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분야별 계획
4. 성과관리 계획
VI. 협력적·효과적 계획추진 방안
1. 사업추진 및 투자계획
가. 사업추진 계획
❍ 본 계획은 2023~2027년까지 5년을 계획단위로 하고, 계획기간 중 각 사업들은 사업추 진 여건이 갖춰지는 상황에 따라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
- 대부분의 사업들은 계획단위 시작 시점인 2023년에 시작하여 종료 시점인 2027년에 끝마치는 일정으로 계획됨
- 사업의 규모가 크지 않고 단기간에 완료가 가능한 사업은 5년의 기간을 채우지 않고 빠르게 끝나게 됨
- 일부 사업은 계획단위의 종료시점인 2027년 후에도 지속되는 사업이 있음
전략 사업명 ′23 ′24 ′25 ′26 ′27 비고
지역 경제 활성화
종자생명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미생물산업 클러스터 조성
천연물 바이오소재 융복합거점 구축 곡류분말가공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 특화작목 산업화 클러스터
지능형 농기계 실증단지 구축 간척지 농업 연구 기반 확대 지원 K-푸드테크 산업기반 조성
반려동물산업 클러스터 조성 핵심사업
농생명혁신성장위원회 운영 활성화 핵심사업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 조성 핵심사업
기후변화 대응 농업기술 개발
전북형 농촌관광 운영 활성화 사업 핵심사업
마을자치연금 연수원 설립
전북국제금융센터 건립 핵심사업
전북 투자 전용 금융기관 설립 및 유치 전북금융산업진흥원 설립 및 운영 금융데이터 활용 핀테크 창업 지원 공공기관 기술이전 통합지원 센터 설치 국립 사회적경제 인재개발원 건립 디지털 출판산업 복합 클러스터 조성 [표 6-1] 사업추진 로드맵
전략 사업명 ′23 ′24 ′25 ′26 ′27 비고 전라북도 혁신성장산업의 디지털·친환경 역량 강화 지원
산업단지 고도화 지원
디지털 트윈 기반 산업단지 스마트관리 선도모델 구축
신재생 연계 ESS 안전성 평가센터 구축사업 핵심사업
대용량·고출력 UPS 위험성 평가 및 안전기술 개발 사업 핵심사업
정주 환경 조성
달빛어린이병원 지정 지원사업
119안전센터 연계 응급의료지원체계 구축
전라북도 대표도서관 건립 핵심사업
전라북도 K-문화지원센터 조성
혁신도시 복합문화예술공간 조성 핵심사업
“혁신 아아 모임” 지원
기지제 수변공원 힐링명소화 사업 물길 산책로 조성
혁신도시 악취저감 사업 핵심사업
스마트 주차 플랫폼 구축사업 전북혁신도시 연계도로망 구축 전주-익산-군산 셔틀열차사업
수요응답형 셔틀버스(광역 DRT)사업 장기검토
Super-BRT 구축사업
지역 인재 양성
혁신교육 청소년스쿨 국립농생명직업체험관 건립 전북혁신도시 산학융합지구 조성
혁신융합캠퍼스 구축 핵심사업
마이크로디그리 운영
이전기관-지역대학 계약학과 설치‧운영 핵심사업
농생명분야 학연협동 연합대학원과정 운영 금융 평생교육 캠퍼스 운영
청년친화 스타트업타운 조성
전라북도 공공기관 공동 채용박람회 추진 핵심사업
지역 상생 발전
혁신도시 발전지원센터 설립·운영 인문학 도시 조성
지방의정연수원 건립 장기검토
디지털트윈 기반 시가지 하천 안전관리 서비스 동부권 식품산업 육성 지원
국립 전북문화재연구센터 건립 핵심사업
스마트 시티 구축
전북형 디지털트윈 사업 확대
전북 클라우드 데이터 구축·활용사업 핵심사업
전기안전 스마트 원격점검장비 보급사업 공간정보 데이터 컨설팅 및 품질관리
나. 재원조달계획
❍ 계획기간인 2023~2027년의 5년간 총 사업비 2,050,205백만 원의 사업비가 소요됨
❍ 총 사업비 중 국비는 1,221,618백만 원으로서 전체 사업비의 59.6%이고, 지방비는 655,738백만 원(32.0%), 공공기관을 포함한 민간자본 사업비는 172,810백만 원(8.4%)임
전략 사업명 기간 총사업비 국비 지방비 민자
지역 경제 활성화
종자생명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2023~2027 115,200 95,300 17,900 2,000 미생물산업 클러스터 조성 2023~2027 62,157 46,000 16,157
천연물 바이오소재 융복합거점 구축 2024~2027 19,000 19,000
곡류분말가공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 2024~2027 60,000 48,000 12,000 특화작목 산업화 클러스터 2023~2027 3,000 1,500 1,500 지능형 농기계 실증단지 구축 2023~2026 109,200 73,200 36,000 간척지 농업 연구 기반 확대 지원 2023~2025 15,093 15,093
K-푸드테크 산업기반 조성 2024~2027 240,000 168,000 72,000 반려동물산업 클러스터 조성 2023~2027 69,300 40,100 29,200 농생명혁신성장위원회 운영 활성화 2023~2027 800 800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 조성 2023~2025 21,871 21,871
기후변화 대응 농업기술 개발 2023~2026 8,220 3,940 4,280 전북형 농촌관광 운영 활성화 사업 2023~2027 10,000 10,000
마을자치연금 연수원 설립 2023~2027 440 400 40
전북국제금융센터 건립 2023~2026 82,000 82,000
전북 투자 전용 금융기관 설립 및 유치 2024~2027 150,000 60,000 40,000 50,000 전북금융산업진흥원 설립 및 운영 2025~2027 40,000 40,000
금융데이터 활용 핀테크 창업 지원 2025~2027 45,000 25,000 10,000 10,000 공공기관 기술이전 통합지원 센터 설치 2025~2027 비예산
국립 사회적경제 인재개발원 건립 2023~2024 34,600 34,600 디지털 출판산업 복합 클러스터 조성 2024~2027 26,500 26,500 전라북도 혁신성장산업의 디지털·친환경 역량
강화 지원 2024~2026 12,000 6,000 6,000
산업단지 고도화 지원 2024~2026 40,000 25,000 15,000 디지털 트윈 기반 산업단지 스마트관리
선도모델 구축 2024~2026 12,000 6,000 6,000
신재생 연계 ESS 안전성 평가센터
구축사업 2023~2025 47,100 26,600 10,000 10,500
대용량·고출력 UPS 위험성 평가 및
안전기술 개발 사업 2024~2027 30,000 20,000 4,000 6,000 달빛어린이병원 지정 지원사업 2023~2027 325 25 300
[표 6-1] 재원조달계획
(단위 : 백만 원)
전략 사업명 기간 총사업비 국비 지방비 민자
정주 환경 조성
119안전센터 연계 응급의료지원체계 구축 2023~2027 1,390 600 790 전라북도 대표도서관 건립 2023~2024 34,788 34,788 전라북도 K-문화지원센터 조성 2024~2027 48,000 24,000 24,000 혁신도시 복합문화예술공간 조성 2024~2027 110,000 55,000 55,000
“혁신 아아 모임” 지원 2024~2027 60 60
기지제 수변공원 힐링명소화 사업 2023~2026 11,700 11,700 물길 산책로 조성 2024~2026 16,100 8,050 8,050 혁신도시 악취저감 사업 2023~2027 39,830 36,300 3,530 스마트 주차 플랫폼 구축사업 2023~2027 2,600 1,290 1,310 전북혁신도시 연계도로망 구축 2023~2027 179,700 119,500 60,200 전주-익산-군산 셔틀열차사업 2023~2027 17,000 17,000 수요응답형 셔틀버스(광역 DRT)사업 2023~2027 250 125 125 Super-BRT 구축사업 2023~2027 136,600 91,300 45,300
지역 인재 양성
혁신교육 청소년스쿨 2024~2027 60 40 20
국립농생명직업체험관 건립 2024~2026 30,000 20,000 10,000
전북혁신도시 산학융합지구 조성 2025~2027 35,500 11,900 15,200 8,400 혁신융합캠퍼스 구축 2023~2026 3,155 1,578 1,578
마이크로디그리 운영 2024~2027 570 570
이전기관-지역대학 계약학과 설치‧운영 2024~2027 600 500 100 농생명분야 학연협동 연합대학원과정 운영 2024~2027 비예산
금융 평생교육 캠퍼스 운영 2024~2027 10,000 5,000 2,500 2,500 청년친화 스타트업타운 조성 2024~2027 30,000 14,500 15,500
전라북도 공공기관 공동 채용박람회 추진 2023~2027 2,500 1,250 1,250
지역 상생 발전
혁신도시 발전지원센터 설립·운영 2025~2027 900 450 450 인문학 도시 조성 2024~2027 6,000 3,000 3,000 지방의정연수원 건립 2025~2026 40,000 40,000
디지털트윈 기반 시가지 하천 안전관리 서비스 2023~2027 3,300 1,650 1,650 동부권 식품산업 육성 지원 2024~2027 비예산
국립 전북문화재연구센터 건립 2023~2025 25,296 25,296
스마트 시티 구축
전북형 디지털트윈 사업 확대 2024~2028 1,0000 10,000 전북 클라우드 데이터 구축·활용사업 2023~2027 비예산
전기안전 스마트 원격점검장비 보급사업 2024~2027 500 350 150 공간정보 데이터 컨설팅 및 품질관리 2024~2027 비예산
계 2,050,205 1,221,618 655,778 172,810
2. 계획추진 체계
가. 추진체계 구축
1) 기존 혁신도시 상생협의회 중심 기능 강화
❍ 혁신도시 발전을 위해 혁신도시 전북도 지자체와 이전공공기관, 그리고 관계 기관이 협 의체를 구성하여 혁신도시 관련 이슈를 논의하는 기존의 추진체계가 구성되어 있음
혁신도시 상생협의회 (위원장 : 정무부지사)
18개 기관 연간 1~2회
분야별 실무협의회 검토안건 결과보고
기관 간 상생협력 소통창구 역할
상생발전 실무협의회 (위원장 : 지역정책과장)
지역인재채용 실무협의회 (위원장 : 지역정책과장) 12개 기관
(전북도, 전주시, 완주군, 이전기관 9)
13개 기관
(전북도, 이전기관 6, 지역대학 6)
반기별 운영 반기별 운영
지역산업 육성 및 활성화
기관별 대표사업 발굴
기관별 지역발전계획 수립
상생협의회 안건 사전검토
이전기관 우선구매 유관기관 협의회 운영 등
지역인재 채용 확대
기관별 오픈캠퍼스 운영
합동채용설명회 개최
지역인재 채용 광역화 등 출처 : 전북도청 내부자료
[그림 6-1] 혁신도시 상생협의체
❍ 현안에 대한 빠른 대응을 위해 실무협의회 개최 시기를 반기에서 분기로 시기를 조절함 - 현재 실무협의회는 반기별로 협의회를 운영하고 있음
- 지역인재채용 실무협의회는 오픈캠퍼스 운영이나 합동채용설명회 개최와 같이 장기 단 위로 운영이 필요하므로 기존처럼 반기별로 운영하되, 상생발전 실무협의회는 협의 사 항이 발생하는 경우에 빠른 대응을 위해 운영기간을 단축하여 분기별로 운영하도록 함
❍ 혁신도시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업무협의와 협력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 논의하는 실 무협의회의 기능을 강화하도록 함
- 현재는 기관별로 추진하는 지역발전 사업 및 상생협력 활동을 위주로 안건이 다루어지 고 있지만, 향후 다수의 기관이 협업하고 공동으로 추진하여 보다 큰 상승효과를 나타 낼 수 있는 사업 및 안건에 대한 논의구조로 확장할 필요가 있음
2) 사업추진 담당자 협의체 구성
❍ 혁신도시 발전지원센터를 설치하여 혁신도시를 지역성장 거점으로 육성하고 특화발전을 지원하면서 혁신도시 발전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
❍ 혁신도시 발전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사업추진 관계 부서 담당자 간 상호협력을 위한 사 업협의체를 구성함
- 혁신도시 발전계획에 담긴 사업뿐만 아니라 새로운 여건 조성에 따라 추진이 필요한 사 업이 발굴되는 경우에 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전북도 지자체와 이전공공기관 및 그밖의 관계기관 담당부서 실무진 간 협의를 위한 협의체계를 구성하도록 함
3) 행정TF 설치·운영
❍ 전북혁신도시 발전 및 성과확산을 위해 관할 지자체 협력을 위한 행정TF를 설치하여 운영하도록 함
- 전북혁신도시는 전북도, 전주시, 완주군에 공간적으로 중첩되어 입지하고 있고, 이전공 공기관뿐만 아니라 도내 혁신기관 역시 전주시와 완주군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어 전북 도와 함께 행정적으로 협력하여야 할 내용이 많음
❍ 혁신도시 발전을 위해 추진되는 사업은 지역경제, 정주여건, 지역인재, 상생발전, 스마 트시티 등 여러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관계 행정부서가 상호 협력체계가 구성되어야 함 - 지역경제 분야에서도 특화분야인 크게는 농생명과 금융으로 구분되고, 작게는 농업농
촌, 새만금, 식품산업, 금융경제, 바이오산업, 산업기계 등 다수 부서가 연계되어 있음 - 정주여건과 관련하여 교통, 문화, 의료, 복지, 그리고 지역인재와 관련하여 교육, 청년
등 많은 부서와 관련되고, 또 부서간 협력 역시 중요함
[그림 6-2] 혁신도시 행정TF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