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가보호종(산호충류) 생태학적 연구 및 분포조사

Dalam dokumen 연안생태축 기본조사 (Halaman 70-90)

1 연구배경

국가보호종이란

"국가보호종"이란 우리나라에 사는 생물들을 보존 및 보호하기 위하여 환경부, 해양수산부, 문화재청, 산림청 등이 관련 법률에 따라 지정 보호하는 생물들을 말한다. 환경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멸종위기야생생물,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 조제11호에 따른 해양보호생물, 문화재청: 「문화재보호법」 제25조제1항에 따른 천연기념물 중 동물 및 식물, 산림청: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제4호에 따른 희귀식물 및 제2조제5호의 특산식 물 등이다.

국립공원의 국가보호종 연구의 필요성

국가에서 지정·관리하는 국가보호종은 관련 부처에서 보호 목적에 따라 별도 지정 관리 중이며, 해양생 태계에 서식·분포하는 생물은 총 88종(무척추동물: 36종, 포유류: 19종, 조류: 16종, 해조류/해초류: 7 종, 해양어류: 5종, 파충류: 5종)으로 무척추동물이 40%를 차지한다. 국립공원연구원은 공원 내 해양 국 가보호종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2012년부터 국제적 관심자원 분포에 관한 연구, 유ㆍ무인도서 및 특정도서 정밀조사를 시작으로 2014년 법정보호 해양생물 서식환경 모니터링, 2016년부터 해상ㆍ해 안국립공원 내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 현황조사, 2017년 멸종위기야생생물 분포조사 및 특성연구, 2018년 멸종위야생생물 분포조사 및 특성연구(게류, 연체류), 2019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조사(산호 충류)를 진행하였다. 지금까지의 조사는 분포 확인 중심의 조사로 생태연구(생활사, 성장률, 번식방법, 분 포한계, 서식지 환경정보 등)에 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국가보호종(산호충류)의 생태연구 자료 확보

산호충류는 국가보호종(해양생물) 88종 중 22종(약 26%)을 차지하고, 고착동물의 특성으로 장기간 안 정적인 조사가 가능하며, 환경변화에 따른 생태연구에 적합한 분류군이기도 하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거문도ㆍ백도지구는 공원 내 산호충류의 다양성이 가장 높은 곳으로 국가보호

종 산호충류가 9종이 서식하며, 2020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착생깃산호의 국내 최대서식지로 2021

년에는 흰수지맨드라미가 남해안에서 최초로 확인되었다. 또한 금오도지구의 소알마도는 국립공원 내 멸

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유착나무돌산호의 최대서식지로 확인된 곳이다. 따라서, 거문도, 소알마도의 산호

충류 서식환경과 실태,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을 연구하여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국가보호종 산호충류의

보호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2 조사지역

가. 산호충류 군집변화 모니터링

산호충류 군집변화 기초연구를 위하여, 국립공원 생물종 목록에서 현황을 파악한 후, 해상·해안국립공원 중 산호충류의 종 다양성이 높고, 국가보호종 산호충류가 다양하게 서식하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거문 도·백도지구의 거문도(서도)를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였다[그림 29].

조사지역 조사지역 전경

[그림 29] 산호충류 군집 변화 조사지역

나. 국가보호종[유착나무돌산호(멸종Ⅱ급)]의 개체군 연구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유착나무돌산호의 개체군 생태학적 연구를 위하여, 공원 내 유착나무돌산호의 최대 서식지로 알려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금오도지구 소알마도를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그림 30].

조사지역 조사지역 전경

[그림 30] 유착나무돌산호 개체군 모니터링 조사지역

다. 국가보호종(산호충류) 분포조사 1) 신규 편입예정도서 산호충류 분포조사

국립공원 신규편입예정도서(10개)의 국가보호종 산호충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중 조사를 시행하 였다[그림 31].

∎ 한려해상국립공원 인근의 6개 도서: 북여도, 남여도, 대구을비도, 소구을비도, 네바위, 좌사리제도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인근의 4개 도서: 간여암, 소평여도, 안목섬, 밖목섬.

조사지역

[그림 31] 국가보호종(산호충류) 조사지역

2) 국립공원 내 국가보호종(산호충류) 신규 서식지 확인

국립공원 내 산호충류 신규서식지 발굴을 위하여 거문도·백도지구 수중 조사를 시행하였다.

3 조사방법

가. 산호충류 군집변화 모니터링 1) 분포현황

해상·해안국립공원 중 산호충류가 다양하게 서식하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거문도·백도지구의 산호충류 분포파악을 위하여 국립공원생물종 목록과 국립공원연구원의 연구결과보고서(2018년 아열대성 산호충류 분 포현황조사, 2019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조사(산호충류), 2020년 국립공원 도서·연안생태축 기본조사)를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하였다.

2) 중점조사구역 선정

국립공원생물종 목록의 현황을 중심으로, 해상·해안국립공원 중 산호충류의 종 다양성이 높고, 국가보호종 산호충류가 다양하게 서식하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거문도를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장기간 지 속적인 산호충류의 생태연구를 위하여 수심 10m와 20m에 고정방형구(2×2m)를 설치하고 수심 20m에는 수온 및 염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교체·설치하였다[그림 32].

※수온·염분 자료는 설치가 시작된 2020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의 관측자료 사용

조사지점 방형구 설치

방형구 조사 수온·염분센서 교체 및 설치

[그림 32] 산호충류 군집변화 조사지점

3) 군집변화 조사

2020년 조사결과에서 확인된 방형구 내 산호충류의 군집변화, 서식지역 변화, 인위적 간섭 등으로 인한 산호 충류의 성장에 관한 위협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고정방형구(2×2m) 내의 산호충류의 종류와 개체수를 확인하 였다. 서식면적 및 대상종의 측정은 국가보호종(해양생물) 모니터링 매뉴얼의 개체수 측정 방법을 따랐다.

4) 서식환경 특성조사

산호충류의 분포는 다양한 해양 환경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수온, 염분도, 해류, 투명도, 수심, 조석 등이다(송준임, 2004). 다양한 환경요인 중에서 산호충류의 생육에 가장 중요한 환경 요인인 수온·염분을 측정하고자 데이터로거 HOBO(모델명:SBE37-SM)를 1분 간격의 측정 주기로 설 정하여 설치 및 운영하였다.

나. 국가보호종[유착나무돌산호(멸종Ⅱ급)]의 개체군 연구 1) 분포 현황 및 중점조사구 선정

유착나무돌산호의 분포 현황 조사는 문헌자료와 언론, 인터넷, 제보 및 탐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전 조사하 였다. 사전조사 결과 유착나무돌산호의 출현빈도가 높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금오도지구 소알마도를 조사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유착나무돌산호 개체군 모니터링을 장기간 지속해서 관찰하기 위해 수심 15m 유 착나무돌산호 서식지에 고정방형구(2×2m)를 설치하였다[그림 33].

2) 개체군 조사

고정방형구(2×2m) 내의 유착나무돌산호 개체군 특성 파악을 위하여 체장, 체폭 등 형태학적 특성 측 정과 개체군 변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개체수를 계수하였다,

3) 서식환경 특성조사

유착나무돌산호 서식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장기간 수온 측정이 가능한 HOBO(모델명:U22-001)를 설치하였고, 측정 주기는 30분 간격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부착기질과 생육지 주변 상태 등과 서식지역에 대해 서식위협 요인, 오염, 인위적 간섭 등으로 인한 위협현황을 조사하였다.

4) 동소(동일 서식지)출현종 조사

유착나무돌산호의 생태적 지위를 파악하기 위한 군집생태학적 조사로 동소종을 조사하였다. 출현종에

대해서 사진으로 기록 후 문헌과 전문가 자문 등으로 동정하였다. 조사된 출현종에 대해서는 공간점유 등

생태적 지위를 고려하여 유착나무돌산호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지점 방형구 설치

방형구 조사 수온센서 설치

[그림 33] 유착나무돌산호 개체군 생태연구 조사

다. 국가보호종(산호충류) 분포조사

신규편입예정도서(10개 섬: 북여도, 남여도, 대구을비도, 소구을비도, 네바위, 좌사리도, 간여암, 소평

여도, 안목섬, 밖목섬)의 국가보호종(산호충류) 분포조사를 위하여 문헌, 언론, 인터넷, 제보 및 탐문 등에

다양한 방법으로 분포정보를 사전 조사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해 국가보호종 개체가 확인된 곳을 중심으로

설정하고 현지 조사를 하였다.

4 조사결과

가. 산호충류 군집변화 모니터링 1) 분포현황

산호충류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의 동물 자포동물2: 산호충강(송준임, 2000), 한국동식물도감 제 39권 동물편(산호충류)(송준임, 2004) 그리고 국립공원공단 내 자료를 활용하였다.

∎ 거문도·백도지구의 국가보호종 산호충류는 1강 4목 12과 15속 24종이다[표 25].

- 국가보호종 산호충류는 총 22종으로 거문도·백도지구에는 9종(약 41%)이 확인되었다.

Order 목 Family 과 Genus 속 학명 국명

Actiniaria 해변말미잘목

Actiniidae 해변말미잘과

Aulactinia

혹해변말미잘속

Aulactinia coccinea

진혹해면말미잘

Alcyonacea 해계두목

Acanthogorgiidae 가시산호과

Acanthogorgia

가시산호속

Acanthogorgia inermis

민가시산호

Alcyoniidae 바다맨드라미과

Eleutherobia

바다딸기속

Eleutherobia rubra

바다딸기

Clavulariidae 곤봉산호과

Clavularia

곤봉산호속

Clavularia mikado

미카도곤봉산호

Clavularia racemosa

송이곤봉산호

Melithaeidae 뿔산호과

Melithaea

뿔산호속

Melithaea formosa

포모사바늘산호

Melithaea japonica

부채뿔산호

Melithaea undulata

물결바늘산호

Nephtheidae 곤봉바다맨드라미과

Chromonephthea

해면맨드라미속

Chromonephthea hirotai

빨강해면맨드라미*

Dendronephthya

수지맨드라미속

Dendronephthya alba

흰수지맨드라미*

Dendronephthya spinulosa

가시수지맨드라미

Dendronephthya suensoni

검붉은수지맨드라미*

Plexauridae 총산호과

Anthoplexaura

꽃총산호속

Anthoplexaura dimorpha

꽃총산호

Euplexaura

진총산호속

Euplexaura crassa

둔한진총산호*

Euplexaura recta

곧은진총산호

Primnoidae 폴립산호과

Plumarella

깃산호속

Plumarella adhaerans

착생깃산호*

Antipatharia 각산호목

Antipathidae 해송과

Cirripathes

실해송속

Cirripathes anguina

실해송*

Myriopathidae 다해송과

Myriopathes

다해송속

Myriopathes bifaria

이엽해송

Myriopathes japonica

해송*

Myriopathes lata

긴가지해송*

Scleractinia 돌산호목

Dendrophylliidae 나무돌산호과

Dendrophyllia

나무돌산호속

Dendrophyllia arbuscula

관목나무돌산호

Dendrophyllia cribrosa

유착나무돌산호*

Rhizopsammia

뿌리돌산호속

Rhizopsammia minuta mutsuensis

무쓰뿌리돌산호 Rhizangiidae

근생돌산호과

Oulangia

진돌산호속

Oulangia stokesiana miltoni

밀톤진돌산호 [표 2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거문도·백도의 산호충류

* 표시는 국가보호종

Dalam dokumen 연안생태축 기본조사 (Halaman 70-9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