 화강암반 중간에 높이 2.3m, 너비 3.5m, 0.9m 깊이로 굴을 파서 감실을 마련하고 내부 에 불상을 조성하였습니다 이 불상은 바위를 파내고 감실. 을 만든 석굴형 불상이란 특징이 있습니다 그 감실 규모는. 높이 150 ,㎝ 너비 110㎝이고 불상은 높이, 115㎝입니다. 이 마애불은 산 자락에서 흘러내리는 자연 암반의 흐름을 거스리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불상의 기반인 듯 자연스럽, 고 조화롭게 조성되어 있습니다. 명상에 잠긴 듯한 불상의 온화한 얼굴에서 고요하고 잔잔한 미소가 배어나옵니다.

옷주름은 선각으로 표현되고 양쪽 어깨를 감싼 통견입니다.

55 불곡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보물[ 198]

경주국립공원 역사문화유산

경주 남산의 보물 계곡들 56

남산 불상 가운데 가장 빠른 삼국시대 불상으로 추정됩니다.

불곡 니불 (국립경주박물관)

년 불곡에서 출토되었다고 하는 높이 의 소형

1961 10㎝

흙불상입니다 앙련의 연화대좌에 결가부좌한 좌상으로 육. 계가 크며 광배도 표현되어 있습니다 좌불이 조각된 전면. 은 직각이면서 뒷면은 위로 가면서 점차 얇아져 바닥에 세, 울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국립경주박물관이 고물상으로부. 터 입수하여 소장하고 있습니다.

Dalam dokumen 경주 남산의 보물 계곡들 (Halaman 44-62)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