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목적과 전략에 맞춰 대상지 내 공간을 구상한다. 대상지를 크게 5개의 구역으로 조닝하고 각각에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습지식물원으로서 저 류지 기능이 생태적으로 작동하는 동시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오픈스 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공간의 지리적, 입지적, 기능적 요건을 고려하여 시설물을 배치하고 적절한 프로그램의 파생을 유도한다. 대상지 주변에 위치 한 순천만정원과 연계해 습지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다양화하고, 이를 고려하 여 공간적, 활동적 프로그램을 분할한다. 또한 관리 면적 및 동선을 최소화하 기 위해 공간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구역, 관리 천이가 일어나는 구역, 자 연 천이가 일어나는 구역으로 구분된다.
(1) 습지정원 구역
습지정원 구역은 여러 가지 주제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습지에 대한 교육 과 함께 적극적인 체험을 유도하는 공간이다. 순천만 국제 습지센터의 실내전 시에서 보다 역동적이고 생생한 습지와 그 속에 자라나는 식물들을 전시한다.
주출입구를 중심으로 전시되며 갯버들, 갈대, 부들, 줄 등 습지에서 자연적으 로 자라는 식물들이 군락을 이루며 전시되고 수련, 연꽃 등 다양한 수생식물 원을 조성하여 다채로운 경관을 조성한다. 관찰 데크 등의 시설물을 조성하여 습지식물들을 직접 만지고 느끼며 자연 체험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조성한다.
(2) 조류서식처보호 구역
조류서식처 보호 구역은 현재 대상지 주변을 찾아오고 서식하는 야생조류를 위한 구역으로 저류연못에 조성된 인공섬을 활용한다. 관람객의 접근을 차단 하고 관찰데크 및 전망대를 이용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조성하여 교란을 최소 화 한다. 현재 우점종인 오리류를 위한 서식 공간 뿐 아니라 계절마다 찾아올 수 있는 철새들도 고려한 공간이다.
(3) 정화구역
정화구역은 습지식물원 내에서 흐르고 저류되는 물이 동천으로 유입되기 전, 저류연못 및 다양한 정화과정을 통해 정화되는 구역이다. 식물원 이용자들 의 접근을 최소화하면서도 습지 시스템의 작동과정에 대한 자연스러운 교육 및 관찰활동이 일어난다. 관리센터에서는 인공습지의 정화기능에 대한 모니터 링과 관리를 실시한다.
(4) 레크레이션 구역
레크레이션 구역은 크게는 순천만정원과의 기능을 연계한 공간으로, 순천만 정원을 관람하고 온 관광객들과 지역주민들이 습지를 바라보며 휴식을 취하거 나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조성한 공간이다. 습지정원과 인접한 물놀이 장에서는 정화가 완료된 연못을 조성하여 아이들이 물과 습지를 뛰놀며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역주민들과 학생들의 커뮤니티 공간으로도 활 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5) 빗물저류 구역
빗물저류 구역은 관리 천이가 이루어지는 구역으로, 지속적으로 관리하지 않아도 식생에 의해 변화가 일어나도록 하는 구역이다. 집중강우 시 강우량에 따른 수위변화가 관찰되며, 빗물은 습지에 저류되거나 천천히 상시저류연못으 로 흘러 동천으로 배출된다.
<그림 4-4> 습지식물원 공간구상