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해조류 1) 종 다양성
10개 조사 도서의 조하대에서 3문 22목 39과 총 138종(녹조류 12종, 갈조류 27종, 홍조류 99종)의 해조류 분포를 확인하였고, 분류군별 출현종수 비율은 녹조류가 8.70%, 갈조류 19.57% 그리고 홍조류 71.73%로 홍조류의 출현 비율이 높았다. 국내 연안에서 하계에 홍조류의 출현종이 많아 해조류 분류군 별 출현 비율이 높은 것과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좌사리도에서 57종으로 해조류 출현종수가 많았고 탁 도가 높았던 안목섬에서 6종으로 적었다[그림 18].
생물량은 평균 95.64 g dry wt./㎡로 빆목섬에서 179.41 g dry wt./㎡로 많았고 네바위에서 24.64 g dry wt./㎡로 적었다. 간여암, 좌사리도, 대구을비도, 남여도, 북여도에서는 갈조류의 생물량이 많았고, 나머지 도서에서는 홍조류의 생물량이 많았다. 해조류의 수심별 수직분포 특성상 녹조류는 조간대에 많이 분포하는 특징으로 조하대 조사에서는 생물량 및 출현종수가 적었다[그림 4]. 수심별로는 수심 5m에서 평균 148.91 g dry wt./㎡, 10m 평균 44.02 g dry wt./㎡ 그리고 15~20m의 수심에서 평균 2.27 g dry wt./㎡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생물량이 적었다.
[그림 18] 2021년 조사 도서 분류군별 출현종수 및 생물량
2) 해조류 분포 특성
분류군별 출현종수 비율의 지수는 해조류의 지리적 분포양상을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고 있다. 갈조류 에 대한 녹조류 비율(C/P) 값은 한대에서 아열대 해역에 걸쳐 0.4~1.5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Segawa, 1956). 10개 도서의 조사 평균 C/P값은 0.5로 한대성 해조상에 가까웠는데, 이는 조사가 조하대에 국한 되어 녹조류의 출현이 적어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Feldmann(1937)은 갈조류에 대한 홍조류의 비 율(R/P)로 해조류의 지리적 분포 특성을 판단하였는데, 한대와 극지역에서는 1.0 이하, 온대지역에서는 1.0~4.0 그리고 열대해역에서는 4.0 이상의 값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본 조사에서 나타난 R/P값은 평균 4.7로 열대성 해조상으로 나타났지만, 소구을비도, 대구을비도, 남여도, 북여도에서는 갈조류가 많 이 출현하고 다른 도서보다 홍조류 출현이 적어서 온대 해조상으로 나타났다. 모든 분류군을 이용하여 판 단하는 갈조류에 대한 녹조류와 홍조류의 비율((R+C)/P)은 값이 3 이하일 때 온대성 또는 한대성, 3~6 범위는 혼합성 그리고 6 이상은 열대성 해조상으로 판단한다(Cheney, 1977). 조사 결과 평균 5.1로 온 대와 아열대의 혼합 해조상으로 나타났지만, 밖목섬, 소평여도, 네바위에서 (R+C)/P값이 6 이상의 열대 성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해조류의 지리적 분포 특성은 아열대와 열대성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 는 수온이 높은 조사시기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판단되며, 수온이 낮아지는 동계, 춘계 그리고 녹조류의 출현이 많은 조간대지역의 해조상까지 포함하여 보다 신중하게 판단하여야 하겠다.
간여암, 좌사리도, 대구을비도, 남여도, 북여도에서는 갈조류가 우점으로 나타났고, 소구을비도에서는 우뭇가사리( Gelidium elegans )가 기타 도서에서는 산호조류(Coralline algae)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갈조류가 우점한 지역은 탁도가 낮아 수색이 맑은 지역이었으며, 홍조류가 우점한 지역은 탁도가 높은 지 역이었다. 우뭇가사리와 산호조류는 국내 연안 하계 고수온 환경에서 번무하는 대표적인 해조류이다.
나. 저서무척추동물 1) 종수 및 서식밀도
2015~2021년 동안 총 37개 섬(홍도, 세존도, 백도, 거문도(2015), 여서도, 병풍도, 옹도, 어유도, 소 치도, 불근도, 행금도, 칠발도, 소다포도, 소매물도, 곡두도, 두억도, 탄양도, 납태기도, 백야도, 홍도(다도 해), 정족도, 갈도, 소안도, 목도, 대항도, 거문도 서도, 거문도 동도, 안목섬, 밖목섬, 소평여도, 간여암, 조사리도, 네바위, 소구을비도, 대구을비도, 남여도, 북여도) 수중 암반에서 확인된 저서무척추동물의 생 물정보를 제시하였다[표 21]. 총 출현종수는 624종이었으며, 분류군별로 보면, 해면동물 27종, 자포동물 75종, 태형동물 123종, 성구동물 2종, 완족동물 2종, 연체동물 166종, 환형동물 65종, 절지동물 91종, 극피동물 60종, 척삭동물 13종으로 구성되었다.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 중에서 연체동물이 전체의 26.6%로 가장 많았으며, 태형동물(19.7%), 절지동물(14.6%), 자포동물(12.0%)도 비교적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7년 동안 출현종수는 거문도 서도가 147종으로 가장 많았고, 거문도 동도(137종), 세존도(123종), 소
안도(114종), 백도(108종), 갈도(108종), 홍도(한려)(105종), 거문도 2015(90종), 여서도(83종) 순으로
출현하였다. 한편 칠발도(32종)가 가장 낮은 종수를 보였으며, 소다포도(48종), 병풍도(45종), 안목섬(48
종), 밖목섬(48종), 소평여도(47종), 네바위(40종), 대구을비도(46종), 남여도(37종), 북여도(43종)은 50 종 이하로 다소 낮은 종수를 보였다[표 21].
서식밀도는 평균 353 개체/㎡이었으며, 소치도에서 4,341 개체/㎡로 가장 많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그 다음으로 좌사리도(1,294 개체/㎡), 세존도(502 개체/㎡), 병풍도(443 개체/㎡), 두억도(427 개체/
㎡), 안목섬(419 개체/㎡) 등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한편 칠발도, 곡두도, 홍도(다도해)는 100 개체/
㎡ 이하의 서식밀도를 보였다.
2) 생물다양성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는 적정 채집면적(≒ 정점수)에 도달하기까지는 채집면적에 크게 영향을 받 기 때문에 출현종수를 좀 더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서는 채집면적의 영향을 상쇄시키는 비교방법이 필 요하다. 각 정점에서의 채집면적이 동일한 점을 이용하여 정점 당 평균 출현종수를 계산하였다. 이렇게 계 산한 단위면적(0.25㎡) 당 출현종수는 세존도가 37종/0.25㎡으로 가장 높았다. 20~30종/0.25㎡ 범위 에 있는 주요 섬은 홍도, 백도, 거문도(2015), 여서도, 거문도 서도, 거문도 동도이었으며, 10-20종 /0.25㎡ 범위에 있는 주요 섬은 병풍도, 옹도, 어유도, 불근도, 행금도, 두억도, 탄양도, 납태기도, 백야 도, 홍도(다), 갈도, 소안도, 목도, 대항도, 안목섬, 밖목섬, 네바위, 소구을비도, 좌사리도, 남여도, 북여 도, 간여암, 대구을비도이었다. 10종/0.25㎡ 이하의 범위 주요섬은 소치도, 칠발도, 소다포도, 소매물도, 곡두도, 소평여도이었으며, 소다포도가 5종으로 가장 낮았다. 2021년 조사된 10개 섬은 대부분 20~30 종/0.25㎡ 범위에 속하였다[그림 19].
[그림 19] 2015~2021년 주요 섬 저서무척추동물 정점당 평균 출현종수(종/0.25㎡) 분포
공원명 조사년도 조사도서 출현종수 평균 서식밀도 (개체/㎡)
생태지수 보호종
종다양도(H') 종균등도(J) 종풍부도(D) 출현종수
한려
2015 홍도 105 197 2.94 0.92 4.68 5(5)
세존도 123 502 3.01 0.84 5.78 0(1)
2016 어유도 73 84 2.32 0.91 2.40 -
소치도 60 4,341 1.34 0.65 1.54 -
2017 소다포도 48 41 1.32 0.88 1.58 -
소매물도 67 58 2.47 0.87 1.62 -
2019 갈도 108 187 2.01 0.76 4.10 -
소 계 327 773 2.20 0.83 3.1 5(5)
다도해
2015
백도 108 179 2.72 0.91 4.25 4(2)
거문도 90 254 2.35 0.81 3.80 2(4)
여서도 83 182 2.57 0.87 3.71 4(1)
병풍도 45 443 2.07 0.79 2.55 0
2016
불근도 57 417 1.56 0.58 2.33 0(1)
행금도 63 126 2.35 0.86 3.44 0
칠발도 32 75 1.63 0.87 1.50 0
2017 곡두도 80 88 2.62 0.86 2.59 1
두억도 64 427 1.46 0.46 2.47 -
2018
탄항여 60 159 1.88 0.74 2.92 1
납태기도 50 132 1.88 0.74 2.92 -
백야도 56 176 1.91 0.85 2.42 (1)
홍도 77 53 1.99 0.76 3.04 -
2019
대항도 65 218 1.59 0.68 3.51 1
목도 72 198 2.46 0.85 4.71 1
소안도 114 216 2.30 0.78 4.82 0
2020 거문도 서도 147 156 2.96 0.93 4.76 0
거문도 동도 137 240 2.67 0.85 4.58 1
소계 477 208 2.17 0.79 3.35 4(4)
태안
2015 옹도 55 252 2.23 0.84 3.34 0
2019 정족도 51 118 1.81 0.82 2.45 0
소계 87 185 2.02 0.83 2.90
공원 외 2021
안목섬 48 419 1.98 0.72 4.23 1
밖목섬 48 329 2.08 0.71 4.33 -
소평여도 47 63 1.83 0.91 2.95 -
간여암 54 131 2.08 0.88 3.75 1
좌사리도 68 1,294 1.63 0.66 3.77 2
네바위 40 146 2.6 0.91 4.72 -
소구을비도 54 261 2.16 0.76 4.29 -
대구을비도 46 343 1.58 0.75 3.3 -
남여도 37 251 1.97 0.73 3.68 1
북여도 43 280 1.85 0.74 3.69 1
소계 196 353 1.98 0.78 3.87 5
합계(평균) 624(전체) 352(평균) 2.11(평균) 0.80(평균) 3.42(평균) 6(9) [표 21] 2015∼2021년 주요 섬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태지수 및 보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