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고찰

Dalam dokumen 참여연구진 (Halaman 57-80)

가. 해조류 및 해산현화식물 1) 종 다양성

거문도 동도와 서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산식물은 해조류 77종(녹조류 4종, 갈조류 14종, 홍조 류 59종)과 해산현화식물인 해초류 게바다말(

Phyllospadix japonica

) 1종 총 78종이 분포하였다 [부록 1]. 조사지선 별로는 동도 북쪽의 조사지선 5에서 38종이 분포하여 가장 많았으며, 동쪽으로 돌출된 지형의 7번 조사지선에서 14종의 해산식물이 분포하여 가장 적었다. 분류군별 출현비율은 녹조류가 0~6.25% 범위로 평균 2.33%로 낮았으며, 갈조류가 11.76~25.00% 범위로 평균 17.24%의 비율로 출현하였다. 홍조류는 평균 79.21%로 출현종의 대부분이 홍조류였으며, 최소 68.75%에서 최대 86.67%로 나타났다. 해산현화식물인 게바다말은 조사지선 1과 5에서 평균 1.22%의 낮은 출현종 구성비율로 분포하였다[그림 19].

수심에 따른 해조류와 해초류의 분포는 수심 5m에서 평균 12종, 수심 10m에서는 평균 13종 그리고 수심 20m에서는 평균 5종의 해산식물이 출현하였다. 녹조류와 갈조류 그리고 게바다말은 5~10m 수심에서 출현하였고 비교적 깊은 20m에서는 홍조류의 출현이 두드러졌다.

[그림 19] 2020년 거문도 조사지선과 수심에 따른 해산식물 출현종수

분류군별 해산식물의 생물량 구성 비율은 갈조류가 평균 59.76%로 조사지선에 따라 46.81~86.26%의 구성 비율로 높았으며, 홍조류가 평균 38.86%로 4.40~53.19%의 범위, 녹조류 는 평균 0.05%로 매우 낮은 생물량 구성 비율을 보였으며, 해산현화식물인 게바다말도 평균

1.33%로 낮았다. 대체적으로 갈조류의 생물량이 홍조류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조하대 조사의 특성 상 녹조류의 생물량은 매우 적었다. 가장 낮은 5m 수심에서 평균 생물량은 333.00 g dry wt./㎡

로 가장 많았으며, 수심 10m 평균 144.20 g dry wt./㎡ 그리고 20m 수심에서 평균 60.95 g dry wt./㎡로 적었다[그림 20].

조사정점별 해산식물 우점종 구성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다. 조사지선 1~3에서는 감태(

Ecklonia cava

)가 우점종이었으며, 조사지선 4에서는 넓은게발(

Amphiroa anceps

), 조사지선 5에서는 큰열 매모자반(

Sargassum macrocarpum

), 조사지선 6에서는 외톨개모자반(

Myagropsis myagroides

)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선 7에서는 우점종 없이 큰열매모자반 등이 준우점종이었다. 따라 서 금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판정한 거문도 전체의 우점종은 감태였으며, 수심 5~10m에 다수 분 포하였고, 준우점종으로는 큰열매모자반과 이들 갈조류 하부에 분포하는 넓은게발로 나타났다[표 27].

[그림 20] 2020년 거문도 조사지선과 수심에 따른 해산식물 생물량

조사지선

1 2 3 4 5 6 7

우 점 종

감태 감태 감태 넓은게발 큰열매모자반 외톨개모자반

준 우 점 종

작은구슬산호말 방황혹산호말

구슬모자반 감태

작은구슬산호말

방황혹산호말 넓은게발

큰열매모자반 감태 에페드라게발

넓은게발 [표 27] 2020년 거문도 조사지선별 해산식물 우점종 및 준우점종

2) 군집분석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국립공원 내 27개 주요 섬(변산반도 하섬 포함) 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해조류 출현종수는 총 255종(녹조류 24종, 갈조류 57종, 홍조류 174종)이 확인되었고, 해산현화식 물인 게바다말의 출현도 나타났다(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5b; 2016a; 2017a;

2018a; 2019d). 공원별로는 태안해안국립공원(옹도와 정족도)의 출현종수가 총 53종(녹조류 3종, 갈조류 8, 홍조류 42종)으로 적었고, 변산반도국립공원(하섬)에서는 총 69종(녹조류 13종, 갈조류 13종, 홍조류 43종)이 확인되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칠발도 등 16개 도서)의 출현종수는 총 199종(녹조류 16종, 갈조류 42종, 홍조류 141종)으로 확인되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소치도 등 7 개 도서)에서는 총 138종(녹조류 9종, 갈조류 39종, 홍조류 90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다[그림 21].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해조류 출현종의 정성자료를 바탕으로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출현종이 다양하고 조하대 해조군집이 발달한 그룹과 탁도가 높고 해조류 생육이 저조한 그룹 그리고 탁도가 높아, 낮은 수심과 조간대에 해조군집이 발달한 그룹 등 총 3 그룹으로 집괴 되었다. 먼저 탁도가 높고 부유물의 침적이 많은 납태기도, 탄항여, 행금도, 옹도, 백야도가 그룹 A 그리고 높은 탁도로 해조류 출현종이 적었으나 그룹 A와는 출현종 구성이 다소 상이한 칠발도와 곡두도가 그룹 a로 집 괴 되었다. 특히 조하대 해조군집이 발달한 그룹 B에는 전남 홍도, 갈곶도, 소매물도 등이 포함되 어 있으며, 경남 홍도, 세존도, 백도, 거문도, 여서도는 출현종수가 많고 갈조류의 해조군집이 발달 한 특성으로 그룹 b로 집괴 되었다[그림 22].

[그림 21] 2015~2020년 주요 섬 해조류 출현종수

정족도, 대항도, 소안도 그리고 목도는 탁도가 높아 조하대 해조군집은 잘 발달하지 못하였지만, 수심 1~4 m의 조하대 상부 해조군집이 다소 발달하였다. 그리고 군집구조가 조간대 해조군집과 유사한 까닭에 하섬과 함께 집괴 되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소치도의 경우 조하대 해조군집 보다는 조간대와 조하대 상부에 이르는 지역의 해조군집이 발달하였는데, 하섬을 비롯한 그룹 C와는 군집 구조가 상이하여 독립되어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다도해해상과 한려해상국립공원 도서의 경우 연안 에 위치한 도서보다는 외해에 위치한 도서에서 출현종수가 더욱 많았고 해조군집이 발달하였는데, 이는 탁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림 22] 2015~2020년 주요 섬 해조군집 특성에 따른 집괴분석

2015∼2020년 27개 주요 도서별 해조류 생태지수를 살펴보면 [표 28]과 같다. 해조류 종풍부 도 지수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홍도에서 17.93으로 최대를 보였고, 금년 거문도에서 4.80으로 최소 값을 보였으며, 종균등도 지수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백야도에서 0.97로 최대, 다도해 홍도에서 0.11로 최소였다. 종다양도 지수는 대항도에서 3.07로 최대, 태안 옹도와 다도해 홍도에서 공히 0.41로 낮은 값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옹도에서 해조류의 종풍부도, 종균등도, 종다양도 지수가 다 른 도서들에 비하여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옹도를 제외한 정점에서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도서들이 종풍부도가 다소 높은 반면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도서들이 균등도와 다양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단순한 생태지수 값만으로는 판단해보면, 외해에 분포한 도서들에서 해조류 식생이 좋게 나타났 으며, 이는 해조류 생육에 필요한 빛의 양 즉 탁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비교적 맑은 외양

에서 더 다양하고 많은 해조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금년에 조사된 도서들의 경우 조하대 상부에 많은 해조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이 역시 탁도와 관련이 있다.

공원명 조사년도 조사도서 출현종수 생태지수

비 고

종다양도(H') 종균등도(J) 종풍부도(R)

한려

2015 홍도 75 2.14 0.49 17.93

세존도 37 0.79 0.22 10.11

2016 어유도 42 1.54 0.41 8.10

소치도 14 1.56 0.59 -

2017 소다포도 42 1.49 0.40 12.74

소매물도 53 1.97 0.50 15.73

2019 갈도 45 2.07 0.54 10.27

소 계 138 1.65 0.45 12.48

다도해

2015

백도 42 2.30 0.60 12.51

거문도 61 2.18 0.53 12.21

여서도 36 2.11 0.59 7.03

병풍도 27 1.39 0.42 9.68

2016

불근도 39 2.73 0.75 9.05

행금도 8 - - -

칠발도 18 - - -

2017 곡두도 11 1.20 0.50 7.10

두억도 33 1.06 0.30 6.25

2018

탄항여 15 1.95 0.72 9.14

납태기도 13 1.89 0.74 -

백야도 6 1.74 0.97 -

홍도 44 0.41 0.11 11.04

2019

대항도 51 3.07 0.79 -

목도 43 2.60 0.69 -

소안도 37 1.78 0.49 10.04

2020 거문도 77 1.48 0.47 4.80

소계 200 1.86 0.58 8.99

변산 2015 하섬 69 1.45 0.39 6.96

태안

2015 옹도 18 0.41 0.14 5.63

2019 정족도 41 1.77 0.48 16.94

소계 53 1.09 0.31 11.29

256(전체) 1.72(평균) 0.51(평균) 10.16(평균) [표 28] 2015∼2020년 주요 섬 해조군집 생태지수

나. 저서무척추동물 1) 종조성

2015~2020년 동안 총 27개 섬(홍도, 세존도, 백도, 거문도(2015), 여서도, 병풍도, 옹도, 어유 도, 소치도, 불근도, 행금도, 칠발도, 소다포도, 소매물도, 곡두도, 두억도, 탄양도, 납태기도, 백야 도, 홍도(다도해), 정족도, 갈도, 소안도, 목도, 대항도, 거문도 서도, 거문도 동도) 수중 암반에서 확인된 저서무척추동물의 생물정보를 제시하였다. 총 출현종수는 579종이었으며, 분류군별로 보면, 해면동물 27종, 자포동물 72종, 태형동물 101종, 성구동물 2종, 완족동물 2종, 연체동물 160종, 환형동물 61종, 절지동물 88종, 극피동물 56종, 척삭동물 10종으로 구성되었다[그림 23].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 중에서 연체동물이 전체의 27.4%로 가장 많았으며, 태형동물(18.2%), 절지동물 (15.1%), 자포동물(12.3%)도 비교적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그림 23] 2015~2020년 주요 섬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출현종수

6년 동안 출현종수는 거문도 서도가 147종으로 가장 많았고, 거문도 동도(137종), 세존도(123 종), 소안도(114종), 백도(108종), 갈도(108종), 홍도(한려)(105종), 거문도 2015(90종), 여서도(83 종) 순으로 출현하였다. 그러나 병풍도, 칠발도, 정족도는 낮은 종수를 보였다[표 29, 그림 24].

서식밀도는 평균 351개체/㎡이었으며, 소치도에서 4,341개체/㎡로 가장 많은 서식밀도를 보였 다. 그 다음으로 세존도(502개체/㎡), 병풍도(443개체/㎡), 두억도(427개체/㎡) 등 높은 서식밀도 를 보였으나, 칠발도, 곡두도, 홍도(다도해)는 100개체/㎡ 이하의 서식밀도를 보였다.

공원명 조사년도 조사도서 출현종수 평균 서식밀도 (개체/㎡)

생태지수 보호종

종다양도(H') 종균등도(J) 종풍부도(D) 출현종수

한려

2015 홍도 105 197 2.94 0.92 4.68 5(5)

세존도 123 502 3.01 0.84 5.78 0(1)

2016 어유도 73 84 2.32 0.91 2.40 -

소치도 60 4,341 1.34 0.65 1.54 -

2017 소다포도 48 41 1.32 0.88 1.58 -

소매물도 67 58 2.47 0.87 1.62 -

2019 갈도 108 187 2.01 0.76 4.10 -

소 계 327 773 2.20 0.83 3.1 5(5)

다도해

2015

백도 108 179 2.72 0.91 4.25 4(2)

거문도 90 254 2.35 0.81 3.80 2(4)

여서도 83 182 2.57 0.87 3.71 4(1)

병풍도 45 443 2.07 0.79 2.55 0

2016

불근도 57 417 1.56 0.58 2.33 0(1)

행금도 63 126 2.35 0.86 3.44 0

칠발도 32 75 1.63 0.87 1.50 0

2017 곡두도 80 88 2.62 0.86 2.59 1

두억도 64 427 1.46 0.46 2.47 -

2018

탄항여 60 159 1.88 0.74 2.92 1

납태기도 50 132 1.88 0.74 2.92 -

백야도 56 176 1.91 0.85 2.42 (1)

홍도 77 53 1.99 0.76 3.04 -

2019

대항도 65 218 1.59 0.68 3.51 1

목도 72 198 2.46 0.85 4.71 1

소안도 114 216 2.30 0.78 4.82 0

2020 거문도 서도 147 156 2.96 0.93 4.76 0

거문도 동도 137 240 2.67 0.85 4.58 1

소계 477 208 2.17 0.79 3.35 4(4)

태안

2015 옹도 55 252 2.23 0.84 3.34 0

2019 정족도 51 118 1.81 0.82 2.45 0

소계 87 185 2.02 0.83 2.90

합계(평균) 579(전체) 351(평균) 2.09(평균) 0.78(평균) 3.15(평균) 6(9) [표 29] 2015∼2020년 주요 섬 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태지수 및 보호종

보호종 출현종수 (): 문헌조사

[그림 24] 2015~2020년 주요 섬에서 저서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출현종수 분포

2) 군집구조

주요 섬별 저서무척추동물 군집구조를 살펴보기 위해서 종별 출현 자료를 이용하여 집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자료는 6년 동안 종 동정 분석의 변동이 없었던 분류군인 연체동물(mollusca)과 절지동물 게목(Decapoda), 집게목(Anomura), 만각류(Cirripedia)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룹 구분의 유의성을 제시하는 SIMPROF 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저서무척추동물 생태계는 크게 여섯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그림 25, 26]. 이중 남해 최외곽에 위치한 한려 홍도, 세존도, 백도, 거문도, 여서도가 A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거제도 남 부해역에 위치한 갈도, 소다포도, 어유도, 소매물도가 B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림 25] 2015-2020년 동안 27개 도서 수중암반에서 서식하는 저서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도서간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로 도출된 수지도

Dalam dokumen 참여연구진 (Halaman 57-8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