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공간구조 구상

2) 지역 거점 발전 정책

20)

가)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 비전 및 추진전략

❍ (비전) 국가 글로벌 경쟁력을 선도하는 농생명 산업 밸리

❍ (목표) 농업과 식품산업 동반 육성

- 농어민의 소득 증대, 글로벌 식품기업으로 성장, 첨단 농생명 경영체 집적지 형성

❍ (추진전략)

- 농생명 기술혁신 확산 : 스마트 농생명 기술 실증, 유용 미생물 산업화, 농생명 기술창 업 활성화

- 공동이용·활용 체계 구축 : 유전자원 공동 이용 협력, 연구장비·시설 공동 활용, 공동물 류·가공체계 구축

- 통합지원 체계 : 통합지원센터 운영, 통합지원편드 조성, 인력양성체계 구축

- 네트워크 효과 극대화 : 공동연구 지원 활성화, 산학연관 네트워크 지원, Free-pass 시 스템 구축

▮ 5대 농생명 클러스터를 연결하는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육성

❍ 익산(식품), 김제(종자, ICT농기계), 정읍(미생물), 새만금(첨단농업)과 혁신도시를 연결 하는 농생명 밸리 구축

<그림 4-29>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연계 방향 출처 : 전라북도 2018,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조성방안 연구」, 443쪽 20) 전라북도(2018), 157~159쪽

나) 농생명산업 수도21)

▮ 농생명산업 수도 개념

❍ ‘농생명산업 수도’는 생산·가공·유통·R&D 등 농생명자원이 집적되어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고부가 농생명 산업을 선도해 가는 지역의 의미

❍ 전북이 추구하는 ‘농생명산업’은 농업(자원)을 중심으로 첨단기술과 관련 산업을 융합 하여 생명산업으로 외연(가치)을 확장해가며, 이를 통해 도민행복과 지역활력을 창출하 는 산업으로 재정의됨

▮ 비전 및 추진전략

❍ (비전) 대한민국 농생명산업 수도! 전라북도

❍ (목표) 전·후방산업 연계로 ‘혁신성장’을 선도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농민행복’을 실 현함으로써 식품기업의 매출액 7조원 시대를 개막하고 농가소득 6천만 원대 진입

❍ (6대 전략)

- 청년농 창업 1번지 조성 : 교육인프라 확충, 창농과 정착을 패키지형태로 지원하여 누 구나 농업에 도전하고 성공할 수 있는 여건 강화

- 수요 창출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 : 지역특화작목 중심의 농식품 가공산업 육성 및 농식 품기업 성장지원과 지역농업 연계, 농산물 유통·물류기반의 디지털 전환, 전문단지 유 통경쟁력 강화, 생산-소비를 연계한 지속가능한 지역먹거리 순환체계 구축

- 농생명 신산업 생태계 고도화 : 그린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강화, 새만금 글로벌 푸드 허브 조성으로 식량안보 확보 및 농식품 수출 전진기지 위상 확보, 식품기업의 혁신성 장과 산지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푸드테크·애그테크 등 산업분야 발굴 및 R&D 강화 - 위기대응 지속가능 농업구조 전환 : 특화품목 육성과 작부체계 개선, 농업생산의 스마

트화·전문화·조직화로 소득안정 지원 생산시스템 구축, 환경과 안전을 고려한 사육환경 개선, 분뇨처리의 다양화, 선제적 방역 활동 강화를 통한 지역상생형 축산시스템 구축 - 안심하고 농업하는 경영안정 강화 : 농가소득과 경영안정 지원 강화와 농촌인력 수급을

위한 안정적인 공급체계를 구축하여 지속가능 영농활동 지원, 재해위험 사전대응, 농업 경영 안전망 확대로 누구나 안심하고 농사짓는 영농환경 조성 및 지원방안 강화

- 누구나 살고 싶은 활력 농촌 조성 : 맞춤형 생활경제·사회서비스 지원 확대, 주민주도 의 지역공동체 활동 및 자립적인 운영역량을 강화, 유입인구의 지역사회 정착과 도농교 류 활성화를 통한 생활인구 확대로 누구나 즐겨 찾고 활력이 넘치는 농촌사회 조성

21) 전라북도(2023)

다) 전라북도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사업 2단계22)

▮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사업 개요

❍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사업은 김제백구농공단지를 중심으로 반경 20km를 국가혁신 융복합단지로 지정하여 ‘스마트농생명융합산업’을 특화산업으로 선정하여 단지 내 스마 트농생명융합 관련 기업의 기술개발(R&D) 및 네트워크, 사업화, 글로벌 진출 등(비 R&D)을 지원하는 사업임

▮ 2단계 사업 비전 및 미션

❍ (비전) : 파이프라인 기반 글로벌 스마트농생명융합 혁신플랫폼 구축

❍ (미션) :전북 스마트농생명융합 및 전·후방 산업 혁신역량 고도화·확산, 파이프라인을 통한 단위거점/혁신주체 간 연계 강화

❍ 육성방향(전략)

- 혁신역량 규모 확대 : 이전기업, 창업기업 등 클러스터 내 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신규 아이템 개발 등 R&D 지원을 통해 특화분야 문제해결 지원, R&D 참여기업의 기술 개 발·사업화 촉진 및 입주기업 전반의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성장단계별 기업지원(창업, 사업화 및 수출 지원)

- 중장기 성장역량 확보 : 스마트농생명 특화분야 공급망 분석을 통해 핵심품목·기술을 도출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대형 R&D 지원, 중장기 성장역량 확보를 위한 특화산 업 관련 중핵기업 유치 및 인력양성

- 혁신지원 인프라 확충 : 클러스터 내 지역대학과 기업 등이 참여하여 지역경제 활력 제 고를 위한 개방적 혁신 R&D 지원, R&D 참여기업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패키지 형태 기업지원

- 혁신네트워크 고도화 : 외부지역 연계 특화산업 혁신 성과확산을 위한 메가시티·강소도 시 연계 및 글로벌확장 R&D 지원, 수요지향과 문제해결에 중점을 두어 국가혁신클러 스터 주도의 스마트농생명융합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EDP(기업가적 발견 과 정)에 기반을 둔 상시적/체계적 상향식 네트워크 운영을 통하여 혁신 주체들이 상호 협 력할 수 있는 토대 마련

22) 전라북도(2022) 참조

나.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혁신자원 연계

1) 지역산업과 연계

가) 혁신도시 특화산업 연계

❍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의 특화산업인 농생명 및 금융 산업 연계

- 혁신도시에 이전한 농진청 및 4개 연구기관, 한국식품연구원, 한국농수산대학 등 농생 명 관련 이전공공기관이 집적하고 있고, 농생명 관련 많은 기술 및 연구실적을 보유함 - 전북 도내에도 농생명 관련 연구기관 및 산업체가 많이 입지하고 있어 농생명 관련 산

업의 활성화를 위한 추진주체가 많음

- 국민연금공단 및 기금운용본부와 함께 BNY Mellon 등 외국계 자산운용사와 SK증권 등 금융기관 전주사무소 등과 연계하여 금융산업 네트워크 형성

❍ 전북 도내 특화산업 관련 총 82개 혁신기관(연구소 15개, 기관 44개, 대학 23개)이 입 지하고 있으며, 혁신기관 내 연구인력은 22,253명임(전북테크노파크 내부자료)

- (연구소) 특화산업 관련 연구소는 한국식품연구원(식품), 한국생산기술연구원(농기계) 및 한국전자기술연구원(ICT) 등 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R&D 인프라가 풍부함

- (기관) 특화산업 관련하여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등 특화산 업 관련 기술의 컨설팅, 사업화, 수출지원 등 비R&D지원 수행기관 다수가 입지함 - (대학) 특화산업 관련 대학은 23개(연구인력 798명)로, 혁신인력 역량 강화 및 규모 확

대를 위한 취업연계형 R&D 인력양성을 수행하고 있음

- (혁신기관 간 상호보완성) 혁신기관 간 네트워킹을 통해 파이프라인 기반의 특화산업 통합지원체계(기술개발-사업화지원-인력지원) 구축이 가능함

❍ 혁신도시와 도내 혁신기관과 연계하여 산업적 연구성과를 경제적·기술적 사업화로 연결 시킬 수 있도록 함

- 이전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 성과와 기술을 도내 혁신기관과 함께 기술을 더욱 발전키고, 이를 사업화로 연결시킴

- 혁신기관의 창업 및 마케팅 지원의 기능을 활용하여 창업을 유도함

2) 공간적 연계

❍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전주와 완주에 많은 혁신기관이 소재하고 있는데, 특히 국가혁신 융복합단지(국가혁신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기관이 분포하고 있음

❍ 군산에는 교육기관인 군산대학교와 기계부품을 다루는 전북기계부품연구원과 함께 군산 및 새만금산업단지에 많은 관련 업체들이 경제활동을 영위하고 있음

❍ 익산에는 식품관련 국가대표 식품전문산업단지에 국가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 식품과 관련한 연구, 제조, 판매 등 종합적인 혁신기능을 가지고 있고, 한국농업기술진흥원과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이 농업기술의 개발 및 실용화를 수행하고 있음

❍ 이와 더불어, 진안에는 진안홍삼연구소, 임실에는 임실치즈앤식품연구소, 장수에는 동물 위생시험소, 남원에는 화장품산업지원센터, 순창에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및 발효미생물 산업진흥원, 정읍에 농축용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및 생명공학연구원 등이 소재함

❍ 앞의 연구기능을 보유한 혁신기관과 함께 전북 전역에 입지하공 있는 산업단지 및 농공 단지와 연계하여 기능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각 혁신기관으로 구축된 지역의 거점을 연계하여 성과를 확산시키도록 함

2. 공간구조 구상

가. 공간구조 구상 전략

1) 혁신거점 육성

가) 새만금개발

❍ 새만금은 세계 경제 2위 중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도시와의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전진 기지로서 글로벌 자유무역 중심지로서 개발

❍ 산업·연구, 국제협력, 관광·레저를 위한 경협특구를 중심으로 농업 및 농촌도시를 위한 농생명, 배후도시, 환경·생태용지 등으로 구분하여 특성화

❍ 글로벌 중심도시 조성을 위해 신공항과 신항만 조성을 위해 속도감 있게 추진 중

나) 전북혁신도시

❍ 농촌진흥청 등 농생명과 국민연금공단 등 금융으로 특화산업과 한국국토정보공사와 한 국전기안전공사,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등의 공간·정보·지식 서비스 산업 자원 보유

❍ 농생명 분야 중심으로 하는 전라북도 R&D의 핵심거점으로 성장 추진

다) 국가식품클러스터

❍ 식품산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을 주도하고 식품산업의 해외수출을 통해 식품산업의 육 성을 위한 익산시 조성

❍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식품품질안전센터, 식품기능성평가지원센터, 식품패키징센 터 등 식품관련 기업의 지원을 위한 시설 입지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